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07/21] 우리말) 개발과 계발

조회 수 2988 추천 수 0 2015.07.22 07:13:54

.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8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개발과 계발]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어제 일요일 아침에 잠깐 텔레비전을 봤습니다.
왜 제 눈에는 꼭 틀리는 것만 보이는지...

8:26, MBC에서
'같은 춤도 저렇게 틀릴 수가'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틀리다와 다르다를 왜 저리도 가르지 못하나 싶습니다.
다행히 8:45에는
'예스러움이 묻어나는'이라고 했습니다.
'옛스러움'이라고 하지 않아서 정말 다행입니다.

텔레비전만 이런 실수를 하는 게 아닙니다.
지난 토요일에 오랜만에 제 이야기를 보내드렸는데,
거기에 또 실수가 있었네요.
'베개'를 '베게'로 썼습니다.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은 '베개'입니다.

'개'는
거의 모든 움직씨(동사)에 붙어 그러한 사람, 사물, 연장이라는 뜻을 더합니다.
오줌싸개, 코흘리개, 병따개, 덮개, 지우개, 날개 따위가 그렇습니다.
'게'는
움직씨(동사) 지다, 집다 따위에만 붙어 이름씨(명사)를 만듭니다.

중세국어에서는 '개'나 '게'를 붙여 이름씨(명사)로 만들었는데,
요즘은 거의 '개'만 쓰고 있습니다.

학자들 말씀으로는 예전에는 베게/베개, 집게/집개가 같이 쓰였으나,
요즘은 베개, 집게가 더 자주 쓰여 표준말로 굳어진 거라고 합니다.
어쨌든 
"잠을 자거나 누울 때에 머리를 괴는 물건"은 '베게'가 아니라 '베개'입니다.


'개발서적'에서 '개발'과 '계발'의 다른 점에 말씀이 많으시네요.
먼저 사전을 보면,
계발(啓發)은
지능이나 정신을 깨우쳐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개발(開發)도
(지식, 기술, 능력 등을) 더 나은 상태로 발전시키는 것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그 말이 그 말 같죠? 

흔히들,
지적이고 정신적인 대상에 '계발'을 쓰고 
물질적이고 물리적인 대상에 '개발'을 쓴다고 가르시기도 합니다.

저는 이렇게 가릅니다.
'계발'은
'계몽'을 떠올려 
"잠재된, 숨어 있던 것을 찾아내 드러나게 해서 일깨워준다"고 이해하고,
'개발'은
'개척'을 떠올려
"이미 존재하는 상태를 새로운 더 나은 방향으로 열어준다"고 생각합니다.

국립국어연구원에서는 이렇게 가릅니다.
'개발'과 '계발' 모두 어떤 상태를 개선해 나간다는 공통된 뜻이 있지만,
무엇을 '계발'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 무엇은 잠재되어 있어야 하지만 
'개발'에는 이러한 전제가 없다고 봅니다.
이런 점을 고려하면 '개발'은 단지 상태를 개선해 나간다는 뜻이지만 
'계발'은 잠재되어 있는 속성을 더 나아지게 한다는 뜻이 있다고 풉니다.
곧,
'능력 계발'은 잠재된 능력을 발전시킨다는 뜻이고, 
'능력 개발'은 잠재된 능력은 없지만 실력을 키워 발달하게 한다는 뜻이 되는 거죠.

토요일에 저는 '개발'을 썼습니다.
잠재된 깜냥은 없지만 실력을 키워 발달하게 하고 싶어서...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3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78
2516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50
2515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45
2514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41
2513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839
2512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39
2511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833
2510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830
2509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826
2508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816
2507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09
2506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805
2505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799
2504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794
2503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71
2502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770
2501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69
2500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763
2499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755
2498 [2015/04/13] 우리말) 차출과 착출 머니북 2015-04-13 5714
2497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