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조회 수 5878 추천 수 0 2017.11.10 14:34:22

.

안녕하세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아래는 지난 2011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곡우와 우전]
안녕하세요.

오늘이 절기로 '곡우'네요.
24절기가 농업과 관련이 많기는 하지만 특히나 곡우는 더 관련이 많습니다.

일단 곡우는 봄의 마지막 절기입니다. 
곡우는 백곡을 기름지게 하는 비가 내린다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곡우 무렵에 못자리할 볍씨를 담그니, 이때부터 농사가 시작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부터 조상님들은 
곡우에 부부가 잠자리를 같이 하면 신이 질투하여 쭉정이 농사를 짓는다고 믿어 잠자리도 같이 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

오늘은
곡우와 관련된 녹차 이야기를 해 볼게요.
(사실 우리가 요즘 먹는 녹차는 대부분 일본식이라고 합니다.)

녹차 종류에는 우전, 세작, 작설, 중로 따위가 있는데요.
그 이름마다 다 뜻이 있습니다.

가장 좋은 품질의 녹차가 우전인데,
이 우전은,
곡우 전에 딴 아주 어린 찻잎 순으로 만든 차를 말합니다.
지금쯤 찻잎을 따서 녹차를 만들면 그게 바로 '우전'입니다. 

'세작'은,
가늘 세(細) 자와 참새 작(雀) 자를 써서,
곡우에서 입하쯤에 가늘고 고운 차나무 순과 펴진 잎을 따서 만든 차를 말합니다.

'중작'은,
입하 이후 잎이 좀더 자란 후 펴진 잎을 따서 만든 차를 말하며,
'대작'은 한여름에 생산하는 차를 말합니다.

작설차 많이 들어보셨죠? 이것도 녹차인데요.
작설차는 찻잎이 참새(雀)의 혀(舌)를 닮았다고 하여 붙인 이름입니다.

죽로는 대나무의 이슬을 먹고 자란 차라는 뜻이고,
감로는 달 감(甘) 자와 이슬 로(露) 자를 써서,
첫 이슬이 내릴 때 딴 순으로 만든 차를 말합니다.

이 밖에도,
찻잎 모양이 매의 발톱과 닮았다고 해서 응조차,
찻잎 모양이 보리를 닮았다고 해서 맥과차라고 합니다.

끝으로, 
차 색깔이 까마귀(烏)처럼 검고, 찻잎 모양이 용모양(龍)으로 굽어졌다고 해서 오룡차입니다.

차 이름을 알고,
차를 마시면 그 차 맛이 훨씬 좋겠죠? 

저도 지금 녹차를 마시면서 이 글을 쓰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오룡차(烏龍茶)'는 중국식 발음에 따라 '우롱차'라고 하고 사전에도 '우롱차'가 올라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36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894
2516 [2017/11/24] 우리말) 엄중과 엄정 머니북 2017-11-24 5890
» [2017/11/10] 우리말) 곡우와 우전 머니북 2017-11-10 5878
2514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873
2513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871
2512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871
2511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860
2510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849
2509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847
2508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32
2507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829
2506 [2011/05/09] 우리말) 매다와 메다 moneybook 2011-05-09 5827
2505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826
2504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820
2503 [2012/10/04] 우리말) 밀리는 길과 막히는 길 머니북 2012-10-04 5800
2502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796
2501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792
2500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792
2499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788
2498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736
2497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