[2015/06/03] 우리말) 늦장과 늑장

조회 수 3123 추천 수 0 2015.06.03 08:59:16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이르는 낱말로 '늑장'과 '늦장' 가운데 어떤 게 바른 낱말일까요?
제 생각에는 '늑장'이 표준말인데, 사람들이 '늦다'를 떠올려 '늦장'으로 자주 쓰다 보니 '늦장'도 표준말에 오른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십여 일 전에 어머니가 병원을 다녀가셨고, 오늘 제가 가서 그 결과를 들어야 합니다.
요즘 병원 가기가 찜찜한 것은 저만의 생각이 아니겠죠?
왜 자꾸 '늦장'이나 '늑장'이 떠오르는지 모르겠습니다.

요즘 가뭄이 심각합니다. 아침 뉴스를 들으니 소양강 댐은 두 번째로 낮은 수위라고 하네요.
더 늦지 않도록 뭔가 대책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농사에 하느님과 같이 짓는 것이니까 달리 방법이 마땅치 않겠지만,
그래도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잖아요.
너무 늦지 않게 대책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오늘은 '늑장'과 '늦장'입니다.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이르는 낱말로 '늑장'과 '늦장' 가운데 어떤 게 바른 낱말일까요?

일단 둘 다 표준어이긴 한데요.
제 생각에는 '늑장'이 표준말인데, 사람들이 '늦다'를 떠올려 '늦장'으로 자주 쓰다 보니 '늦장'도 표준말에 오른 것 같습니다. (그냥 제 생각입니다.^^)

늦장이건 늑장이건,
모든 일에는 때가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정부 정책에는...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아다리]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뉴스를 들으니 모처럼 증시가 좀 나아졌다고 하네요.
참으로 반가운 소식입니다.

어제 누군가가 
요즘은 세계 경제 전체가 침체로 아다리가 되어 쉽게 벗어나기 힘들 거라고 했는데
아침에 그런 뉴스를 들으니 더 반갑네요.

어제 들은 '아다리'를 알아볼게요.
오랜만에 들어본 말이긴 한데 이 말은 일본어투 말입니다.

"바둑에서, 단 한 수만 더 두면 상대의 돌을 따내게 된 상태를 이르는 말."이 '단수'인데
이를 일본에서 あたり(單手, 아타리)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미 아다리를 다듬어 단수라고 내놨습니다.

우리가 쓰는 말은 우리 마음과 정신을 담고 있다고 봅니다.
따라서 깨끗하고 고운 우리말을 쓰면 내 마음도 고와지지만,
일본어투 찌꺼기 말을 쓰면 그 말 속에 일본사람들, 우리나라를 짓밟은 일본사람들 넋이 들어 있다고 봅니다.

어제 말씀드렸듯이
깨끗한 공기를 마셔야 건강하듯이,
깨끗하고 고운 말을 써야 내 정신고 넋도 맑아진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2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36
2456 [2007/03/21] 우리말) 파래, 퍼레, 파란색, 파랑색 id: moneyplan 2007-03-21 5293
2455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5291
2454 [2006/12/27] 우리말) 책을 구입하고 책 값을 지불하신다고요? id: moneyplan 2006-12-27 5262
2453 [2006/11/21] 우리말) 첫과 처음 id: moneyplan 2006-11-21 5256
2452 [2011/06/22] 우리말) 뼛속과 뱃속 머니북 2011-06-22 5252
2451 [2013/02/01] 우리말) 거나하다/건하다 머니북 2013-02-01 5248
2450 [2011/07/01] 우리말) 그대 이름은 바람 머니북 2011-07-01 5247
2449 [2007/06/29] 우리말) 평이 아니라 제곱미터 id: moneyplan 2007-06-29 5235
2448 [2006/12/29] 우리말)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 id: moneyplan 2006-12-29 5228
2447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5207
2446 [2006/11/26] 우리말) 가엾고 설운 어린아이 id: moneyplan 2006-11-27 5207
2445 [2006/11/15] 우리말) 택도없긴... 턱도없지... id: moneyplan 2006-11-15 5203
2444 [2013/07/09] 우리말) 누구와 아무 머니북 2013-07-09 5189
2443 [2011/07/12] 우리말) 째/체/채 머니북 2011-07-12 5168
2442 [2017/11/14] 우리말) 시 감상 머니북 2017-11-16 5154
2441 [2007/02/26] 우리말) '이력'은 순 우리말입니다 id: moneyplan 2007-02-27 5148
2440 [2006/12/02] 우리말) 윤슬이라는 낱말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6-12-04 5140
2439 [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id: moneyplan 2006-09-29 5119
2438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5118
2437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5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