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조회 수 3105 추천 수 0 2017.06.14 14:55:36

.

안녕하세요.

점심 잘 드셨나요?
오늘 점심은 예전에 같이 일했던 분들을 모시고 자리를 함께했습니다.
거창한 식당이 아니라 차로 10분 정도 나가면 있는 현장 식당에서 만났습니다.
아파트 공사장 근처에 있어 작업복 입은 분들이 많이 오시는 맛있는 식당입니다.

우리말에 '우둥우둥'이라는 어찌씨(부사)가 있습니다.
"여러 사람이 바쁘게 드나들거나 서성거리는 모양."이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 났는지 그 집에 사람들이 우둥우둥 드나들었다, 옥섬의 새된 소리에 수청방에서 청지기들이 우둥우둥 나오고 상노들이 하나씩 둘씩 튀어나왔다.'처럼 씁니다.

조금 전에 다녀온 식당이 바로 그런 곳이었습니다.
손님들이 끊이지 않고 우둥우둥 오가는 그런 맛있는 밥집. ^^*

오늘 저녁에는 후배들 댓 명 보자고 했는데,
저녁에 갈 식당도 우둥우둥 손님이 많은 곳입니다.
식당 이름도 멋집니다. '밥심'

고맙습니다.

보태기)
흔히 공사장 가까이에 있는 식당을 함바식당이라고 하는데요.
이는 일본말 飯場(はんば[한바])'에서 온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현장 식당'으로 다듬었습니다.

아래는 2010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세 자와 석 자]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보낸 편지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애들에게 책꽂이를 만들어준다는 이야기를 하면서 
'높이는 애 키 높이에 맞춰 1.2미터로 하고, 길이는 세 자인 1.8미터로 했습니다.'라고 했는데,
여기에 실수가 있었습니다.

1. '세 자'가 아니라 '석 자'가 맞습니다.
〈표준어 규정〉제17항에서 아래와 같이 규정하였습니다. 
제17항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 (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서〔三〕 세/석 보기) ∼돈, ∼말, ∼발, ∼푼 
석〔三〕 세 보기) ∼냥, ∼되, ∼섬, ∼자 
너〔四〕 네 보기) ∼돈, ∼말, ∼발, ∼푼 
넉〔四〕 너/네 보기) ∼냥, ∼되, ∼섬, ∼자 
따라서,
'세 자'가 아니라 '석 자'가 바릅니다.
내 코가 석 자, 이름 석 자도 못쓴다를 생각하시면 외우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2. 1.8미터는 석 자가 아니라 여섯 자입니다. 한 자가 30.3cm정도 되니 1.8미터는 여섯 자가 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16
2476 [2015/08/17] 우리말) 투잡 머니북 2015-08-17 3044
2475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3045
2474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3046
2473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3046
2472 [2009/01/14] 우리말) 짜집기와 짜깁기 id: moneyplan 2009-01-14 3047
2471 [2015/07/15] 우리말) 온종일 머니북 2015-07-15 3047
2470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3048
2469 [2012/04/10] 우리말) 광어가 아닌 넙치 머니북 2012-04-10 3048
2468 [2016/04/12] 우리말) 발표할 때... 머니북 2016-04-16 3048
2467 [2009/03/17] 우리말) 우연하다와 우연찮다 id: moneyplan 2009-03-17 3052
2466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3052
2465 [2016/06/24] 우리말) 골탕 머니북 2016-06-26 3052
2464 [2015/06/16] 우리말) 헛얼 머니북 2015-06-17 3053
2463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3054
2462 [2010/11/04] 우리말) 됨새 moneybook 2010-11-04 3054
2461 [2014/02/11]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4-02-11 3054
2460 [2014/06/05] 우리말) 무투표 당선 머니북 2014-06-05 3055
2459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3055
2458 [2016/04/11] 우리말) 이울다 머니북 2016-04-11 3058
2457 [2008/05/07] 우리말) 족적과 발자취 id: moneyplan 2008-05-08 30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