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손으로 버리고/더럽다고 하지 않기를//부디 내 이름으로/누구도 불리지 않기를//훗날에 나를 버린 만큼/짊어지지 않기를” -양희영 ‘쓰레기의 기도’


6월 5일 오늘은 세계환경의 날, 환경보전에 대한 인식확산과 실천의 생활화를 위해 1972년 오늘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한국 등 110개국 참가해 “하나 밖에 없는 지구를 보호하자”는 슬로건 내걸고 사상 처음으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UN Conference on the Human Environment) 결의로 제정, 2020년 주제 ‘생물다양성’ 우리나라의 슬로건은 ‘녹색전환 - 새로운 세계를 열다’ 2019년 주제 ‘대기오염 퇴지 - 푸른 하늘을 위한 오늘의 한 걸음’, 2018년 주제 '플라스틱 오염(Beat Air Pollution)', 2017년 주제 ‘Connecting People to Nature(도시와 시골, 극지에서 적도까지)’, 2016년 주제 야생동물 불법거래 막기 위한 ‘Go Wild for Life’ 지구상의 다양한 생명체가 더불어 살아갈 수 있도록 적극적(Go Wild)으로 행동하자는 의미, 2015년 주제 'Seven Billion Dreams. One Planet. Consume with Care'(‘현명한 소비, 70억 인구의 지구를 살립니다’), 2014년 주제 ‘당신의 실천, 환경을 지키는 시작입니다.’ 2013년 주제 ‘똑똑한 식습관 지구를 구합니다.’

유엔보고서에 따르면 플라스틱 소비패턴과 폐기물 관리방법 개선되지 않으면 2050년까지 전 세계에서 120억t의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할 것으로 전망, 2015년 발생한 플라스틱 폐기물 가운데 79%가 매립되거나 버려졌고 12% 소각, 9%만 재활용, OECD의 ‘글로벌 플라스틱 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60년 연간 플라스틱 생산량 12억8천만톤(2019년보다 3배) 예상


1927 최남선 정인보 등 『조선어사전』 편찬 시작

1932 충남 아산에 충무공 현충사 준공

1933 충남 아산 현충사에 충무공 영정 봉안


1949 이승만 정권 국민사상통제 목적으로 좌익계열 전향자로 국민보도연맹 결성


1962 국제올림픽위원회 북한 가입 승인

1964 6.3 사태로 전국대학 휴교


1972 신민당 의원들 국회정상화와 비상사태 철회 요구하며 가두시위


1981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발족, 1987년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로 이름 바꿈

1981 전두환 대통령 남북한정상회담 제의

1987 국사교육심의회 고조선을 최초국가로 쓰는 등 국사책 개편방향 확정


1990 노태우 대통령-고르바초프 소련대통령 샌프란시스코 정상회담 수교원칙·상호방문 합의


2005 박찬호 선수 메이저리그 100승(캔자스시티 전)

2006 한-미 워싱턴에서 FTA 1차 협상


2014 KBS이사회 직무 수행능력 상실 등의 사유로 길환영 사장 해임제청안 가결, 공영방송 사장 3번째 해임

2018 박세은(파리오페라발레단 제1무용수) 무용계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 당스(춤의 영예)’ 수상

2019 추신수(텍사스 레인저스) 아시아 출신 최초로 메이저 리그 개인통산 200홈런 기록




1826 독일 국민가극·낭만파음악의 창시자 독일 작곡가 카를 마리아 프리드리히 에른스트 폰 베버 폐결핵으로 세상 떠남(40세) ‘마탄의 사수’ ‘무도회에의 권유’

1851 해리엇 비처 스토우의 『톰 아저씨의 오두막』 판매 시작


1910 미국 소설가 오 헨리 세상 떠남(48세) 『마지막 잎새』 『크리스마스 선물』 『20년후』

- 어릴 때 부모를 잃어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함, 은행돈 몰래 쓰고 남아메리카로 도망갔다가 아내가 아프다는 소식에 돌아와 잡힘, 3년 감옥생활의 경험을 소재로 글쓰기 시작해 10여년 동안 300편 가까운 단편소설 씀, 그의 작품 속에는 따뜻한 유머와 감정이 녹아있다고 평가되며 모파상이나 체호프와 비교되기도 함


1947 조지 마셜 미 국무장관 하버드 대학 연설에서 유럽부흥계획(마셜 플랜) 밝힘


1967 제3차 중동전쟁(6일 전쟁) 일어남, 이스라엘이 동예루살렘 시나이반도 가자지구 골란고원 요르단강 서안 점령

1968 로버트 케네디 미국 상원의원 대통령 후보 경쟁 중 피격(6일 사망)


1981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 에이즈 환자 발생 첫 보고

1989 폴란드 총선거 자유노조 압승


2004 로널드 레이건 미대통령 세상 떠남(93세)

2005 윌리엄 슐츠 국제앰네스티(AI) 사무국장 미국의 비밀수용소 폭로 “미국은 관타나모, 바그람 등 전 세계에 ‘수용소 군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사람들이 그 속으로 사라지는 비밀 수용소” “변호사나 가족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은 채 외부 연락을 단절시킨 상태로 수감자들을 무기한 구금하고 있으며 일부 수감자는 학대나 고문을 당하고 심지어 살해되기도 한다.”

-- 뉴욕 타임스도 "관타나모 수용소는 이라크의 아부그라이브 수용소, 아프가니스탄의 바그람 공군기지 군 교도소 등 실체가 불분명한 수용소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보도

-- 2006년 2월 유엔 인권위위원회(UNCHR)는 5명의 특별보고관 보고서에서 "미국이 해외에 운영하는 수용시설에 1만4천여 명이 불법 구금되어 있다"며 즉각폐쇄 촉구


2016 스위스 조건 없는 기본소득 국민투표로 부결(반대율 76.9%)


2020 마이클 조던과 나이키의 조던 브랜드 인종차별 철폐기금 10년간 1억$(1,200억원) 기부




[출처] 2023년 6월 5일 월요일|작성자 주책다방 지키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598 [역사 속 오늘] 10/01(1883) 최초의 신문 <한성순보> 창간 머니북 2011-10-03 3828
4597 [역사 속 오늘] 10/02(2008) 영화배우 최진실 스스로 목숨끊음 머니북 2011-10-03 3352
4596 [역사 속 오늘] 10/03(BC2333) 단군건국 기념하는 날 머니북 2011-10-03 3349
4595 [역사 속 오늘] 10/04(2002) 노무현-김정일 남북 정상, 10.4정상선언 발표 머니북 2011-10-04 3475
4594 [역사 속 오늘] 10/05(1978) 자연보호헌장 선포 머니북 2011-10-05 3529
4593 [역사 속 오늘] 10/06(1392) 국보 1호 남대문 세움 머니북 2011-10-06 3355
4592 [역사 속 오늘] 10/07(2001) 미국, 9.11 테러 보복으로 아프가니스탄 공습개시. 머니북 2011-10-07 3545
4591 [역사 속 오늘] 10/08(1895) 명성황후 일본인에게 시해 당함. 머니북 2011-10-09 3037
4590 [역사 속 오늘] 10/09(1446) 훈민정음반포 머니북 2011-10-09 3021
4589 [역사 속 오늘] 10/10(1932) 독립운동가 이봉창 일본 이치가야형무소 순국 머니북 2011-10-10 3573
4588 [역사 속 오늘] 10/11(1996) OECD, 한국가입초청 결정, 29번째 가입 머니북 2011-10-11 2941
4587 [역사 속 오늘] 10/12(1920) 독립운동가 유관순 서대문형무소에서 18세로 세상 떠남 머니북 2011-10-12 3307
4586 [역사 속 오늘] 10/13(1948) 중고등학교 남녀공학제 폐지(사범학교 제외) 머니북 2011-10-13 3363
4585 [역사 속 오늘] 10/14(2006) 반기문 외통부 장관, 한국인 최초로 유엔사무총장에 뽑힘. 머니북 2011-10-14 3018
4584 [역사 속 오늘] 10/15(1963) 제5대 대통령선거 박정희 당선 머니북 2011-10-16 3364
4583 [역사 속 오늘] 10/16(802) 해인사 창건 머니북 2011-10-16 2910
4582 [역사 속 오늘] 10/17(2003) 한국중공업 노조위원장 김주익, 35m 높이 크레인에서 목숨 끓음 머니북 2011-10-17 3904
4581 [역사 속 오늘] 10/18(1867) 미국, 알래스카를 러시아로부터 720만$에 삼 머니북 2011-10-18 2997
4580 [역사 속 오늘] 10/19(1933) 조선어학회, 한글맞춤법통일안 마련 머니북 2011-10-19 3042
4579 [역사 속 오늘] 10/20(1920) 청산리 대첩에서 독립군 대승 머니북 2011-10-20 3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