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09/29] 우리말) 이걸 처먹으라고?

조회 수 6021 추천 수 100 2006.09.29 09:25:20
안녕하세요.

어제는 밖에 나가서 점심을 먹었습니다.
제 배가 해장국을 애타게 찾더군요. ^^*
추어탕을 먹었는데요.
추어탕을 내오고, 그 옆에 들깨 가루가 있는데,
그걸 쳐 먹으면 좋다고 하더군요.

"손님, 들깨 가루를 쳐 먹는[처멍는] 것이 좋습니다."
"뭐라고요? 처먹으라고요?"
"아니, 그게 아니라, 이걸 쳐 드시라고..."
"처먹으나 처드시나... 이런..."

오늘은 '처먹다'와 '쳐 먹다'를 갈라보겠습니다.

먼저,
'처먹다'는
"욕심 사납게 마구 먹다."는 뜻입니다.
또, '먹다'를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하죠.
발음은 [처먹어, 처먹으니, 처멍는]입니다.
여기에 쓴 '처'는
'함부로, 마구, 심히'의 뜻이 있습니다.

이와 달리,
'쳐 먹다'는 두 개의 동사로 만들어진 구입니다.
여기에 쓴 '쳐'는
"적은 분량의 액체를 따르거나 가루 따위를 뿌려서 넣다"는 뜻의 '치다'에서 온 말입니다.
곧, '쳐'는 '치-'의 활용형인 '치어'의 준말입니다.

따라서,
'들깨 가루를 쳐 먹다'는
'들깨 가루를 추어탕에 뿌려서(또는 넣어서) 먹다'는 뜻이고,
'들깨 가루를 처먹다'는
들깨 가루 먹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것입니다.

문제는,
'쳐 먹다'와 '처먹다'의 발음이 같다는 것입니다.
이건 뭐 어떻게 풀 방법이 없네요.
어른 앞에서는 조심스럽게 쓰는 수 밖에...^^*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경우가 바르다 >> 경위가 바르다]

안녕하세요.
지난 주말에는 정읍, 광주, 나주를 다녀왔습니다.
토요일 아침에 출발하여 월요일 저녁 늦게야 돌아왔습니다.
혼자 싸돌아다니니까 좀 심심하더군요.

지난 주말에 오랜만에 예의가 바른 젊은 친구를 만났습니다.
하긴, 저도 아직까지는 30대 끄트머리를 힘겹게 잡고 있는 젊은 사람입니다만...

주말에 만난 친구는 20대 초반인데,
어르신들을 모시는 예의가 참 바르더군요.

옆에 계시는 분들도,
“저 친구 참 경우 바르군”하면서 칭찬이 자자했습니다.
덩달아 저도 기분이 참 좋았습니다.

흔히,
사리에 옳고 그름과 시비의 분간이 뚜렷한 사람을,
‘경우가 바른 사람’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경위’를 잘못 쓴 겁니다.

경우(境遇)는
“(어떤 조건이 있는) 특별한 형편이나 사정”이라는 뜻으로,
‘만일 비가 올 경우에는 가지 않겠다.’처럼 씁니다.

경위(涇渭)는  
“사리의 옳고 그름과 시비의 분간”이라는 뜻으로,
‘경위 없이 행동하지 마라.’처럼 씁니다.

본래 경위는
중국 황하의 지류인 ‘경수(涇水)’와 ‘위수(渭水)’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말입니다.
이 두 물은 서안 부근에서 만나 합쳐지는데,
경수는 항상 흐리고, 위수는 항상 맑아
두 물이 섞여 흐르는 동안에도 구별이 분명하다 해서 그런 뜻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럼,
‘경우가 바르다’의 반대말은 무엇일까요?
당연히 ‘경우가 바르지 않다’도 맞죠.
보통은,  
‘경위가 그르다’라고 하는데,
실은 ‘경위가 없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세상 모든 사람들이,
다 경위 바르게 살면 얼마나 좋을까요?

보태기)

경위(涇渭)와 발음이 같은 경위(經緯)는,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을 뜻하고 날 경(經) 자, 씨 위(緯) 자를 씁니다.
‘날’은 “천, 돗자리, 짚신 따위를 짤 때 세로로 놓는 실”을 말하고,
‘씨’는 “천, 돗자리, 짚신 따위를 짤 때 가로로 놓는 실”을 말합니다.

곧, “직물(織物)의 날과 씨를 아울러 이르는 말”이 경위인데요.
마치 날실과 씨실을 엇갈리게 해서 쫀쫀한 베를 짜듯이 “일이 진행되어 온 과정”을 ‘경위’라고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341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39808
316 [2009/11/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11-16 6450
315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6458
314 [2009/06/25] 우리말) 배참 id: moneyplan 2009-06-25 6462
313 [2008/11/10]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놀러오세요. ^^* id: moneyplan 2008-11-10 6469
312 [2008/12/05] 우리말) 강추위 id: moneyplan 2008-12-05 6470
311 [2010/02/10] 우리말) 먼지떨음 id: moneyplan 2010-02-10 6479
310 [2015/10/23] 우리말) 군더더기 말은 불룩 나온 뱃살 머니북 2015-10-26 6479
309 [2012/03/02] 우리말) 적산가옥 갈음할 낱말은... 머니북 2012-03-02 6493
308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6497
307 [2007/03/22] 우리말) 미역 서식지? id: moneyplan 2007-03-22 6505
306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6509
305 [2009/06/18] 우리말) 걸판지다와 거방지다 id: moneyplan 2009-06-19 6513
304 [2006/11/10]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6-11-10 6515
303 [2008/03/06] 우리말) 양식이 아니라 서식입니다 id: moneyplan 2008-03-06 6519
302 [2006/11/17] 우리말) '폼' 버리고 '품' 잡게요 id: moneyplan 2006-11-17 6521
301 [2008/03/10] 우리말) 트롯이 아니라 트로트 id: moneyplan 2008-03-10 6525
300 [2013/05/16] 우리말) 불초소생 머니북 2013-05-16 6528
299 [2008/11/06] 우리말) 관용구란? id: moneyplan 2008-11-06 6529
298 [2006/10/30] 우리말) '한목'과 '한몫' id: moneyplan 2006-10-30 6536
297 [2012/01/17] 우리말) 설과 구정 머니북 2012-01-17 6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