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 고등학생이 쓴 기사를 함께 보고자합니다.

http://www.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800&key=20160405.22020185142

학교서 쓰는 일제 잔재 단어 없애야

광복 70주년이 넘었지만, 학교와 학생들 사이에는 여전히 일제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어 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단어 사용이다. '운동회 계주 나갈 사람' '매점 가자' '쓰레빠라도 신고 다녀라' '마이 입어라' 등은 학교생활 중 학생과 교사들이 흔히 쓰는 말들이다. 하지만 계주, 매점, 쓰레빠, 마이는 모두 일제 강점기 영향이 남은 잔재 단어다. 이는 각각 이어달리기, 가게, 슬리퍼, 재킷으로 바꾸어 사용해야 한다. 그런데도 일상적으로 일본어나 일본어에서 유래한 표현을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김재민(경남고 1) 군은 "와꾸라든지 노가다, 다라이, 와사비 등 일상생활 속에서도 일본어를 많이 쓰고 있다. 우리말을 해치고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익숙하기도 하고 일본어인지 잘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고 털어놓았다.

이처럼 일본식 용어는 생활 속에서 너무나 자연스럽게 자주 사용돼 학교나 학생 모두 심각성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학교나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의식적으로 하나씩 고치고 바꿔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동해중학교 조희선(국어) 교사는 "학생들이 일제 잔재 단어에 대해 크게 관심을 두지 않는다"며 "우리의 생각 자체가 언어라고 할 수 있으므로 어떤 언어를 쓰는지는 굉장히 중요한 문제다. 일제 잔재 단어를 고칠 수 있도록 학생 스스로가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승준 학생기자· 경남고 1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글문화연대 소개]



안녕하세요.



아침에는 쌀쌀하고 낮에는 더워 기온차가 크네요.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어제 제가 보낸 편지에서 제 실수가 있었네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에서 하고 있는 일을 소개하겠습니다.

먼저,

보건복지가족부의 '홈리스'라는 법률용어를 가름할 우리말을 찾고 있습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board_show.asp?board_no=23&serial_no=4277

에 들어가서 보시고 좋은 의견이 있으시면 urimal1@paran.com로 보내주시면 됩니다.



다음은 '기쁘고 슬픈 일을 한글로 나누자'는 운동입니다.

곧, 경조사 봉투를 우리말로 쓰자는 겁니다.

http://www.urimal.org/scrpt/board/alrim_show.asp?board_no=22&serial_no=253

에 들어가 보십시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495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0527
2436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2958
2435 [2016/11/02] 우리말) 속도 단위 머니북 2016-11-02 2958
2434 [2010/09/24] 우리말) 꽤 쌀쌀 moneybook 2010-09-24 2959
2433 [2016/03/30] 우리말) 머와 뭐 머니북 2016-03-31 2959
2432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2960
2431 [2009/04/02] 우리말) 예전 편지만 붙입니다. id: moneyplan 2009-04-02 2960
2430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2961
2429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2961
2428 [2016/04/07]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머니북 2016-04-07 2961
2427 [2015/10/02] 우리말) 객쩍다 머니북 2015-10-02 2962
2426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2965
2425 [2015/07/14] 우리말) 도긴개긴 머니북 2015-07-15 2965
2424 [2016/08/03] 우리말) 코스프레 머니북 2016-08-10 2965
2423 [2009/03/16] 우리말) 주야장천 id: moneyplan 2009-03-16 2967
2422 [2014/06/25] 우리말) 끌탕 머니북 2014-06-26 2967
2421 [2016/12/28] 우리말) 올 한 해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를 모았습니다. 머니북 2016-12-29 2968
2420 [2016/04/29] 우리말) 주접스럽다 머니북 2016-04-29 2969
2419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2970
2418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2971
2417 [2008/07/09] 우리말) 엉터리 말과 자막 id: moneyplan 2008-07-09 2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