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2/27] 우리말) 짊다와 짊어지다

조회 수 4393 추천 수 0 2017.02.28 09:08:13

.

안녕하세요.

즐거운 월요일 아침입니다.
이번 주는 정신없이 바쁘게 지나갈 것 같습니다.
오늘과 내일은 서울 출장, 수요일은 삼일절, 목요일과 금요일은 해남 출장...

우리말에 '짊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짐을 가뜬하게 꾸려서 지게나 수레 따위에 올려 얹다."는 뜻으로
'짐을 지게에 짊어 옮기다, 달구지에 이삿짐을 짊었다.' 처럼 씁니다.

비슷한 말로 '짊어지다'가 있습니다.
"짐 따위를 뭉뚱그려서 지다."는 뜻으로
'배낭을 등에 짊어지다, 볏섬을 어깨에 짊어지고 나르다.' 처럼 씁니다.
"빚을 지다."나 "책임이나 의무를 맡다."는 뜻도 있어
'그는 빚을 잔뜩 짊어졌다, 중책을 짊어지다.' 처럼 쓰기도 합니다.

'짊다'와 '짊어지다' 뜻이 거의 비슷합니다.
또, '짊어지다'는 '짊어 지다'로 써도 틀리지 않습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발자욱과 발자국]

안녕하세요.

어젯밤 11:19에 MBC에서 '이 자리를 빌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빌다'에는,
1. 바라는 바를 이루게 하여 달라고 신이나 사람, 사물 따위에 간청하다.
2. 잘못을 용서하여 달라고 호소하다
3. 생각한 대로 이루어지길 바라다.
는 뜻밖에 없습니다.
물건이나 생각을 주고받는다는 뜻은 없습니다.
또, 어디에도 
'이 자리를 빌어 OOO에게 감사하고...'에 쓸 수 있는 게 없습니다.
'빌어'가 아니라 '빌려'가 맞습니다.
'이 자리를 빌려 여러분께...'가 바릅니다.

지난 주말에는 식구와 속초에 다녀왔는데, 새로 뚫린 서울-춘천 고속도로가 다녀오니 편하고 좋더군요.
서울-춘천 고속도로에는 가평휴게소가 있습니다. 그 휴게소 하나뿐입니다. ^^*
화장실에 갔더니
'한 발자욱만 앞으로...'라고 쓰여 있더군요.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은 '발자욱'이 아니라 '발자국'입니다.
발자욱은 북한 표준말입니다.

그리고
변기 앞으로 더 다가서라고 할 때는 
'한 발자욱'이나 '한 발자국'이라고 하면 안 되고, '한 걸음'이라고 해야 합니다. 
발자국은 말 그대로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인데 어떻게 다가설 수 있겠어요. ^^*

흔히 틀리는 말 가운데,
'발자국 소리를 들었다.'는 것도 있습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것처럼
발자국은 발로 밟은 자리에 남은 모양인데 이게 어떻게 소리가 나겠습니까.
발자국 소리가 아니라, 발걸음 소리가 맞습니다. ^^*

아침부터 바람이 세게 부네요.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0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05
2556 [2010/03/25] 우리말) 가위 id: moneyplan 2010-03-25 2906
2555 [2013/06/25] 우리말) 슈퍼문 머니북 2013-06-25 2906
2554 [2016/08/09] 우리말) 따 논 당상 자리? 머니북 2016-08-10 2906
2553 [2014/02/24] 우리말) 우리 머니북 2014-02-24 2911
2552 [2014/04/15] 우리말) 배지는 보람으로 머니북 2014-04-15 2911
2551 [2016/10/19] 우리말) 굵어진 팔뚝 머니북 2016-11-01 2913
2550 [2015/11/09] 우리말) 이제야와 이제사 머니북 2015-11-09 2915
2549 [2016/01/18] 우리말) 안틀다 머니북 2016-01-19 2915
2548 [2008/12/04] 우리말) 호주머니 id: moneyplan 2008-12-04 2916
2547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918
2546 [2014/11/25] 우리말) 성대모사/성대묘사/목소리 흉내 머니북 2014-11-25 2918
2545 [2010/10/15] 우리말) 막장은 희망입니다 moneybook 2010-10-15 2919
2544 [2015/03/26] 우리말) 2014년 새 낱말 머니북 2015-03-26 2919
2543 [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id: moneyplan 2009-07-17 2921
2542 [2013/12/09] 우리말) '사리'와 '개비' 머니북 2013-12-09 2921
2541 [2015/10/26]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머니북 2015-10-27 2922
2540 [2008/05/13] 우리말) 졸리다와 졸립다 id: moneyplan 2008-05-13 2923
2539 [2014/12/31] 우리말) 요즘 쓸 말 머니북 2014-12-31 2924
2538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2929
2537 [2016/08/29] 우리말) 낫다/났다/낮다 머니북 2016-08-30 2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