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5/25] 우리말) 틀린 한자 몇 개

조회 수 3850 추천 수 0 2016.05.26 17:28:12

.

안녕하세요.

어찌어찌 하다 보니, 거의 매주 서울에 갑니다.
오늘도 아침 일찍 서울로 떠납니다. 어떤 분과 점심을 함께하기로 해서... 

어제 보낸 편지에서 한글 전용에 대한 헌법 소원 이야기 하면서
한글로 된 공문을 한자로 바꾸면 이렇게 될거라면서 한자로 바꾼 공문을 보여드렸습니다.
많은 분이 충격을 받으셨다고 답장을 보내주셨네요.

김영조 님이 만드시는
신한국문화신문에도  그 내용을 그대로 옮겨 실었습니다.
http://www.koya-culture.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650

어제 보내드린 한자로 바꾼 낱말 가운데 잘못 바꾼 게 있어서 바로잡습니다.
교육代像者 -> 교육對象者
信圭硏究士 -> 新規硏究士 
귀 旗官 -> 귀 機關
수강 筆受 -> 수강 必須
발간 100附 -> 발간 100部
講士 -> 講師

고맙습니다.

보태기)
신한국문화신문에도 꾸준한 관심을 부탁드립니다.
http://www.koya-culture.com
아름다운 우리 문화를 찾아내고, 사라지는 문화를 지키고자 애쓰는 신문입니다.

아래는 2009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이자 방송사회자인 정재환 님의 글을 소개하겠습니다.


공공언어는 쉬워야 한다!

불필요한 외래어·외국어 남발… 우리말 순수성 잃고 더 어려워



라디오 뉴스를 들었다. 소득 수준에 따라 부동산대출액을 제한하는 DTI, 즉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은행권에서 제2금융권으로 확대 시행된다고 한다. 잘 들어보니 소득을 기준으로 부동산을 구입할 때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을 제한한다는 얘기인 것 같다. 문제는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 하면 되는데 DTI라는 말을 꼭 앞에 갖다 붙인다는 점이다. 

LTV는 만기 10년 이하 또는 만기 10년 초과ㆍ담보가액 6억원 초과 아파트에 대해 현행 60%이내인 LTV를 50%이내로 강화한단다. 역시 문제는 LTV이다. LTV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해줄 때 담보물의 가격에 대비하여 인정해주는 금액의 비율을 말한다. 즉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다. 이것을 50%로 강화한다는 것은 앞으로는 돈을 덜 빌려주겠다는 얘기이다. 

글쓴이가 하고 싶은 얘기는 총부채상환비율 규제 확대나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을 강화하는 것이 옳다든가 그르다든가 하는 얘기가 아니다. 그런 문제에는 관심도 없고 아는 것도 없고 주장할 것도 없다. 

문제는 뉴스를 전하는 기자의 보도 태도이다. DTI라고 먼저 말하고 나서 즉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확대된다고 말하는 방식은 옳지 않다. DTI로 운을 뗄 필요 없이 그냥 총부채상환비율 규제가 확대된다고 하면 되고, LTV를 언급할 것 없이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라고 하면 된다. 

총부채상환비율과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라는 말을 줄여 쓰고 싶은 심리가 작동했을 수도 있다. 그런 것이라면 '총상비'라든가 '대출인비' 하는 식으로 약어를 만들어 써야 한다. 그런데 이 두 말은 약어를 만들기 어려울 것 같다. '총상비', '대출인비'라고 했을 때 그게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을까? 그래서 어쩔 수 없이 DTI와 LTV를 쓰는 것일까? 하지만 DTI와 LTV는 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DTI'라고 하고 다시 '즉 총부채상환비율'이라고 말하는 식의 보도 태도는 말하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도 아니고 바람직하지도 않다. 불필요한 외래어 남발은 우리말의 순수성을 해칠 뿐만 아니라 우리말을 점점 어렵게 만든다. 다소 복잡하고 장황한 설명이 됐지만 좀 길어도 그냥 총부채상환비율과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이라고 해야 쉽다. 방송 뉴스뿐만 아니라 신문 보도도 마찬가지다. DTI와 LTV는 이제 파지 속으로 들어가야 한다. 

국립국어원에서는 공공언어의 바람직한 상을 정립하기 위해 여러 가지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우리말 다듬기인데, 일상에서 빈번하게 쓰고 있는 외국어와 외래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는 작업이다. 뒤늦게 그런 걸 왜 하느냐고 힐난하는 분도 있고 이미 외국어와 외래어가 퍼질 대로 다 퍼졌는데 다듬은 말이 보급이 되겠느냐고 걱정하는 분도 있다. 하지만 하지 않는 것보다 백번 낫다. 또한 언중은 우리말 사용의 주체로서 국립국어원의 노고에 격려하고 협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신문과 방송 등 언론의 협력이다. 네티즌이라는 말이 널리 퍼졌었지만 누리꾼을 방송과 신문에서 보급한 것처럼 핫이슈 대신 '주요쟁점'을, 팝업창 대신 알림창을, 멘토 대신 인생길잡이를, 가십거리 대신 입방아거리를 쓰기 바란다. 

563돌 한글날 경축사를 통해 정운찬 총리는 우리말글을 지키고 가꿔나가는데 정부도 온 힘을 다하겠다면서 공공기관의 잘못된 언어사용부터 바로잡겠다고 약속했다. 공공기관의 잘못된 언어사용에는 그랜드 바겐, 원샷딜, 녹색IT, 잡 셰어링, 시장 프렌들리 같은 말도 포함될 것이다. 과연 정 총리가 약속을 지킬 수 있을까?
<이 글은 '경인일보-수요광장' 에 실렸습니다.>


정재환(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 방송사회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2074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6277
1256 [2011/04/25] 우리말) 요금, 값, 삯, 비 moneybook 2011-04-25 3773
1255 [2012/10/05] 우리말) 한글문화연대 소개 머니북 2012-10-05 3773
1254 [2014/07/17] 우리말) 까대기 머니북 2014-07-17 3774
1253 [2013/04/17] 우리말) 텍스트와 코너 머니북 2013-04-17 3776
1252 [2007/06/22] 우리말) 넘지 말아야 할 금도? id: moneyplan 2007-06-22 3777
1251 [2009/05/18] 우리말) 준말과 줄어든 말 id: moneyplan 2009-05-18 3777
1250 [2012/05/01] 우리말) 전기료와 전기세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2-05-02 3777
1249 [2012/11/21] 우리말) 찝찝하다/찜찜하다 머니북 2012-11-22 3777
1248 [2011/01/13] 우리말) 때마침 moneybook 2011-01-13 3778
1247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778
1246 [2009/10/14] 우리말) 노총 id: moneyplan 2009-10-14 3780
1245 [2012/12/05] 우리말) 거슬르다 -> 거스르다 머니북 2012-12-05 3780
1244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781
1243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781
1242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3781
1241 [2011/06/17] 우리말) 나시와 민소매 머니북 2011-06-17 3781
1240 [2008/02/25] 우리말) 가장자리 id: moneyplan 2008-02-25 3782
1239 [2008/10/28] 우리말) 명함 만들기 id: moneyplan 2008-10-28 3782
1238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782
1237 [2016/01/21] 우리말) 갑부 머니북 2016-01-21 37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