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학 수능시험을 보는 날입니다.
일주일 미뤄서 보는 시험이라 수험생들도 무척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수험생도 흔들리지 말고, 땅도 흔들리지 않기를 빌고 또 빕니다.

인터넷을 보니 우리나라와 일본의 수능시험을 비교해 놓은 게 있네요.
어떤 게 옳고 그르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읽어볼 만 하기에 사이트를 잇습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77818&CMPT_CD=P0001&utm_campaign=daum_news&utm_source=daum&utm_medium=daumnews

더 재밌는 기사도 있습니다.
'비닐·마지노선·헹가래 중 순우리말은?'이라는 제목인데요.
http://www.sedaily.com/NewsView/1ONOFWRWE5

헹가래는 농업에서 온 낱말이라는 거 알고 계시죠? ^^*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매다와 메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 데리고 안산에 가서 비행기 쇼를 보고 왔습니다. ^^*

지난주에 
KBS 9시 뉴스를 진행하는 민경욱 앵커가 어린이날 뽀로로 넥타이를 매고 뉴스를 진행해서 시청자의 호감이 좋다는 기사가 있네요.
http://bit.ly/lUPyVe

딱딱한 뉴스가 아니라 
일반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정다감한 뉴스로 거듭나는 것 같아 참 보기 좋습니다. 

오늘은 메다와 매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는 뜻의 움직씨(동사)입니다.
어깨에 배낭을 메다, 총을 메고..., 젊은이는 나라의 장래를 메고 나갈 사람이다처럼 씁니다.

'매다'는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는 뜻입니다.
신발 끈을 매다, 옷고름을 매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갈라놓긴 했지만, 그래도 쓸 때는 늘 헷갈립니다.
메다를 써야 하는지 매다를 써야 하는지...

저는 이렇게 가릅니다.
지게는 짐을 얹어 사람이 등에 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운반기구입니다.
이 지게에는 뒤쪽으로 길쭉하게 발이 나와 있습니다. 이 발에 짐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죠.
그 발이 나와 있어서 'ㅔ'를 떠올립니다.
그래서 뭔가를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는 '메다'를 쓰고,
그렇지 않고 끈으로 뭔가를 묶을 때는 '매다'를 씁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쉽게 가르실 수 있겠죠?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9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25
76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950
75 [2010/09/20] 우리말) 한가위를 맞아 넉넉하게 보내시길 빕니다. moneybook 2010-09-20 2949
74 [2009/02/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2-12 2949
73 [2012/03/05] 우리말) 돌잔치 머니북 2012-03-05 2948
72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948
71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946
70 [2015/01/20] 우리말) 뇌물 수수 협의/뒷돈 받은 듯 머니북 2015-02-02 2943
69 [2016/05/04] 우리말) 어휘 부족, 국한문 혼용 머니북 2016-05-09 2942
68 [2016/01/15] 우리말) 드셔 보세요 머니북 2016-01-17 2941
67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941
66 [2010/07/09] 우리말) 틀린 낱말 몇 개 moneybook 2010-07-09 2940
65 [2014/10/20] 우리말) 웨하스 머니북 2014-10-21 2938
64 [2014/07/08] 우리말) 너더댓새 머니북 2014-07-08 2938
63 [2015/09/01] 우리말) 어영부영 머니북 2015-09-02 2935
62 [2014/07/09] 우리말) 새집 머니북 2014-07-09 2932
61 [2015/03/20] 우리말) 이상한 병 머니북 2015-03-20 2931
60 [2016/03/07] 우리말) 우리말의 소중함 머니북 2016-03-09 2927
59 [2015/12/14] 우리말) 사랑을 쓸려거든 머니북 2015-12-15 2927
58 [2009/08/13] 우리말) 어제 받은 댓글 id: moneyplan 2009-08-14 2927
57 [2009/12/22] 우리말) 나달과 세월 id: moneyplan 2009-12-22 2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