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머니북(www.moneybook.co.kr)에서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가정경제에 관련한 주요 뉴스들을 중심으로 ‘뉴스브리핑’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 오늘은 칼럼을 여러분께 소개합니다.

1. 소비 관련
* 해외서 카드 사용할 때 주의할 것들

신용카드 해외 사용액이 늘어남에 따라 이에 대한 대비책에 관련한 뉴스가 나왔습니다.

내용을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해외 출국 전에 ‘출국여부 확인시스템’에 신청할 것.

즉 소지하고 있는 카드의 카드사의 ARS, 홈페이지, 각 지점 등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참여 카드사는 모두 12곳으로 롯데, 비씨, 삼성, 신한, 하나SK, 현대 등 전업 카드사 6곳과 국민, 광-주, 농협, 외환, 전북, 제주 등 은행 겸영 카드사 6곳입니다.

참고로, 롯데카드는 1588-8100, 비씨카드는 1588-4000, 삼성카드는 1588-8700, 신한카드는 1544-8800, 현대카드는 1577-6000, KB카드는 1588-1688, 외환카드는 1588-3200입니다.

둘째, 카드사 신고센터 번호를 메모해 할 것.

외국에서 카드 분실 및 도난에 대비해 카드사 신고센터 번호를 메모해 가는 습관도 필요합니다. 해외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사실을 인지한 즉시 국내 카드사에 신고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해외에서 분실시 카드사 연락처 중 일부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국내 번호인 82-2 를 넣어서 전화하시면 됩니다.

삼성카드 http://www.samsungcard.co.kr/?? 82-2-2000-8100 , 800-1588-8700
국민카드 http://kbcard.com??82-2-6300-7300
롯데카드 http://lottecard.co.kr??82-2-2280-2400
신한카드??http://www.shinhancard.com/??82-1544-7000,7200

셋째, 소지 카드가 외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지 꼭 확인할 것.

외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비자.마스타 등 국제 브랜드와 업무제휴가 된 카드인지 먼저 확인하는 것은 기본인데요. 단순한 국내용 카드는 외국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또 유럽은 가맹점 결제시스템이 칩(chip)카드 위주로 돼 있으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카드가 IC칩 카드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오래 전에 발급된 일반 마그네틱 카드로는 결제되지 않는 곳이 많습니다.

2. 대출 관련
* 금융권 'DTI완화' 대출 2일부터

무주택자나 1주택자들은 2일부터 완화된 총부채상환비율(DTI)의 적용을 받아 대출을 받을 수 있게 됐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무주택자나 1가구 1주택자가 서울 서초.강남.송파 등 강남3구를 제외한 비투기지역의 9억원 이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내년 3월 말까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폐지돼 금융회사가 자율적으로 정하게 된 정부의 8.29 부동산대책 이후 후속조치라 할 수 있습니다.

3. 보험 관련
* "車사고 시 보험사 지급 교통비 3만원 ↑"

자동차 사고 피해자가 차량 수리기간 중 보험사로부터 받는 교통비가 렌트카 비용의 30%로 상향 조정됩니다. 하루 평균 3만2000원 가량이 인상되는 셈입니다.

금융감독원은 '자동차보험 대차료 제도 개선방안'을 마련해 추진키로 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피해자들은 자동차 사고로 차량을 운행하지 못할 경우 차량 렌트하는 대신 보험사에서 일정 수준의 보험금을 받고 있는데요. 그런데 보험사에서 지급하는 보험금이 렌트카 비용의 20%에 불과해 보험가입자들의 불만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이에 금감원은 표준약관을 개정해 렌트카를 빌리지 않을 경우의 보험금 지급기준을 현행 실제 대차료의 20%에서 30%로 10%포인트 상향키로 했습니다. 차를 빌리지 않는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 수준을 높여 렌터카 수요를 줄이겠다는 취지라고 합니다.

[머니북 money@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8 [02/12(水)] 가정경제뉴스 - 작년 개인·자영업자 세금만 늘었다 머니북 2014-02-12 4997
57 [02/13(木)] 가정경제뉴스 - 금융거래 필수 개인정보… 3월부터 6개로 줄인다 머니북 2014-02-13 5208
56 [02/17(月)] 가정경제뉴스 - "고소득층, 집 사지 않고 전월세 선택했다" 머니북 2014-02-17 6798
55 [02/18(火)] 가정경제뉴스 - 전·월세도 주택 매매처럼 신고 의무화 추진 머니북 2014-02-18 4666
54 [02/19(水)] 가정경제뉴스 - 車보험료 4월부터 2~3% 오른다 머니북 2014-02-19 4661
53 [02/20(木)] 가정경제뉴스 - 재건축 규제 확 풀어…수도권 전매제한도 사실상 폐지 머니북 2014-02-20 5130
52 [02/21(金)] 가정경제뉴스 - 매출 줄고, 세무검증은 강화되고.. 자영업자는 어디로 머니북 2014-02-21 5223
51 [02/24(月)] 가정경제뉴스 - 고소득층 월 교육비 50만4300원 저소득층의 7배 지출 ‘양극화 심화’ 머니북 2014-02-24 5008
50 [02/25(火)] 가정경제뉴스 - 거대한 사기판, 집값 바닥론 - 선대인 선대인경제연구소장 머니북 2014-02-25 5700
49 [02/26(水)] 가정경제뉴스 - ‘집 사라’는 정책, 가계빚 더 빨리 늘렸다 머니북 2014-02-26 5263
48 [02/27(木)] 가정경제뉴스 - 월세 50만원 내는 5000만원 연봉자 … 연말정산 때 60만원 돌려받아 머니북 2014-02-27 6836
47 [02/28(金)] 가정경제뉴스 - 악성 가계빚 느는데… 느긋한 당국 “관리 가능” 되풀이 머니북 2014-02-28 6159
46 [03/03(月)] 가정경제뉴스 - 소형주택 투자자 '나 어떡해' 머니북 2014-03-03 5018
45 [03/04(火)] 가정경제뉴스 - 연봉 8000만원대, 소득세 108만원 더 낸다 머니북 2014-03-04 5353
44 [03/05(水)] 가정경제뉴스 - 자영업자 687만명·과세미달자 516만명엔 감세 혜택 '0' 머니북 2014-03-05 5300
43 [03/06(木)] 가정경제뉴스 - ‘집주인 대책’으로 변질된 전·월세 대책 머니북 2014-03-06 6237
42 [03/07(金)] 가정경제뉴스 - 요동치는 전·월세시장 '5대 포인트' 머니북 2014-03-07 5755
41 [03/10(月)] 가정경제뉴스 - 고령자·저소득층 금융이해력 낮다 머니북 2014-03-10 5742
40 [03/12(水)] 가정경제뉴스 - [2014 재테크, 변수는 세금이다] 올 금융소득 2500만원 되면 500만원은... 머니북 2014-03-12 5036
39 [03/13(木)] 가정경제뉴스 - "3000만원 투자로 월세 50만원" 오피스텔의 비밀 머니북 2014-03-13 4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