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학 수능시험을 보는 날입니다.
일주일 미뤄서 보는 시험이라 수험생들도 무척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오늘은 
수험생도 흔들리지 말고, 땅도 흔들리지 않기를 빌고 또 빕니다.

인터넷을 보니 우리나라와 일본의 수능시험을 비교해 놓은 게 있네요.
어떤 게 옳고 그르다고는 말할 수 없겠지만, 읽어볼 만 하기에 사이트를 잇습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377818&CMPT_CD=P0001&utm_campaign=daum_news&utm_source=daum&utm_medium=daumnews

더 재밌는 기사도 있습니다.
'비닐·마지노선·헹가래 중 순우리말은?'이라는 제목인데요.
http://www.sedaily.com/NewsView/1ONOFWRWE5

헹가래는 농업에서 온 낱말이라는 거 알고 계시죠? ^^*

고맙습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매다와 메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 데리고 안산에 가서 비행기 쇼를 보고 왔습니다. ^^*

지난주에 
KBS 9시 뉴스를 진행하는 민경욱 앵커가 어린이날 뽀로로 넥타이를 매고 뉴스를 진행해서 시청자의 호감이 좋다는 기사가 있네요.
http://bit.ly/lUPyVe

딱딱한 뉴스가 아니라 
일반사람들과 함께하는 다정다감한 뉴스로 거듭나는 것 같아 참 보기 좋습니다. 

오늘은 메다와 매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메다'는 
어깨에 걸치거나 올려놓다, 어떤 책임을 지거나 임무를 맡다는 뜻의 움직씨(동사)입니다.
어깨에 배낭을 메다, 총을 메고..., 젊은이는 나라의 장래를 메고 나갈 사람이다처럼 씁니다.

'매다'는
끈이나 줄 따위의 두 끝을 엇걸고 잡아당기어 풀어지지 아니하게 마디를 만들다는 뜻입니다.
신발 끈을 매다, 옷고름을 매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갈라놓긴 했지만, 그래도 쓸 때는 늘 헷갈립니다.
메다를 써야 하는지 매다를 써야 하는지...

저는 이렇게 가릅니다.
지게는 짐을 얹어 사람이 등에 지는 우리나라 고유의 운반기구입니다.
이 지게에는 뒤쪽으로 길쭉하게 발이 나와 있습니다. 이 발에 짐을 올려놓을 수 있는 거죠.
그 발이 나와 있어서 'ㅔ'를 떠올립니다.
그래서 뭔가를 걸치거나 올려놓을 때는 '메다'를 쓰고,
그렇지 않고 끈으로 뭔가를 묶을 때는 '매다'를 씁니다.

이렇게 생각하시면 쉽게 가르실 수 있겠죠?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9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325
76 [2006/11/14] 우리말) 사의 표명! 반려? id: moneyplan 2006-11-14 6039
75 [2006/11/13] 우리말) 싸가지/소갈머리 --> 늘품/늧 id: moneyplan 2006-11-13 4893
74 [2006/11/12] 우리말) 지금 집을 사면 낭패라죠? id: moneyplan 2006-11-13 4831
73 [2006/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농민의 날! id: moneyplan 2006-11-13 5024
72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5882
71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5385
70 [2006/11/08] 우리말) 인상/인하는 값 오름/값 내림으로 id: moneyplan 2006-11-08 5071
69 [2006/11/07] 우리말) 날씨가 꽤 춥네요. 그렇다고 너무 웅숭그리지 마세요 id: moneyplan 2006-11-07 4825
68 [2006/11/06] 우리말) 군포시, 고맙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7 4987
67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5321
66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5390
65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695
64 [2006/10/31] 우리말) 시월의 마지막 밤 id: moneyplan 2006-11-01 5075
63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5971
62 [2006/10/23] 우리말) 열심히 다좆치고 죄어치겠습니다 id: moneyplan 2006-10-23 4990
61 [2006/10/22] 우리말) 심간 편하세요? id: moneyplan 2006-10-23 5623
60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56
59 [2006/10/20] 우리말) 닦달하다 id: moneyplan 2006-10-20 4972
58 [2006/10/19] 우리말) 명란젓과 창난젓 id: moneyplan 2006-10-19 4432
57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