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조회 수 3074 추천 수 0 2016.03.31 07:05:41

'뭐'는 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인 '무엇'의 준말입니다.
'머'는 '뭐'의 구어적 표현으로, 표준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무척 좋을 것 같네요.

저는 일터에 오갈 때 늘 손에 책을 들고 있습니다.
예전에 말씀드렸듯이 책 제목이 보이지 않게 종이로 싸서 가지고 다닙니다.
어제 퇴근하면서 책을 들고 가는데, 누군가 "그게 머야?"라고 묻더군요.
책인 줄 뻔히 알면서 그렇게 묻는 것을 보면, 아마도 어떤 책인지를 묻는 것이었을 겁니다.
그래서 "애덤 그랜트의 오리지널스입니다."라고 말해줬습니다.
요즘 제가 그 책을 읽고 있습니다.

'뭐'는 모르는 사실이나 사물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인 '무엇'의 준말입니다.
'머'는 '뭐'의 구어적 표현으로, 표준말입니다.
그래서,
"그거 뭐야?"라고 해도 되고 "그거 머야?"라고 해도 바릅니다.

'뭐'건 '머'건
늘 책을 가까지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틀린 말 몇 개]



안녕하세요.



오늘도 무척 더울 거라고 하네요. 건강하게 잘 보내시길 빕니다.



토요일 밤 10:10, KBS1에서 "고참님"이라고 했습니다.

고참은 こさん[고산]이라는 일본말에서 온 낱말로, 국립국어원에서 선임으로 다듬은 말입니다.



일요일 아침 MBC 8:17에 '뱃속'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뱃속'은 마음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뱃속이 편안하지 않다, 그 사람 뱃속을 도무지 알 수가 없다처럼 씁니다.

창자가 있는 배의 속은 '배 속'이 맞습니다.



어제 일요일 오전에 늦잠을 자다 고향 친구로부터 전화를 받았습니다.

다른 고향 친구 한 명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떴다고...

이제 겨우 40대 중반인데, 벌써 심장마비를 걱정하는 나이가 되었나 봅니다.

애들이 이제 겨우 초등학생과 중학생인데, 그 녀석들을 두고 어찌 눈을 감았나 모르겠습니다.



오늘 아침에 받은 고도원의 아침편지를 보니,

우리가 보낸 

하루하루를 모두 더하였을 때

그것이 형체 없는 안개로 사라지느냐, 

아니면 예술 작품에 버금가는 모습으로 형상화되느냐는 

바로 우리가 어떤 일을 선택하고 그 일을 

어떤 방식으로 하는가에 달려 있다.

라는 글이 있네요.

하루하루 열심히 살아야지 싶습니다.



그 친구 만나러 영안실로 가는데 마침 CD에서 정태춘의 사망부가라는 노래가 나오더군요.

아래에 붙입니다.



내 친구 기룡이의 명복을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사망부가(思亡父歌) 

정태춘





저 산꼭대기 아버지 무덤

거친 베옷 입고 누우신 그 바람 모서리

나 오늘 다시 찾아가네

바람 거센 갯벌 위로 우뚝 솟은 그 꼭대기

인적 없는 민둥산에 외로워라 무덤 하나

지금은 차가운 바람만 스쳐갈 뿐

아, 향불 내음도 없을

갯벌 향해 뻗으신 손발 시리지 않게

잔 부으러 나는 가네



저 산꼭대기 아버지 무덤

모진 세파 속을 헤치다 이제 잠드신 자리

나 오늘 다시 찾아가네

길도 없는 언덕배기에 상포자락 휘날리며

요랑 소리 따라 가며 숨 가쁘던 그 언덕길

지금은 싸늘한 달빛만 내리비칠

아, 작은 비석도 없는

이승에서 못다하신 그 말씀 들으러

잔 부으러 나는 가네



저 산꼭대기 아버지 무덤

지친 걸음 이제 여기 와

홀로 쉬시는 자리

나 오늘 다시 찾아가네

펄럭이는 만장너머 따라오던

조객들도 먼 길 가던 만가소리

이제 다시 생각할까

지금은 어디서 어둠만 내려올 뿐

아, 석상 하나도 없는

다시 볼 수 없는 분 그 모습 기리러

잔 부으러 나는 가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02
2436 [2009/05/22]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9-05-22 3083
2435 [2014/03/1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ㄴㄲ하다) 머니북 2014-03-18 3084
2434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3087
2433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3089
2432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3090
2431 [2010/10/13] 우리말) 달걀노른자처럼 샛노란 색 moneybook 2010-10-13 3090
2430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090
2429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3092
2428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3092
2427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093
2426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3093
2425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3093
2424 [2016/10/26] 우리말) 뜨덤뜨덤 머니북 2016-11-01 3093
2423 [2008/12/1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id: moneyplan 2008-12-13 3094
2422 [2009/04/27] 우리말) 삼천리강산 id: moneyplan 2009-04-27 3096
2421 [2014/08/21] 우리말) 헹글헹글하다 머니북 2014-08-21 3096
2420 [2009/06/19] 우리말) 오사바사하다 id: moneyplan 2009-06-19 3097
2419 [2014/08/13] 우리말) 머리숱 머니북 2014-08-13 3097
2418 [2015/12/15] 우리말) 육질과 과육 머니북 2015-12-15 3098
2417 [2009/03/19] 우리말) 현안 문제 id: moneyplan 2009-03-19 3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