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8/09] 우리말) 따 논 당상 자리?

조회 수 2967 추천 수 0 2016.08.10 09:50:00

'맡아 놓은 일, 확실한 일'은
'떼어 놓은 당상'이나, '떼어 둔 당상'이라고 써야 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올림픽 양궁 보셨나요?
정말 대단하더군요.
1988년에 양궁 단체전이 만들어진 뒤로 지금까지 한 번도 다른 나라에 금메달을 준 적이 없다고 합니다.
그 정도면 양궁 단체전 금메달은 우리나라에 주려고 따로 떼 놨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겁니다. ^^*

우리말에 '떼어 놓은 당상 자리'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없이 진행될 것이란 뜻이죠.

'당상'은 조선시대의 높은 벼슬인데,
꼭 어떤 사람에게만 주려고 따로 떼어 놓은 자리라는 뜻이 
'(따로)떼어 놓은 당상'입니다.
곧, '맡아 놓은 일, 확실한 일'이죠.
따라서, '떼어 놓은 당상'이나, '떼어 둔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따다'는
붙어 있는 것을 잡아떼다, 
노름, 내기, 경기 따위에서 이겨 돈이나 상품 따위를 얻다,
봉한 것을 뜯다 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떼다'는,
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전체에서 한 부분을 덜어내다,
함께 있던 것을 홀로 남기다,
걸음을 옮기어 놓다 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따라서,
사과 따듯 나무에 걸린 당상 벼슬을 따거나,
고스톱 쳐서 벼슬을 따거나,
봉투 속에 든 벼슬을 꺼낸 게 아니니,
당연히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올림픽에는 여러 종류 경기가 있을 겁니다.
양궁처럼 우리나라 선수에게 주려고 따로 떼어 둔 당상 자리 또 없을까요? ^^*

고맙습니다.


보태기)
1.
까맣다-까마니/퍼렇다-퍼러니처럼 'ㅎ' 소리가 줄어져 나타나지 않는 용언은 형용사입니다.
따라서, 
'떼어 놓은 당상'을 '떼 논 당상'으로 쓰는 것은 잘못된 겁니다.

2.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따다'를 찾아보면 속담으로
'따 놓은 당상 = 떼어 놓은 당상'이라고 나옵니다.
'따 놓은 당상'도 쓸 수 있다는 뜻인데, 그 까닭은 잘 모르겠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쓴 우리말 편지입니다.



[미친 존재감]


안녕하세요.

춥죠? 어제 첫눈을 봤습니다. ^^*

1.
며칠 앞에 보내드린 편지에서 '착하다'를 어떻게 생각하시냐고 여쭤봤습니다.
오늘은 '미치다'를 여쭤볼게요.
'미치다'는 정신이 나간 것을 뜻합니다.
그래서 상식에 벗어난 행동을 하거나 어떤 일에 지나치게 열중하는 것을 뜻합니다.
그런데 요즘 인터넷에서는 '절대적인'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것 같습니다.
미친 존재감, 미친 몸매, 미친 각선미라는 말도 있습니다.
여러분은 '미치다'가 그렇게 쓰이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생각을 보내주시면 우리말 편지에서 같이 나누겠습니다.

2.
며칠 앞에 보내드린 편지를 보시고 토론토에 계시는 어르신께서 편지를 보내셨습니다.

- 단위는 띄어 씁니다라고 했는데, 단위(單位)는 우리말로 "낱자리"나 "하나치"를  쓰면 어떨까요?
낱자리(단위)는 띄어 씁니다.
- '아주 좋다', '예쁘다'와 '싸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요즘 인터넷에서 '착하다'가 그런 뜻으로 쓰이고 있는데
 라고 했는데, 쓰이고 있다는 쓰고 있다로 쓰면 어떨까요?
- 위험, 언행, 심지어, 의견과 공유는 한문을 쓰셨는데, 아래와 같이 고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험하다 : 바드럽다, 아슬아슬하다, 간간하다
언행 : 말과 몸가짐, 말과 짓, 말짓.
심지어 : 더더욱, 더욱이, 나중에.
의견 : 생각, 뜻
공유 : 함께 나누기, 함께 누리기

날씨가 춥습니다.
겨울에 추운 것이야 마땅하니 그 추위를 즐겨야겠지만,
바닥이 미끄러운 것은 반갑지 않습니다.
발길 조심하시고 늘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49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014
2436 [2017/01/12] 우리말) 흔줄 머니북 2017-01-13 3090
2435 [2010/10/14] 우리말) 답은 '노르다'입니다 moneybook 2010-10-14 3091
2434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3093
2433 [2016/10/26] 우리말) 뜨덤뜨덤 머니북 2016-11-01 3094
2432 [2010/10/13] 우리말) 달걀노른자처럼 샛노란 색 moneybook 2010-10-13 3095
2431 [2010/09/03] 우리말) 도복 moneybook 2010-09-04 3098
2430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3099
2429 [2012/11/26] 우리말) 흐리멍텅 -> 흐리멍덩 머니북 2012-11-26 3099
2428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3099
2427 [2014/08/13] 우리말) 머리숱 머니북 2014-08-13 3100
2426 [2015/12/15] 우리말) 육질과 과육 머니북 2015-12-15 3100
2425 [2008/12/28] 우리말)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id: moneyplan 2008-12-29 3101
2424 [2009/04/27] 우리말) 삼천리강산 id: moneyplan 2009-04-27 3101
2423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3101
2422 [2014/03/17] 우리말) 나잇살/나쎄 머니북 2014-03-17 3101
2421 [2007/12/11] 우리말) 캐롤과 캐럴 id: moneyplan 2007-12-11 3102
2420 [2009/03/10] 우리말) 스킨십도 외래어? id: moneyplan 2009-03-10 3102
2419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3103
2418 [2009/06/19] 우리말) 오사바사하다 id: moneyplan 2009-06-19 3103
2417 [2013/12/04] 우리말) 당초에 머니북 2013-12-06 3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