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6/19] 우리말) 주책

조회 수 3114 추천 수 0 2015.06.22 11:32:17

여기서 재밌는 것은, 
'주책'에는 좋은 뜻과 나쁜 뜻이 다 들어 있다는 겁니다.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은 좋은 뜻이고,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은 나쁜 뜻이겠죠.

안녕하세요.

오늘 저녁부터 비가 좀 내린다고 합니다. 
비가 좀 많이 내려 가뭄이 끝나길 기대합니다.

요즘 일이 좀 많다보니, 가끔 우리말 편지 보내는 것을 잊어버립니다.
어제도 편지를 보내지 않았다는 것을 깨닫지 못하고 집에 갔습니다.
아침에 편지 쓰다 보니 어제 보내지 않았더군요.

제가 우리말을 잘 알지도 못하면서 주책없이 우리말 편지를 보내고 있지나 않는지 가끔은 저를 뒤돌아봅니다.
벌써 10년 넘게 해 왔고, 많은 사람들이 기다리니, 지금 와서 안 보낼 수도 없고, 계속 보내자니 제 실력이 딸리고……. ^^*

우리말에 '주책'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이라는 뜻으로
나이가 들면서 주택이 없어진다, 주책없는 여자처럼 자꾸 키들거리고 웃는다처럼 씁니다.

다른 뜻도 있습니다.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이라는 뜻으로
주책을 떨다, 주책을 부리다, 주책이 심하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재밌는 것은, 
'주책'에는 좋은 뜻과 나쁜 뜻이 다 들어 있다는 겁니다.
"일정하게 자리 잡힌 주장이나 판단력"은 좋은 뜻이고,
"일정한 줏대가 없이 되는대로 하는 짓"은 나쁜 뜻이겠죠.

제가
우리말에 대한 ‘주책’도 없으면서
우리말 편지를 보낸다고 ‘주책’없이 나서고 있습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안간힘[안깐힘]]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9시 18분 KBS라디오에서 종합부동산세 이야기를 하면서 "많던 적던"이라고 했습니다.
'많든 적든'이 맞습니다.
오늘 종부세 위헌 소송에 대한 선고가 있다죠? 

지난 월요일과 화요일 우리말 편지는 그 앞날 편지를 써 놓고 다음날 아침에 발송되도록 예약을 해 뒀습니다.
그러나 어제 수요일은 제가 깜빡 잊고 예약을 해 두지 않아 좀 늦게 보냈고,
오늘도 지금 이렇게 늦게 보냅니다.
편지를 예약해 두면 오늘처럼 출근길에 들은 이야기라든가 
일터에 나오면서 애들과 나눈 이야기가 들어가지 못합니다.
그래서 글 맛이 좀 떨어집니다. 
이런 핑계로 앞으로는 예약하지 않고 아침에 일터에 나와서 편지를 쓰겠습니다.
다만, 선물을 드리는 문제를 낼 때는 그 앞날 꼭 말씀을 드리고 다음날 9시 정각에 편지가 가도록 하겠습니다.
좀 봐 주십시오. ^^*

아침에 뉴스를 들으니 북한이 또 어깃장을 놓고 있네요.
다음달부터 군사분계선을 통한 남북 육로통행을 엄격히 제한하겠다고 했다네요.

북한을 도와주고 북한 국민들을 도와주려고 우리나라와 세계가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북한이 우리 맘을 이렇게 몰라주나 싶습니다.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해서 몹시 애쓰는 힘"을 '안간힘'이라고 합니다.
안간힘을 다해 혼자 책상을 옮겼다, 그는 망한 사업을 다시 일으키려고 안간힘을 쏟았다처럼 씁니다.
드리고 싶은 말씀은
안간힘의 소리(발음)가 [안간힘]이 아니라 [안깐힘]이라는 겁니다.

되도록 된소리를 쓰지 않으려고 [안깐힘]을 [안간힘]이라 하고,
토라지다는 뜻의 '삐치다'를 [삐지다]고 하는지 모르겠지만
우리말은 소리 하나 하나도 소중합니다.
제대로 소리를 내야 내 생각을 바르게 나타낼 수 있고,
그래야 남들이 내 말을 쉽게 알아들을 수 있습니다.

오늘 수능 시험보는 날이죠?
모두 시험 잘 보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6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33
2556 [2017/03/29] 우리말) 씨양이질 머니북 2017-03-30 3603
2555 [2017/03/27] 우리말) 이유와 원인 머니북 2017-03-27 3226
2554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917
2553 [2017/03/16] 우리말) 나가다와 나아가다 머니북 2017-03-17 5083
2552 [2017/03/15] 우리말) 꽃보라 머니북 2017-03-15 3149
2551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3428
2550 [2017/03/13] 우리말) 인용 머니북 2017-03-13 3450
2549 [2017/03/10] 우리말) 교보문고 머니북 2017-03-10 3551
2548 [2017/03/09] 우리말) '언어에 대하여' 머니북 2017-03-10 3880
2547 [2017/03/08] 우리말) 주기와 주년 머니북 2017-03-09 3645
2546 [2017/03/07] 우리말) 혹은과 또는 머니북 2017-03-08 3584
2545 [2017/03/06] 우리말) 홍두깨 머니북 2017-03-07 3187
2544 [2017/02/27] 우리말) 짊다와 짊어지다 머니북 2017-02-28 4416
2543 [2017/02/24] 우리말) 돌팔이와 단감 머니북 2017-02-24 3956
2542 [2017/02/22] 우리말) 역시 머니북 2017-02-22 3578
2541 [2017/02/21] 우리말) '2017년, 새롭게 인정받은 표준어는?... 머니북 2017-02-22 3939
2540 [2017/02/20] 우리말) 지표식물 머니북 2017-02-20 3452
2539 [2017/02/17] 우리말) 모, 알, 톨, 매, 벌, 손, 뭇, 코... 머니북 2017-02-17 3417
2538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3497
2537 [2017/02/15] 우리말) 딸내미/딸따니 머니북 2017-02-16 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