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08] 우리말) 제기?

조회 수 5306 추천 수 0 2017.11.08 13:32:39

.

안녕하세요.

어제 미국 대통령이 우리나라에 국빈으로 오셨고, 청와대에서 국빈 만찬이 있었습니다.
그 자리에 이용수 할머니를 초대했고, 만찬에 울릉도에서 난 새우를 올렸다고 합니다.
그걸 두고 일본에서 불쾌감을 드러냈다고 합니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568211&ref=D
日관방, 韓공식만찬 ‘위안부피해자’ 초대에 “日 입장 제기”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168909
일 관방장관, '위안부 피해자' 초대에 우려 표명…독도 새우엔 '불쾌감'

저는 그 뉴스를 보면서 여러 가지로 기분이 나빴습니다. 저도 '불쾌감'을 드러냅니다.

우리나라에 오신 손님께 베푸는 만찬에 어떤 분을 모시는지를 다른 나라에서 왜 참견을 하며,
그 상위에 새우를 올리건 가자미를 올리건 자기네가 왜 불편해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찔리는 게 있으면 반성을 하고 앞으로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면 되는 것이지,
오지랖 넓게 나설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1. 국영방송이라는 KBS에서 낸 제목입니다.
日관방, 韓공식만찬 ‘위안부피해자’ 초대에 “日 입장 제기” 
'日'은 '일본 관방'이나 '일본'이라 쓰면 되고, '韓'은 '우리나라'라고 쓰면 됩니다.
굳이 한자를 쓸 까닭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또, '제기'라는 어려운 낱말을 쓸 필요가 있을까요?
제기(提起)는 "의견이나 문제를 내어놓음."이라는 뜻을 지닌 이름씨(명사)입니다.
'드러내' 정도로 쓰면 될 것 같습니다.

저라면,
'日관방, 韓공식만찬 ‘위안부피해자’ 초대에 “日 입장 제기”'라 쓰지 않고,
'일본, ‘위안부피해자’ 초대에 불만 드러내'나
'일본 관방장관, 공식만찬 때 ‘위안부피해자’ 초대에 우려 드러내”'라고 쓰겠습니다.

저는
'제기'를 보면 '제기랄'이 먼저 떠오릅니다.
오늘 기사를 보면서 '제기랄'이 한 번 더 떠오르네요. 

2. 오지랖
본래는 "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의 앞자락."이라는 뜻이지만,
관용구로 '오지랖이 넓다'고 하면
"쓸데없이 지나치게 아무 일에나 참견하는 면이 있다."는 뜻입니다.
'오지랍'이 아니라 '오지랖'이 바른말이며
마땅히 [오지라비]가 아니라 [오지라피]라고 소리내야 합니다.

저도 [오지라피 널따]는 소릴 가끔 듣습니다. 특히 우리말 잘못 쓰는 것을 보면 그냥 못 넘어가기에...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내 남편과 우리 남편]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저희 나라'라고 하면 안 되고 '우리나라'라고 해야 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그러면서 우리가 들어간 합친 말은 '우리나라, 우리말, 우리글'만 붙여 쓰고 다른 것은 띄어 쓴다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도 '우리'를 조금 더 알아볼게요.

많은 분이
내 남편을 남에게 소개할 때 '우리 남편'이라고 하면 안 된다고 하십니다.
'우리'라고 하면 공동의 소유(?)가 되므로 
'우리 엄마'는 말이 되지만
'우리 남편'이나 '우리 아내'는 말이 안 된다는 거죠.

우리말에서는
자신의 소유가 분명함에도 '내'나 '제'로 쓰지 않고 '우리'로 쓰는 때가 흔합니다.
이는 우리나라 사람이 공동체 의식에 따른 '우리'를 중시하는 사고방식이 말에 반영된 문화적 결과라고 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이런 방식의 쓰기를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같이 사는 아내를 보고 '우리 아내'라고 해도 되고, '제 아내'라고 해도 되며,
남편을 보고도 '우리 남편'이라고 해도 됩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16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721
2456 [2007/05/09] 우리말) 천벌 받을... id: moneyplan 2007-05-09 4025
2455 [2007/05/10] 우리말) 가슴을 에이는이 아니라 에는 id: moneyplan 2007-05-10 3436
2454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614
2453 [2007/05/14] 우리말) '생채기'는... id: moneyplan 2007-05-14 4377
2452 [2007/05/15] 우리말) 손수 만든 꽃? id: moneyplan 2007-05-15 3406
2451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425
2450 [2007/05/17] 우리말) 하양과 하얀색 id: moneyplan 2007-05-17 3779
2449 [2007/05/18] 우리말) 고마움과 감사 id: moneyplan 2007-05-18 3972
2448 [2007/05/21] 우리말) 보라 id: moneyplan 2007-05-21 3730
2447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469
2446 [2007/05/23] 우리말) 자린고비 id: moneyplan 2007-05-23 3400
2445 [2007/05/25] 우리말) 머드러기와 지스러기 id: moneyplan 2007-05-28 3672
2444 [2007/05/28] 우리말) 바리바리 싸 주신... id: moneyplan 2007-05-28 3450
2443 [2007/05/29] 우리말) 일 뒤에도 점을 찍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5-29 3365
2442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565
2441 [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id: moneyplan 2007-05-31 3439
2440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455
2439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3359
2438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4082
2437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