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요즘 초등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는 문제를 두고 말이 많습니다.
저는 초등학교에서 한자를 가르치는 것에 반대합니다.

기사 몇 개를 잇습니다.

초등 교과서 한자 병기, 가독성 해쳐
http://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50509022006

명분도 실리도 없는 '한자 병기 논란'
http://www.hani.co.kr/arti/opinion/because/699060.html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강추위]

안녕하세요.

오늘 무척 춥다고 합니다. 옷 잘 입고 오셨죠?
이런 추위를 '강추위'라고 합니다.

오늘은 강추위를 좀 볼게요.

앞가지(접두사) 강은 날씨와 같이 쓰면 '호된, 심한'의 뜻입니다. 강추위, 강더위 따위죠.
'강'은
강울음, 강호령처럼 '억지스러운'의 뜻을 더하기도 하고,
다른 것이 섞이지 않았다는 뜻으로도 쓰여 강조밥, 강된장, 강굴, 강풀처럼도 씁니다.
'강'이 마르고 물기가 없다는 뜻으로 쓰일 때는 강기침,  강서리, 강모처럼 씁니다.

중요한 것은 '강추위'의 뜻입니다.
강추위는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라는 뜻의 순 우리말입니다. 
바로 오늘 같은 날씨죠.

그런데 국립국어원에서 1988년에 사전을 만들면서 
순 우리말 '강추위' 아래 '강추위(强--)'를 넣고
그 뜻을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고 풀었습니다.

이렇게 만들어 놓고 이것을 '사전'이라고 합니다. 그것도 '표준'국어'대'사전이라고 합니다.
그럼 도대체 강추위에는 눈이 오는 겁니까 안 오는 겁니까?

여러분, 이 문제 한번 풀어보실래요?
문제 : 아래 문장에서 바른 것은?
1. 강추위에는 눈이 내린다.
2. 강추위에는 눈이 내리지 않는다.
어떤 게 맞죠? 

많은 분이 우리말이 어렵다고 합니다. 헷갈린다고 합니다.
그게 다 까닭이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4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8
2376 [2008/10/08] 우리말) 해외와 나라밖 id: moneyplan 2008-10-08 3117
2375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3117
2374 [2011/01/21] 우리말) 늦장과 늑장 moneybook 2011-01-21 3117
2373 [2015/09/09] 우리말) 여탐과 예탐 머니북 2015-09-11 3117
2372 [2016/11/02] 우리말) 속도 단위 머니북 2016-11-02 3117
2371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3118
2370 [2009/12/30] 우리말) 댓글 소개 id: moneyplan 2009-12-30 3118
2369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3119
2368 [2014/12/04] 우리말) 도 긴 개 긴/도찐개찐 머니북 2014-12-04 3119
2367 [2008/11/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1-18 3120
2366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3120
2365 [2010/03/30] 우리말) 철들다 id: moneyplan 2010-03-30 3121
2364 [2010/11/16] 우리말) 연패 moneybook 2010-11-17 3121
2363 [2010/09/24] 우리말) 꽤 쌀쌀 moneybook 2010-09-24 3122
2362 [2008/01/07]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08-01-07 3123
2361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3125
2360 [2014/02/21] 우리말) 야로/개염/더펄이 머니북 2014-02-21 3125
2359 [2011/03/08] 우리말) 첫날 밤과 첫날밤 moneybook 2011-03-08 3126
2358 [2013/12/31] 우리말) 일몰과 해넘이 머니북 2013-12-31 3126
2357 [2010/06/10] 우리말) 책장사와 책장수 moneybook 2010-06-10 3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