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상황에 따라 표현을 다르게 해야 하는 말들이 있다. “드디어 사업이 망했다.”고 말하면 왠지 어색한 느낌이 든다. 그것은 ‘드디어’라는 말을 상황에 맞지 않게 사용했기 때문이다. ‘드디어’는 “드디어 사업이 성공했다.”처럼, 긍정적인 말과 함께 써야 하는 부사이다. 사업이 망했을 때처럼 부정적인 상황에서는 “끝내 사업이 망했다.”처럼 말해야 자연스럽다. 여자 친구와 헤어진 남자가 “드디어 그녀와 헤어졌다.”고 할 때와, “끝내 그녀와 헤어졌다.”라고 할 때는 그 말의 뜻이 완전히 서로 다르게 전달된다. 

똑같이 회사에서 물러나는 일인데도 정년퇴직을 할 때와 명예퇴직을 할 때에 사용하는 동사가 다르다. “정년퇴임을 맞이하다/맞다.”처럼 긍정적인 상황에서는 ‘맞다’를 쓰지만, “명예퇴직을 당하다.”에서 볼 수 있듯이 부정적일 때에는 ‘당하다’를 쓴다. 만일 “정년퇴임을 당하다.”라고 한다든지, “명예퇴직을 맞이하다.”라고 말하면 무척 어색한 느낌이 들 것이다.

또, 자기 이름이 남의 입에 오르내릴 때에도 부정적일 때와 긍정적인 때는 서로 다른 말로 표현한다. 좋지 않은 일로 남의 입에 오르내리면 “남의 구설에 오르다.”라 하고, 좋은 일로 남의 입에 오르내릴 때에는 “그 사람의 선행은 널리 회자되었다.”처럼 표현한다. 가끔 “남의 구설수에 오르다.”라는 말을 들을 수 있는데, 이는 바른 말이 아니다. ‘구설수’는 구설에 오를 운수를 뜻하므로 “구설수가 있다.”, “구설수에 시달렸다.”처럼 쓰이는 말이다. 

고맙습니다. ^^*

아래는 2010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희소병]
안녕하세요.

이번 주도 무척 추울 거라고 합니다.
그러나 겨울이니까 추운 게 마땅합니다. 겨울 추위 잘 즐기시길 빕니다.

지난 토요일 무한도전이라는 방송에서 '피로회복'이라는 말을 썼습니다.
출연자가 그렇게 말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정말 징글징글합니다.
피로는 회복할 게 아니라 없애버릴, 곧, '해소'할 대상입니다.
굳이 회복한다면 그건, 피로가 아니라 원기를 회복해야죠.
피로해소, 원기회복... 이게 그리도 입에 붙이 않나 모르겠습니다.

어제 일요일 저녁(8:45)에 KBS2에서 무슨 퀴즈 프로그램을 하면서 출연자가 '희귀병'이라고 했습니다.
'희귀(稀貴)'는 드물어서 매우 진귀한 것입니다.
'희소(稀少))'는 매우 드물고 적음입니다.

그럼
매우 드물게 나타나며, 치료하기도 어려운 병을 뭐라고 해야 할까요?
희귀병이라고 해야 할까요, 희소병이라고 해야 할까요?
대부분 어린이들에게 걸려 힘들어하는 병을 두고 
희귀병이라고 합니다.
그게 귀한 병입니까? 애들은 힘들어하는데 그게 귀한 거예요?
그건 '희귀병'이 아니라 '희소병'입니다.

별 뜻 없이 만들거나 쓰는 낱말 하나가 여러 사람의 가슴을 후벼 팔 수도 있습니다.

'불치병'은 아무리 애써도 치료를 할 수 없어 나을 수 없는 병이고,
'난치병'은 어쨌든 애쓰면 나을 수 있는 병입니다.
그래서 불임이 아니라 난임이라는 말을 쓰자는 겁니다.
'불임'은 아무리 애써도 애를 낳을 수 없는 것이고,
'난임'은 어렵긴 하지만 애쓰면 애를 낳을 수 있는 겁니다.

희소병과 희귀병은 모두 사전에 오르지 않은 낱말입니다.
사전에 올리면서 낱말 풀이를 제대로 달기를 기대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47
76 [2006/11/14] 우리말) 사의 표명! 반려? id: moneyplan 2006-11-14 6065
75 [2006/11/13] 우리말) 싸가지/소갈머리 --> 늘품/늧 id: moneyplan 2006-11-13 4910
74 [2006/11/12] 우리말) 지금 집을 사면 낭패라죠? id: moneyplan 2006-11-13 4852
73 [2006/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농민의 날! id: moneyplan 2006-11-13 5038
72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5897
71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5401
70 [2006/11/08] 우리말) 인상/인하는 값 오름/값 내림으로 id: moneyplan 2006-11-08 5084
69 [2006/11/07] 우리말) 날씨가 꽤 춥네요. 그렇다고 너무 웅숭그리지 마세요 id: moneyplan 2006-11-07 4838
68 [2006/11/06] 우리말) 군포시, 고맙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7 4998
67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5338
66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5411
65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710
64 [2006/10/31] 우리말) 시월의 마지막 밤 id: moneyplan 2006-11-01 5087
63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5991
62 [2006/10/23] 우리말) 열심히 다좆치고 죄어치겠습니다 id: moneyplan 2006-10-23 5012
61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639
60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74
59 [2006/10/20] 우리말) 닦달하다 id: moneyplan 2006-10-20 4990
58 [2006/10/19] 우리말) 명란젓과 창난젓 id: moneyplan 2006-10-19 4447
57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