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8/28] 우리말) 첫째와 첫 번째

조회 수 3584 추천 수 0 2017.08.31 15:51:19

.

안녕하세요.

지난 주 금요일에 보내드린
자주 틀리는 맞춤법이 꽤 인기가 있네요.
그렇게 많이 옮겨질줄 몰랐습니다. ^^*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성기지 님의 글을 함께 보겠습니다.

첫째와 첫 번째 - 성기지 운영위원
나날살이에서 ‘첫째’와 ‘첫 번째’라는 말이 거의 같은 말처럼 쓰이고 있지만, 이 두 말은 쓰임이 다른 말이다. ‘첫째’는 사물의 차례나 등급을 나타낼 때 쓴다. 한자말로 바꾸었을 때 ‘제일, 제이, 제삼, …’처럼 ‘제’ 자를 붙일 수 있는 경우가 되겠다. 그리고 나란히 있는 사람이나 물건의 차례를 나타내기 때문에, ‘둘째 줄의 셋째 학생, 첫째 줄의 둘째 책상’처럼 쓰는 말이다. 또, 반에서의 석차라든가, 태어난 형제나 일의 순서, 책의 차례 등을 모두 ‘첫째’, ‘둘째’ 등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첫 번째’라는 표현은 연이어 계속해서 반복되는 일의 횟수를 나타내는 말이다. 대학 입시에 두 번 연속 실패하고 다시 도전한다면, 세 번째 도전이 된다. 야구처럼 횟수를 정해 놓고 하는 운동경기에서 ‘첫 번째 경기’라고 한다든지, 여러 번 묻게 되는 질문에서 ‘첫 번째 물음’ 등과 같이 쓸 수 있다. 

우리 나날살이에서는 주로, ‘첫째’나 ‘둘째’라고 써야 할 자리에 ‘첫 번째’, ‘두 번째’로 잘못 쓰고 있는 경우가 매우 많다. 한 가지 예를 들어 보자. 올림픽 대회 입장식 중계방송에서 “우리나라 선수단은 아흔세 번째로 당당하게 들어오고 있습니다.”라고 하면, 우리나라 팀이 아흔세 번이나 반복해서 입장하고 있다는 뜻이 된다. 입장식만 하다가 지쳐 버릴 노릇이다. 입장식에는 어느 나라 선수단이나 한 번씩만 들어오므로 여기에서는 들어오는 차례를 나타내는 ‘아흔셋째’라는 표현을 써야 한다. ‘몇 번째’에서 ‘번째’라는 말은 “반복되는 일의 횟수”라는 것만 기억하면, ‘째’와 ‘번째’를 헷갈리지 않을 수 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뉴스 자막 몇 개]
안녕하세요.

어제는 오랜만에 9시 뉴스를 봤습니다. 그것도 제 일터에서 봤습니다. 

1.
프랑스가 훔쳐간 외규장각 도서를 돌려받기로 했다는 뉴스가 KBS9시 뉴스 첫 꼭지였습니다.
'지리한 20년의 협상...'이라고 했습니다.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같은 상태가 오래 계속되어 따분하고 싫증이 난다는 뜻의 그림씨(형용사)는 '지리하다'가 아니라 '지루하다'입니다.

2.
요즘 중고등학생들 졸업식 때 요란한 뒤풀이를 막고자 경찰까지 나섰다는 뉴스도 있었습니다.
'뒤풀이'는 '뒤'와 '풀이'가 합쳐진 낱말로 사이시옷이 들어가야 맞을 것처럼 보입니다.
한글 맞춤법 제30항에 따르면 뒷말의 첫소리가 본디 된소리나 거센소리이면 사이시옷을 받치어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 갈비찜이 맞고 갈빗찜이 틀린 겁니다.
뒤풀이도 뒷풀이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뉴스 자막에 뒤풀이라고 바르게 나왔습니다. ^^*

3.
곧 밸런타인데이인가 봅니다. 불량 초콜릿에 속으면 안 된다는 뉴스였습니다.
발렌티누스의 축일인 2월 14일을 이르는 말은 발렌타인데이가 아니라 밸런타인데이가 맞습니다.
자막은 밸런타인데이로 나왔고, 기자는 [발렌타인데이]라고 이야기했습니다.

4.
돌고래 떼죽음 이야기를 하면서
'고래목 물돼지과 상괭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물돼지'와 '과'가 합쳐진 낱말이므로 '물돼짓과'가 맞습니다.
농사짓는 벼도 벼과가 아니라 볏과가 바릅니다.

5.
유도선수 구타 이야기를 하면서 한 학생이 '맞을때와 맞지 않을때 기분이 틀리다.'고 이야기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그때는 틀리다가 아니라 다르다를  써야 바를 것 같습니다.
틀린 것은 맞지 않는 것이고,
다른 것은 같지 않은 것이므로,
맞을때와 맞지 않을 때의 기분이 같지 않음을 나타낼 때는 틀리다가 아니라 다르다를 써야 바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3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11
1396 [2007/06/30] 우리말) 계란보다는 달걀을... id: moneyplan 2007-07-02 3573
1395 [2016/10/21] 우리말) 받침소리의 혼란 머니북 2016-11-01 3572
1394 [2016/10/10] 우리말) ‘빠르다’와 ‘이르다’ 머니북 2016-11-01 3572
1393 [2014/10/16] 우리말) 따뜻한 편지 머니북 2014-10-16 3572
1392 [2007/07/31] 우리말) 탈레반, 정말 밉네요 id: moneyplan 2007-07-31 3572
1391 [2012/03/13] 우리말) 애동대동과 중씰 머니북 2012-03-13 3571
1390 [2007/09/12] 우리말) 선선한 가을입니다 id: moneyplan 2007-09-12 3571
1389 [2016/02/24] 우리말) 우황청심환 머니북 2016-02-25 3570
1388 [2012/10/31] 우리말) 되는대로 머니북 2012-10-31 3570
1387 [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id: moneyplan 2007-05-02 3570
1386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569
1385 [2008/07/10] 우리말) 오시면 선물을 드립니다 ^^* id: moneyplan 2008-07-10 3569
1384 [2007/04/18] 우리말) 아이고머니나...... id: moneyplan 2007-04-19 3569
1383 [2012/07/02] 우리말) 천장과 천정 머니북 2012-07-02 3568
1382 [2009/03/12] 우리말) 시쁘다와 시뻐하다 id: moneyplan 2009-03-12 3568
1381 [2008/02/11] 우리말) 조문기 선생님의 빈소 id: moneyplan 2008-02-11 3568
1380 [2012/05/08] 우리말) 안갚음과 치사랑 머니북 2012-05-08 3567
1379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3566
1378 [2013/07/02] 우리말) 눈썹과 눈썰미 머니북 2013-07-02 3566
1377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5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