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조회 수 4750 추천 수 0 2017.05.31 13:35:56

.

안녕하세요.

어제 뉴스에서 보니 경찰이 '무고한 시민을 폭행'했다고 나오네요.
마땅히 그러면 안 되죠.

'무고한 시민 폭행'은
'무고한'은 '죄 없는, 엉뚱한, 애먼'으로 바꾸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폭행'도 '때려'라고 하면 더 좋굥.

무고하다(無辜--)는 "아무런 잘못이나 허물이 없다."는 뜻을 지닌 그림씨(형용사)입니다.
'무고하게 죽다, 무고한 백성을 괴롭히다, 피의자는 끝까지 자신은 무고하다고 주장했다.'처럼 씁니다.

여기저기 한자 말을 붙여 써서 
무고한 우리말 괴롭히지 말고,
깨끗한 우리말을 씁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바 띄어쓰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오랜만에 띄어쓰기를 알아보겠습니다.

공문서에 자주 쓰는 '바' 띄어쓰기입니다.

'바'는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잦습니다.
앞에서 말한 내용 그 자체나 일 따위를 나타내는 말로
평소에 느낀 바를 말해라, 각자 맡은 바 책임을 다하라, 나라의 발전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처럼 씁니다.
일의 방법이나 방도를 나타낼 때도
어찌할 바를 모르다, 나아갈 바를 밝히다, 눈 둘 바를 모르다처럼 
앞말과 띄어 씁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품사는 하나의 낱말로 봐서 띄어 쓰되, 조사는 붙여 씁니다.

'바'가 어미로 쓰일 때는 앞말과 붙여 씁니다.
이때는 
뒤 절에서 어떤 사실을 말하기 위하여 그 사실이 있게 된 것과 관련된 과거의 어떤 상황을 미리 제시하는 데 쓰는 연결 어미입니다.
서류를 검토한바 몇 가지 미비한 사항이 발견되었다, 우리의 나아갈 바는 이미 정해진바 우리는 이제 그에 따를 뿐이다처럼 씁니다.

좀 헷갈리신가요?
바를 앞말과 붙여 쓸 때는 
'바'가 
'―ㄴ데', '―니' 따위에 가까운 뜻을 나타내고
앞 절의 상황이 이미 이루어졌음을 나타냅니다.

서류를 검토했더니, 서류를 검토했는데, 미비한 사항이 발견되었다.
나아갈 방향이 이미 정해졌으니 우리는 이제 그에 따른다처럼
'바'앞에 있는 상황이 이미 이루어졌고, '바' 뒤에는 앞의 상황에 따른 일이 온다고 보면 됩니다.

쓰면서도 좀 헷갈리네요.

이렇게
공문서를 쓰면서 자주 틀리는 말을 국립국어원에서 정리하여 파일로 올려놨네요.
국립국어원 누리집에 가셔서 자료실-기타 공개 자료에 가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국립국어원, 고맙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3274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38465
956 [2013/10/24] 우리말) 빈정상하다 머니북 2013-10-24 5237
955 [2013/03/19] 우리말) 바다나물과 먼산나물 머니북 2013-03-19 5238
954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5239
953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5239
952 [2007/04/05] 우리말) 하얏트호텔과 하야트 id: moneyplan 2007-04-05 5240
951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5240
950 [2011/06/23] 우리말) 사이시옷 문제 머니북 2011-06-23 5240
949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5240
948 [2017/09/07] 우리말) 우리말 바로 쓰기에 앞장섭시다 머니북 2017-09-07 5241
947 [2007/04/09] 우리말) 소고기와 쇠고기 id: moneyplan 2007-04-09 5242
946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5242
945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5242
944 [2008/03/27] 우리말) 짓북새를 놓으며 짓먹다 id: moneyplan 2008-03-27 5242
943 [2007/05/07] 우리말) 깜빡과 깜박 id: moneyplan 2007-05-07 5243
942 [2012/05/07] 우리말) 너섬둑길과 여의도(2) 머니북 2012-05-07 5243
941 [2012/06/12] 우리말) 낯꽃 머니북 2012-06-12 5243
940 [2012/11/06] 우리말) 엉터리 머니북 2012-11-06 5244
939 [2011/05/04] 우리말) 염전과 소금밭 moneybook 2011-05-04 5245
938 [2007/05/23] 우리말) 자린고비 id: moneyplan 2007-05-23 5246
937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5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