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조회 수 3348 추천 수 0 2017.07.27 08:13:49

.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일찍 서울에서 볼일이 있어
어제저녁에 서울에 왔습니다.
오랜만에 교보문고에서 좀 놀았습니다. ^^*

오늘은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로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2011년에 보낸 편지입니다.



[굴레와 멍에]
오늘 오전에 잠시 외출을 달고 병원에 다녀왔습니다.
제가 아파서 간 게 아니라, 아내가 산부인과 정기 진찰을 받는다고 해서 다녀왔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제가 7대 독자입니다. 제 아들은 불쌍하게도 8대독자입니다.
이번에 우연찮게(?) 셋째가 들어서서 아들인지 딸인지 궁금하던 참에 오늘 병원에 간다고 해서 따라간 겁니다. 성별을 확인하고 싶어서요. 
우리말에 멍에와 굴레가 있습니다. 
두 낱말 모두 뭔가에 얽매여 자연스럽지 못한 것을 이르는 낱말입니다.
먼저 굴레는 말이나 소를 부릴 때 코뚜레를 꿰어 머리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동여맨 것을 말합니다.
그 코뚜레로 힘센 소를 힘 약한 사람이 부릴 수 있는 거죠.
코뚜레는 소가 어느 정도 크면 채워서 소가 죽을 때까지 차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멍에는 다릅니다.
멍에는 달구지나 쟁기를 끌 때 마소의 목에 가로 얹는 구부정한 나무를 말합니다.
이 멍에는 소의 힘을 빌려 일을 할 때만 소의 목에 겁니다.
소가 태어나서부터 평생 쓰고 있는 것은 아니죠.

따라서,굴레와 멍에는 둘 다 소를 속박하는 것이긴 하지만, 굴레는 죽을 때까지 쓰고 있어야 하는 것이고, 멍에는 일을 할 때만 쓰는 것입니다.
이것을 사람에게 적용해보면, 노비의 자식, 살인법의 아들...처럼 내 의지가 어떻건 평생 벗을 수 없는 게 ‘굴레’고,
남편의 속박, 가난, 친구와 불화...처럼 내 노력에 따라 벗을 수 있는 게 ‘멍에’입니다.
“가난이라는 멍에는 노력하면 벗을 수 있다. 굴레처럼 생각하고 자포자기하면 안 된다”처럼 쓸 수 있죠.
그렇게 보면, 제 아들이 듣는 독자라는 말은 멍에일까요, 굴레일까요?
오전에 병원에 갔을 때 의사선생님께서 ‘엄마 닮았다.’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보니 셋째가 딸인 것 같습니다.
저는 넷째를 날 생각이 전혀 없으므로, ^^* 셋째가 의사선생님 말씀대로 딸로 태어나면 아들이 8대 독자에서 벗어날 수 없으므로 독자는 굴레가 되고,
의사의 진단이 틀려 아들로 태어나면, 원준이가 8대 독자에서 벗어나므로 이번참에 독자라는 멍에를 벗을 수 있는 것이고...
저도 궁금합니다. 
이녀석이 쓴 게 멍에인지 굴레인지...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87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88
776 [2013/11/27] 우리말) 저녁과 저물녘 머니북 2013-11-28 3358
775 [2009/07/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31 3358
774 [2009/03/20] 우리말) 칠 대 일 id: moneyplan 2009-03-23 3358
773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3357
772 [2009/10/26] 우리말) 희아리가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9-10-26 3357
771 [2013/12/23] 우리말) 감기는 들고 몸살은 나고 머니북 2013-12-23 3356
770 [2011/03/22] 우리말) 뭘로와 뭐로 moneybook 2011-03-22 3355
769 [2010/09/07] 우리말) 속도 단위 moneybook 2010-09-07 3354
768 [2010/01/29] 우리말) 여ㄷ아홉 id: moneyplan 2010-01-29 3353
767 [2010/08/24] 우리말) 아무게 => 아무개 moneybook 2010-08-24 3352
766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3351
765 [2013/04/25] 우리말) 우리말 편지 다듬기 머니북 2013-04-25 3351
764 [2012/03/07] 우리말) 충돌과 추돌조회 머니북 2012-03-08 3351
763 [2008/12/16] 우리말) 부룩이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8-12-16 3351
762 [2013/01/02] 우리말) 제야 머니북 2013-01-02 3350
761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3350
» [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머니북 2017-07-27 3348
759 [2014/06/26] 우리말) 탄하다와 탓하다 머니북 2014-06-26 3349
758 [2009/02/11] 우리말) 두껍다와 얇다 id: moneyplan 2009-02-12 3349
757 [2012/11/19] 우리말) 낙엽과 진 잎 머니북 2012-11-19 3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