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18]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조회 수 2915 추천 수 0 2016.05.18 11:50:15

.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침부터 좀 바쁘네요.
예전에 보낸 편지로 오늘 치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알맹이와 알갱이]

안녕하세요.

아침 뉴스에서 보니 황금벌판이 보이네요.
이런 때는 들판에 나가 눈을 기쁘게 해 줘야 만수무강이 좋을 것 같은데 이렇게 사무실에만 박혀 있네요. ^^*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고 합니다.
벼 알갱이가 꽉 찰수록 고개를 숙이는 게 마치 사람의 삶 같습니다.
알수록 겸손하고, 가질수록 나누고, 높이 오늘 록 아래를 봐야 하는 우리네 삶...

오늘은 알맹이와 알갱이를 갈라 볼게요.
벼 낟알을 알갱이라고 해야 하는지 알맹이라고 해야 하는지...
포도 알맹이가 맞는지 알갱이가 맞는지...

'알갱이'는 
곡식, 모래 따위와 같이 작고 동글동글하며 단단한 물질을 말하고,
'알맹이'는 
껍질이나 껍데기에 싸여 있는 작은 물질을 뜻합니다.

쉽게 가르자면,
껍데기가 있으면 '알맹이'를 쓰고 그렇지 않으면 '알갱이'를 쓰시면 됩니다.
다음 월 하나 외워두시면 헷갈리지 않으시겠네요.
'모레 알갱이가 묻어 포도 알맹이만 빼 먹고 껍질은 버렸다.'

오늘도 날씨가 무척 좋네요.
이 좋은 날씨만큼 기분 좋게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껍질과 껍데기의 다른 점은 아시죠?
"딱딱하지 않은 물체의 겉을 싸고 있는 질긴 물질의 켜"는 '껍질'이고,
"달걀이나 조개 따위의 겉을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이 '껍데기'입니다.

화투에서
끗수가 없는 패 짝을 피라고 하기도 하지만, 껍질이나 껍데기라고도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9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43
2596 [2013/09/10] 우리말) 부나비 머니북 2013-09-10 7859
2595 [2012/10/26] 우리말) 바래다와 바래지다 머니북 2012-10-26 7800
2594 [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머니북 2012-08-06 7783
2593 [2009/04/13] 우리말) 헛으로와 허투루 id: moneyplan 2009-04-13 7732
2592 [2009/02/06] 우리말) 쌈빡하다와 삼박하다 id: moneyplan 2009-02-06 7716
2591 [2006/09/03] 우리말)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id: moneyplan 2006-09-04 7695
2590 [2007/08/24] 우리말) 허니문베이비의 순 우리말은? [1] id: moneyplan 2007-08-24 7652
2589 [2012/09/27] 우리말) 부저와 단추 머니북 2012-09-27 7606
2588 [2013/02/20] 우리말) 봄꿈 머니북 2013-02-20 7558
2587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508
2586 그 동안 연재하던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을 종료 합니다. 머니북 2017-11-28 7376
2585 [2013/09/12] 우리말) 슬다 머니북 2013-09-12 7295
2584 [2012/09/26] 우리말) 햅쌀과 오려쌀 머니북 2012-09-26 7189
2583 [2014/01/23] 우리말)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머니북 2014-01-23 7179
2582 [2012/03/22]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2-03-22 7173
2581 [2006/09/18] 우리말) 숟가락을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6-09-18 6997
2580 [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4 6881
2579 [2013/09/09] 우리말) 고운때 머니북 2013-09-09 6865
2578 [2010/01/11] 우리말) 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1-11 6837
2577 [2006/09/25] 우리말) 모듬과 모둠 id: moneyplan 2006-09-25 6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