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스럽다’의 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같은 풀이를 더 넣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립국어원에서는 분기별로 표준국어대사전을 수정하고 있습니다.
낱말을 새로 넣기도 하고, 뜻풀이를 바꾸기도 합니다.
지난 22일 국립국어원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그동안 부정적인 상황에서 쓰였던 '너무'를 긍정적인 서술어와도 어울려 쓸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이제는 너무 좋다, 너무 예쁘다처럼 써도 되는 겁니다.

저는 이런 걸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드는 낱말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촌스럽다'입니다.
사전에는 "어울린 맛과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한 데가 있다."는 풀이만 나와 있습니다.

잘 아시는 것처럼
요즘 여유로운 삶을 누리고자 귀촌하는 사람들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귀촌하는 사람들이
스스로 세련됨이 없이 어수룩해지고자 촌으로 가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금처럼 사전에 ‘촌스럽다’의 풀이가 하나밖에 없으면, 귀촌 인구가 느는 것을 설명할 방법이 없습니다.
‘촌스럽다’의 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같은 풀이를 더 넣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의 낱말 풀이에
시대상황을 반영한 뜻풀이를 더 넣어줌으로써 조화로운 국어생활이 가능하리라 믿습니다.

성제훈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있는 '촌스럽다'의 뜻풀이에
"자연과 함께하고자 농촌으로 가는 사람들"이나
"촌을 사랑하여 자연과 함께 삶을 가꾸려는 마음가짐"같은 풀이를 더 넣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요구한다! 
요구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문제를 냈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옷 잘 챙겨 입으셨죠?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지난 주말에 네 살배기 아들 녀석과 시제에 다녀왔습니다.
저는 제사상을 차리는데 아들은 할 일이 없어서 큰 소나무 앞에 가서 비늘 모양으로 덮여 있는 겉껍질을 뜯거나
바로 옆 밭에 가서 고구마와 무를 캐더군요. 힘이 남아돌아 그냥 힘쓰는 거죠. ^^*

나중에 집에 돌아와서 보니 언제 가져왔는지 산에서 가져온 소나무 껍데기를 물에 띄워놓고 놀고 있었습니다.
그게 가벼워서 물에 잘 뜬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여기서 오늘 문제를 내겠습니다.
소나무 밑동을 보면 금이 쩍쩍 벌어져 있고, 물고기 비늘 모양의 굵은 껍데기가 더덕더덕 붙어 있는데요.
그 껍데기를 잡고 힘껏 떼 내면 한 조각씩 떨어져 나옵니다. 그 떨어져 나오는 껍데기를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설마 목피라고 답하시는 분은 안 계시겠죠?

맨 먼저 정답을 보내신 분께 갈피표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댓글을 달아주시는 분과 답장을 보내주시는 분 두 분께 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34
96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509
95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8436
94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915
93 [2017/05/19] 우리말) 업 머니북 2017-05-19 3424
92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676
91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932
90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958
89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836
88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3437
87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4070
86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666
85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855
84 [2017/06/05] 우리말) 답 그리고 정답 머니북 2017-06-05 3736
83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3434
82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352
81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897
80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3494
79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3539
78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3109
77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