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조회 수 2809 추천 수 0 2016.07.06 09:44:27

'욱여넣다'는 "주위에서 중심으로 함부로 밀어 넣다."는 뜻으로
'알밤을 주머니에 욱여넣다, 원서를 가방에 욱여넣었다.'처럼 씁니다.

주말 잘 보내셨나요?

이곳은 비가 내려서 밖에도 못 나가고 집 안에서 애들과 뒹굴고 오구탕치며 놀았습니다.
아파트가 아니라서 맘껏 뛰어놀고 소리 지를 수 있어서 좋습니다. ^^*

어제저녁에 텔레비전을 보는데,
'남자의 자격(?)'에서 한 출연자가 전차 안으로 들어갈 때 '욱여넣다'는 자막이 나오더군요.

'욱여넣다'는 "주위에서 중심으로 함부로 밀어 넣다."는 뜻으로
'알밤을 주머니에 욱여넣다, 원서를 가방에 욱여넣었다.'처럼 씁니다.

이를 '우겨넣다'고 쓰면 틀립니다.

이 번주는
제 몸과 영혼을 일터와 일에 욱여넣는 일이 없기를 기대해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09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덤터기]
안녕하세요.

아침에 안개가 낀 것을 보니 오늘도 날씨가 좋을 것 같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저는 사람들과 어울리기를 좋아하고
그런 자리에 꼭 따라오는 곡차도 즐깁니다.
그래서 누군가 부르면 한걸음에 달려갑니다. 

아무리 그래도 가끔은 자리를 가리기도 합니다. ^^*
괜히 이상한 자리에 끼게 되면 나중에 덤터기를 쓸 수도 있잖아요. 

흔히,
남으로부터 넘겨받은 걱정거리를 `덤터기`라고 합니다.
'덤터기 쓰다'라고 하여 억울한 누명이나 오명을 뒤집어쓰는 일로 더 널리 쓰이고 있죠.
이를 좀 강조하고자 그러는지 '덤테기'라고 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표준말은 덤터기입니다.

12월 연말입니다.
여기저기서 술자리가 많을 것이고,
흥청망청하면서 여기저기 끼다 보면,
나도 모르게 덤터기를 쓸 수도 있습니다.
낄 자리 안 낄자리 잘 가려서 함께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84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413
36 [2014/09/24] 우리말) 산득 머니북 2014-09-24 2827
35 [2015/12/01]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머니북 2015-12-02 2825
34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824
33 [2015/03/17] 우리말) 햇빛/햇살/햇볕 머니북 2015-03-17 2822
32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22
31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820
30 [2015/01/07] 우리말) 뽁뽁이 머니북 2015-01-07 2818
29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18
28 [2009/04/29] 우리말) 구구단 id: moneyplan 2009-04-29 2818
27 [2015/04/17] 우리말) 피로연 머니북 2015-04-17 2813
26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812
25 [2014/06/02] 우리말) 들차다 머니북 2014-06-02 2812
24 [2015/04/27] 우리말) 춘향과 춘양 머니북 2015-04-27 2811
23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11
»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09
21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808
20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06
19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806
18 [2016/03/09] 우리말) 꽃샘추위/잎샘추위/꽃샘잎샘 머니북 2016-03-10 2800
17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