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조회 수 3048 추천 수 0 2015.11.09 14:59:36

.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싸가지와 거시기-성기지 운영위원
주변에서 ‘싸가지’란 말을 자주 들을 수 있는데, 방송이나 공공장소에서 이 말을 쓸 수 있는지 궁금해 하는 분들이 있다. 아마 이 말이 비속어라고 생각돼서 그런 것 같다. 그러나 이 말은 사투리(강원, 전남)이긴 하지만 비속어가 아니므로 방송이나 공공장소에서 사용해도 문제가 될 것은 없다. 이 말은 ‘어떤 일이나 사람이 앞으로 잘 될 것 같은 낌새’를 뜻하며, 표준말은 ‘싹수’이다.

그래서 어떤 사람이 앞으로 잘될 것 같으면, “싹수가 있다.”, “싸가지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반대로, 잘될 가능성이나 희망이 애초부터 보이지 않으면 “싹수가 노랗다.”, “싸가지가 없다.”고 말하는 것이다. 비록 ‘싸가지’란 말이 좋지 않은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그렇다고 ‘싸가지’ 자체가 속어나 비어인 것은 아니다. 말이란 사용하기 나름이다.

‘싸가지’와 함께 호남 사투리로만 알고 있는 ‘거시기’ 또한 표준말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은 듯하다. ‘거시기’는 어떤 일이나 사물의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을 때 그 대신으로 이르는 말이다. 친구 이름이 얼른 떠오르지 않을 때 “저, 우리 동창, 거시기 있잖아.” 할 수 있고, 어떤 일을 바로 말하기가 거북할 때에도 “저, 거시기, 지난번에는 죄송했습니다.”고 말할 수 있다. 일상적인 언어생활에서 매우 요긴하게 쓸 수 있는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문제를 냈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쌀쌀하네요.
저는 오늘 아침에도 애들과 함께 집을 나섰는데요.
언제나 느끼는 것이지만 애들이 커가는 것을 보면 참 신기합니다.
어찌 그리 말도 잘하고 눈치가 빠른지요.
어른인 제가 생각해도 깜짝 놀랄 말을 할 때가 잦습니다.
며칠 전 아침에 제가 늦잠을 좀 잤더니,
"아빠, 힘들어요? 오늘 하루 쉬시면 좋겠다..."라고 이야기하더군요.
어쩜 그리 예쁘던지요.
그 어린아이의 마음에도 아빠가 측은해 보였나 봅니다.

어린애는 어린애다워야 한다지만 그래도 신기합니다.
그리고 잘 자라주는 게 무척 고맙습니다. ^^*

오늘 문제를 낼게요.
어린아이의 말이나 행동이 어른 같은 데가 있을 때 쓰는 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좀 뚱겨드리자면
어른스럽다와 꼴이 좀 닮았습니다. ^^*
아슴푸레와 어슴푸레가 닮았듯이...

맨 먼저 답을 '댓글로 달아주시는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장으로 보내시면 제 일터에서 편지를 열어볼 수 없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34
2476 [2014/07/15] 우리말) 강담/죽담 머니북 2014-07-15 3045
2475 [2015/08/17] 우리말) 투잡 머니북 2015-08-17 3047
2474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3048
2473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3048
2472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48
2471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3049
»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3048
2469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3050
2468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3052
2467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052
2466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3052
2465 [2016/06/24] 우리말) 골탕 머니북 2016-06-26 3053
2464 [2010/11/04] 우리말) 됨새 moneybook 2010-11-04 3054
2463 [2015/06/16] 우리말) 헛얼 머니북 2015-06-17 3054
2462 [2014/06/05] 우리말) 무투표 당선 머니북 2014-06-05 3055
2461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056
2460 [2014/02/11]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4-02-11 3056
2459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3056
2458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059
2457 [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머니북 2016-03-31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