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밤중, 불빛이 발갛게/어렴풋이 보여라.//들리는 듯, 마는 듯,/발자국 소리./스러져가는 발자국 소리.//아무리 혼자 누어 몸을 뒤채도/잃어버린 잠은 다시 안와라.//야밤중, 불빛이 발갛게/어렴풋이 보여라.” -김소월(1902년 오늘 태어남) ‘그를 꿈꾼 밤’

”열심히 일하다 보면 자고 있는 인간이 쓰레기처럼 보이긴 하죠.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면 지는 거예요. 자고 싶으면 자면 됩니다. 일어나고 싶으면 일어나면 되고요. 그런데 자기가 일어나 있다고 자고 있는 인간을 무시하면 안 되죠.“ -요코타 난레이(일본 승려)

692(신라 효소왕 1) 도징 스님 당 나라에서 귀국, 천문도 헌납

1610(조선 광해군 2) 허준 『동의보감』 25권 완성

1937 수인선 개통

1948 중앙선 도농 구간서 열차전복 사망 25명 부상 80명

1953 북한, 시인 임화 간첩으로 몰아 처형

1968 제1회 아시아청소년농구대회 열림

1969 서울 경기 지역 집중호우 사망 123명 이재민 3만 명

1971 김일성, 시아누크 캄보디아 국가원수 환영식에서 남한의 모든 정당과 인사 접촉용의 밝힘

1978 40억원대 국제 필로폰 밀매단 검거

1980 노영문과 이재태 요트 ‘파랑새’호로 태평양횡단 성공

1987 북한 외교부 남-북-미 3자간 군축협상과 외무장관회담 예비회담 제안

1988 오홍근 중앙일보 기자 기사에 불만 품은 정보사 장교에게 피습

1993 ‘93 대전엑스포 개막. 미국 일본 등 108개국 참가

2009 쌍용자동차노조 공장점거파업 77일 만에 농성 해제

2011 일본 히로시마 원폭 투하 66주년 맞아 경남 합천 원폭피해자복지회관에서 한국인희생자 추모제

2015 박근혜 대통령 대국민담화 통해 노동개혁 제시

2015 화가 천경자(91세) 세상 떠남

2019 사진작가 임안나 2019 아를 국제사진축제(프랑스) 포토폴리오 리뷰 어워드 대상, 한국인으로는 김중만(1977년 젊은 작가상) 이후 42년 만에 두 번째 수상

1931 간디 무저항주의 제창

1945 미국 일본 히로시마(인구 33만 명)에 최초의 원자폭탄(이름 ‘꼬마’ 길이 3m 무게 4,082㎏ 파괴력 TNT 1만2,000t 상당의 우라늄폭탄) 투하 “하느님, 우리가 무슨 짓을 저질렀나이까!”-조종사 루이스

-- 원폭 피해자들은 지금까지도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 히로시마 한국인 8만 명 중 7만 명 피폭 사망 35,000명 생존 35,000명. 3일 뒤 원폭이 떨어진 나가사키의 한국인 피폭자 3만 명 중 사망 15,000명 생존 15,000명, 한국인은 두 도시에서 약 10만 명 피폭, 그 중 5만 명은 사망 5만 명은 생존, 생존자 중 43,000명 귀국 7,000명 일본 잔류. 현재 한국에는 피폭자 2,300여 명 생존, 그들의 자녀 7,500여 명

-- 전세계 핵탄두 수가 1986년 6만4천 개에서 2018년에는 1만5천 개로 줄어듦

1961 소련 제2호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

1962 미국 영화배우 마릴린 먼로(36세) 자신의 침대에서 약물 과다복용으로 의문의 죽음 “먼로는 전설이었습니다. 그녀는 스스로의 인생을 통해 어려운 환경에서 자라난 가난한 소녀가 얼마나 위대한 신화를 창조해낼 수 있는지 증명해 보였습니다. 전세계 모든 여성에게 먼로는 영원한 여성미의 상징이기도 했습니다.”-리 스트라스버그(먼로의 연기 스승) 추도사

- “가르보 이후 영화에 가장 잘 어울리는 배우”-요수아 로간 감독, 선정적인 표정으로 많은 사람들의 시선을 끌었지만 따뜻하고 우아하다는 평을 듣지는 못함

-- “대사가 쓰인 극본을 그녀가 읽을 수 있을 만한 지정된 서랍에 넣어둘 테니 보라고 50번 정도나 얘기했는데 그녀는 다른 곳에서 그것을 찾고 있었다.”-빌리 와일더 감독, 먼로는 영화 대사를 잘 외우지 못해 감독들의 애를 태웠다고 함

1978 제262대 교황 바오로 6세 심장마비로 세상 떠남

1986 인도 비하르 주에서 여객열차 강으로 추락 사망 150명

1989 프랑스 르몽드 지 창립자 위베르 뵈브메리 세상 떠남

1989 하이메 파스 사모라 불가리아 대통령 취임

1990 파키스탄 부정부패 권력남용 족벌주의를 내세워 베나지르 부토 총리 해임

1990 미국-베트남 캄보디아 문제와 관련 최초의 공식회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118 [역사 속 오늘] 05/08(1838) 영국 의회정치의 계기가 된 인민헌장 공포 머니북 2016-05-09 1929
2117 [역사 속 오늘] 05/07(1592) 충무공 이순신 옥포대전 승리(임진왜란의 첫 승리) 머니북 2016-05-09 2091
2116 [역사 속 오늘] 05/06(1840) 영국에서 처음 우표사용 머니북 2016-05-09 1516
2115 [역사 속 오늘] 05/05(2008) <토지> 쓴 소설가 박경리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5-09 1541
2114 [역사 속 오늘] 05/04(1899) 홍화문(경희궁)-동대문 전차 개통 머니북 2016-05-09 2164
2113 [역사 속 오늘] 05/03(1989) 부산 동의대에서 경찰7명 불에 타거나 추락해 숨짐 11명 중화상 머니북 2016-05-03 1934
2112 [역사 속 오늘] 05/02(2011) 미해군특수부대, 파키스탄 이보타바드 은신처에서 오사마 빈 라덴 사살 머니북 2016-05-02 1783
2111 [역사 속 오늘] 05/01(1851) 세계최초 만국박람회 런던에서 열림 머니북 2016-05-01 2051
2110 [역사 속 오늘] 04/30(1945) 독일독재자 히틀러, 애인 브라운과 함께 집무실에서 자살 머니북 2016-05-01 3040
2109 [역사 속 오늘] 04/29(1932) 윤봉길 의사, 상해 훙커우공원 일본천황생일경축식장에 폭탄 던져 일본군 장성7명 사상 머니북 2016-04-29 1804
2108 [역사 속 오늘] 04/28(1545) 충무공 이순신 태어남 머니북 2016-04-29 2558
2107 [역사 속 오늘] 04/27(1960) 이승만대통령 하야, 경향신문 복간 머니북 2016-04-27 2072
2106 [역사 속 오늘] 04/26(1986) 소련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4호기 폭발 머니북 2016-04-27 1806
2105 [역사 속 오늘] 04/25(1945)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UN 창립회의 열림 머니북 2016-04-25 1754
2104 [역사 속 오늘] 04/24(1908) 일본 도쿄대학 이케다 기쿠나에 박사, 단맛/짠맛/쓴맛/신맛에 이어 다섯 번째 맛 감칠맛(우마미) 존재 확인 발표 머니북 2016-04-25 2153
2103 [역사 속 오늘] 04/23(1616) 영국이 낳은 위대한 별 윌리엄 셰익스피어 세상 떠남 머니북 2016-04-25 2627
2102 [역사 속 오늘] 04/22(1983) 만화잡지 ‘보물섬’에 ‘아기공룡 둘리’ 처음 등장. 머니북 2016-04-22 2542
2101 [역사 속 오늘] 04/21(1944) 신사참배 거부한 주기철목사 옥중순교 머니북 2016-04-22 1615
2100 [역사 속 오늘] 04/20(2010) MBC ‘PD수첩’ 스폰서검사 폭로 머니북 2016-04-22 1746
2099 [역사 속 오늘] 04/19(1960) 4.19혁명 일어남 머니북 2016-04-19 17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