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연휴 잘 보내셨나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무엇이든 '가져야' 할까?-성기지 운영위원
우리 신문들의 기사를 꼼꼼히 살펴보면, 영어식 표현이나 번역투 말들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의 숱한 노력에도 아랑곳없이 우리말의 고유한 틀이 나날이 일그러지고 있으니 답답한 노릇이다.

그 가운데서도 “건전한 생각을 가진 정치인”이라든가, “소모임을 가졌다.”, “가진 사람들”처럼, ‘가지다’라는 말이 본뜻과는 다르게 매우 여러 곳에 쓰이고 있는 것이 눈에 뜨인다. 심지어는 “다섯 남매를 가진 가장”과 같은 표현까지도 보인다. 이때의 ‘가지다’는 모두 우리말에 알맞지 않게 쓰인 사례들이다. 우리말에서 ‘가지다’는 “손에 쥐거나 몸에 지니다”라는 뜻으로 써 온 낱말이다. 다시 말하면 무엇인가를 ‘차지하다’는 뜻으로 이 말을 써 왔다. 그런데 요즘 서양문화가 우리 생활을 지배하면서부터, 온갖 것을 탐내어 가지고 싶어하는 속성에 따라 영어의 ‘have’를 직역한 ‘가지다’가 아무 곳에나 쓰이고 있는 것이다.

“건전한 생각을 가진 정치인”은 “건전한 생각이 있는 정치인”이라 하면 되고, “소모임을 가졌다.”는 “소모임을 열었다.”로, “가진 사람들”은 “돈 많은 사람들”로 표현하면 된다. “다섯 남매를 가진 가장”도 “다섯 남매를 둔 가장”으로 해야 올바른 표현이다. 우리나라 헌법 제12조의 “모든 국민은 신체의 자유를 가진다.”는 문장도 “모든 국민에게 신체의 자유가 있다.”로 고쳐 써야 본디의 우리말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이든 가져야(have) 하는 문화는 우리에게 맞지 않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프로와 아마추어]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6:48 MBC 뉴스에서
'애기'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기저귀에서 벌레가 나왔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그 자막이 나왔습니다.
"어린 젖먹이 아이"는 아기입니다.
"막 태어난 아기"를 '아이'라고 하고 이 '아이'의 준말이 '애'입니다.
'아기, 아이, 애'라고 써야지 '애기'라고 쓰면 틀립니다.

그제 저녁에 집에서 손님을 치르느라 술을 좀 많이 마셨습니다.
그래서 어제는 우리말 편지도 못 썼죠.
그런 저를 두고 "선수가 왜 그리 아마추어처럼 마시냐."라는 분이 계시더군요.
왜 곧이곧대로 다 받아먹어 다음날까지 고생하냐는 말씀이십니다.
근데 어떡하죠? 저는 선수가 아니라 아마추어고, 선수보다 아마추어가 좋은데... ^^*

우리는
프로보다 기량이나 수준이 떨어지는 서툰 사람을 가리킬 때 '아마추어'라고 합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예술이나 스포츠, 기술 따위를 취미로 삼아 즐겨 하는 사람."이라 풀어놓고
'비전문가'로 다듬었다고 나와 있습니다.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아마추어는 '사랑하다'라는 라틴 어 '아마레(amare)에서 왔다고 합니다.
일에 대한 기량이나 수준의 문제가 아닙니다.
그것에 임하는 정신과 태도의 차이가 아마추어와 프로(프로페셔널)를 가릅니다.

유명한 골프선수 바비 존스는 은퇴할 때까지 프로가 아니라 아마추어였습니다.
골프를 못 쳐서가 아닙니다. 바로 골프를 사랑해서입니다.
그 사람 말을 빌려오면,
골프를 너무나 사랑하기 때문에 만약 그것이 돈을 버는 수단인 직업이 된다면 더는 골프를 사랑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해서 프로가 아닌 아마추어를 했다고 합니다.

저는 그제 밤에 아마추어처럼 술을 마신 게 맞습니다.
왜냐고요?
저는 술을 즐기고 사랑하는 사람이거든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5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78
2396 [2015/03/13] 우리말) 쑥되고 말았다 머니북 2015-03-13 3188
2395 [2016/08/03] 우리말) 코스프레 머니북 2016-08-10 3188
2394 [2008/07/30] 우리말) 에너지를 아끼는 데 함께하고자... id: moneyplan 2008-07-31 3189
2393 [2008/10/08] 우리말) 해외와 나라밖 id: moneyplan 2008-10-08 3189
2392 [2010/10/20] 우리말) 틀린 말 몇 가지 moneybook 2010-10-20 3189
2391 [2014/11/17] 우리말) 막냇동생 머니북 2014-11-17 3189
2390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189
2389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3190
2388 [2008/06/17] 우리말) 엉터리 자막 두 개 id: moneyplan 2008-06-17 3190
2387 [2015/07/14] 우리말) 도긴개긴 머니북 2015-07-15 3190
2386 [2014/09/11] 우리말) 팔월 한가위 머니북 2014-09-11 3191
2385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192
2384 [2015/09/11] 우리말) 빌다와 빌리다 머니북 2015-09-11 3192
2383 [2009/10/23] 우리말) 하루가 되기는 싫습니다 id: moneyplan 2009-10-23 3193
2382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3193
2381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193
2380 [2008/10/23] 우리말) 타래송곳 id: moneyplan 2008-10-23 3196
2379 [2009/05/21] 우리말) 이모씨 id: moneyplan 2009-05-21 3197
2378 [2011/03/16] 우리말) 잎샘 moneybook 2011-03-16 3197
2377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3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