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28] 우리말) 회까닥

조회 수 3002 추천 수 0 2016.06.29 08:59:15

갑자기 정신이 이상해지는 모양을 속되게 이르는 말은 '회까닥'입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영국이 유럽연합에서 탈퇴하는 것을 두고 말이 많네요.
국민투표를 해서 탈퇴하는 것으로 결정 났지만,
막상 국민투표 직후 인터넷 검색 순위는 1위가 'EU를 떠나는 것이 무슨 의미인가', 2위는 'EU가 뭐예요'였다고 합니다.
국민투표를 하면서 왜 하는지도 모르고 한 거죠.
영국 국민이 회까닥했나 봅니다.

갑자기 정신이 이상해지는 모양을 속되게 이르는 말은 '회까닥'입니다.
헷갈리다를 떠올려서 헤까닥이라고 쓰면 틀립니다.

영국 사람들은 회까닥했더라도,
우리는 정신 바짝 차리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봉원 님의 누리집을 소개하겠습니다.
'전국 국어 운동 대학생 동문회'입니다.
http://www.hanmal.pe.kr/

그곳에 가면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이 있고,
한일문화어울림연구소 소장이신 이윤옥 교수님께서 
우리 주변에 있는 잘못된 말글살이 현장을 꼭 집어 사진으로 고발하시는
'현장 고발'도 있습니다.

가끔 들르셔서 구경도 하시고 좋은 글도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한말글 이름 잘 짓는 열두 가지 방법
입니다.

고맙습니다.

1. 부르기 쉽고 듣기 좋아야 한다. 

2. 좋은 뜻이 있으면 더욱 좋다. 
그러나 그 뜻이 남에게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 
지어 준 이만 알 수 있는 주관적인 것이어도 상관은 없다. 
- ‘하늘 뜻대로 사는 사람’을 줄인 ‘하람’처럼 

3. 소리만 듣고도 정확히 적을 수 있는 이름이 좋다. 
- ‘솔아’는 ‘소라’로 잘못 듣기 쉽다. 
- ‘박’씨의 경우, ‘방’으로 소리나는 이름들이 있다. x ‘박 미리’ 

4. 이름의 경우엔 맞춤법에 따르지 않고 연철해도 된다. 
- ‘어진이(어진 사람)’를 ‘어지니’로, ‘탐이나(탐이 나)’를 ‘타미나’로 

5. 요즘 잘 안 쓰는 옛말이나 사투리를 적극 활용한다. 

6. 복합어나 문장으로 짓는 것도 좋다. 
- ‘아름나라’, ‘하얀언더기’, ‘정이든’ 

7. 외자 이름(‘김 ㅇ’)이나 두자 이름(‘박 ㅇㅇ’)에서 벗어나 보자. 
- ‘이 아리따’, ‘오 아름나라’, ‘김 하얀언더기’ 

8. 형제(자매)의 이름은 서로 어울리게 짓는다. 
- ‘아롱-다롱’, ‘나라-내리-노상-누리’, ‘참-아름-다운’ 

9. 놀림감이 될 수 있는 이름은 피하고, 너무 노골적인 이름은 삼가라. 
- 부자 되라고 지은 ‘다모아’를 "쓰레기통"이라 놀릴 수 있다. 
- x ‘황 두루미’, ‘진 달래’ 

10. 너무 아기 이름 같아도 좋지 않다. 
- x ‘귀염’, ‘예쁘니’, '갓난이' 

11. 너무 흔한 이름은 피해 가자. 

12. 지은 이름이 성씨하고도 어울리는지 살펴야 한다. 
- x ‘안 예쁜’, ‘민 머리’, ‘방 구슬’, ‘박 한마음(박한 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17
2576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843
2575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732
2574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6112
2573 [2006/12/14] 우리말) 어제는 어머니와 함께 점심을 먹었습니다 id: moneyplan 2006-12-14 5565
2572 [2006/12/15] 우리말) 본데없는 사람 id: moneyplan 2006-12-15 4508
2571 [2006/12/16]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id: moneyplan 2006-12-18 4887
2570 [2006/12/18] 우리말) 살찌다와 살지다 id: moneyplan 2006-12-18 5619
2569 [2006/12/18] 우리말) 암캐도 복제 성공했다 id: moneyplan 2006-12-19 6061
2568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6004
2567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108
2566 [2006/12/21] 우리말) 기여가 아니라 이바지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1 9915
2565 [2006/12/22] 우리말) 외골수/외곬 id: moneyplan 2006-12-22 4598
2564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69
2563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757
2562 [2006/12/27] 우리말) 책을 구입하고 책 값을 지불하신다고요? id: moneyplan 2006-12-27 5254
2561 [2006/12/28] 우리말) 용서하고 풀치고... id: moneyplan 2006-12-28 4891
2560 [2006/12/29] 우리말) 하일라이트가 아니라 하이라이트 id: moneyplan 2006-12-29 5214
2559 [2006/12/31] 우리말) 올 한 해를 뒤돌아볼까요 되돌아볼까요? id: moneyplan 2007-01-02 4177
2558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65
2557 [2007/01/03] 우리말) 어제 시무식에서 들은 말 id: moneyplan 2007-01-03 5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