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방송 및 각종 언론에 나타나는 실생활에 밀접한 경제뉴스를 간단한 멘트와 함께 클리핑 해드립니다.

머니북(www.moneybook.co.kr)에서는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가정경제에 관련한 주요 뉴스들을 중심으로 ‘뉴스브리핑’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많은 이용 부탁 드립니다..

1. 생활 관련
* "추석 성수 품 언제 사야 하나"..구매 적기 공개

농수산물유통공사(aT)는 9일 추석 성수품의 최근 3년간 가격추이와 올해 작황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추석 성수품별 구매 적기'를 발표했습니다

유통공사에 따르면 쌀은 추석에 가까워질수록 햅쌀 공급량이 늘어나면서 가격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는 만큼 `추석 3일전에' 구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습니다.

추석이 임박하면 사과는 가격이 하락하는 반면 배는 소폭 상승하지만 올해는 추석이 다른 해보다 이르다는 점을 감안할 때 과일류는 `추석이 최대한 임박했을 때' 구매하는 게 좋다고 지적했습니다.

채소류는 대개 추석에 임박하면 가격이 하락하는 편이지만, 배추와 무는 사용 용도를 감안해서 `5일전에', 추석 직전에 큰 폭으로 가격이 오르는 경향이 있는 시금치는 늦어도 `추석 3일전'에 사두는 것이 좋다고 권했고요. 특히 쇠고기는 선물용 수요 증가 등의 요인으로 추석이 임박해 가격이 상승하는 양상을 띠는 만큼 냉동보관이 가능하다면 `추석 7일전에' 미리 사두는 게 유리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수산물은 최근 3년간 추석 연휴를 앞둔 기간에 별다른 가격 변동이 없었다는 점을 생각할 때 `추석 7일전 적당한 때에' 구매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유통공사는 이러한 내용을 농산물유통정보 홈페이지(www.kamis.co.kr)에 공개할 예정이며, 추석이 임박한 14일께 이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 시장 별 추석 차례상 비용도 발표할 예정인데요. 아울러 11일과 17일 두 차례에 걸쳐 추석 성수품의 가격추이도 일반에 제공할 계획입니다.

2. 부동산 관련
* 미분양 줄이기 '8.29 대책' 후속조치 본격화

부동산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눈물겹습니다. .

8.29 부동산 대책의 후속조치로 1조5천억원을 투입해 지방의 미분양 아파트를 사들이는 작업이 본격화되었습니다. 국토해양부와 대한주택보증㈜, LH는 환매조건부 매입 대상과 한도를 늘리고 리츠?펀드 매입 대상을 연말까지 준공 예정인 미분양으로 확대하는 등 지방 미분양 주택을 줄이는 방안을 본격 시행한다고 9일 밝혔습니다.
걱정은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입니다. 서민을 위한 정책인지 건설사를 위한 정책인지 그 돈이 어디서 조달할 것인지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3. 대출 관련
* 햇살론, 年소득 4000만원 이하만 대출 가능

햇살론에 대한 자격조건이 강화된다는 뉴스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신용등급이 낮더라도 연소득이 4000만원 이상이라면 햇살론을 대출 받을 수 없게 되고, 부정대출을 막기 위해 3개월 미만의 자영업자에 대해서도 무등록자와 동일한 대출 한도를 적용키로 했습니다.

4. 생활 관련
* 기준미달 예초기 '위험천만'…치명상 입을 수도

추석을 앞두고 애초기를 사용해서 벌초 하시는 분들은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과거 많이 쓰던 날 두 개나 세 개 짜리 대신 원형 톱날 예초기를 찾는 사람이 늘었는데요. 원형 톱날 예초기를 기술표준원의 안정성을 시험해봤더니 날끝이 부러지면서 파편이 주변에 꽂혔다고 합니다.

원형 톱날에는 강력한 재질의 초경팁이라는 작은 톱날을 덧붙이는 데 이게 떨어져 나오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초경팁을 단 원형 회전날의 경우에는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이 하나도 없는 상태이고 이들은 모두 불법 제품이 되겠습니다.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목포에 그 많던 낙지가 없어서, 전문식당들이 휴업한다는 뉴스도 있었습니다. 잦은 비와 수온상승, 담수 방류 탓이라고 하는데요. 맛있는 낙지도… 낙지를 좋아하는 저에게는 슬픈 뉴스라 소개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오.

[머니북 money@moneybook.co.kr]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18 [06/12(水)] 가정경제뉴스 - 은행금리 내리는데…실질 이자부담은 오히려 증가 머니북 2013-06-12 4419
217 [06/13(木)] 가정경제뉴스 - 아파트시장 기현상…비수기에도 전세값만 상승 머니북 2013-06-13 4557
216 [06/14(金)] 가정경제뉴스 - 셋집 난민들 서울서 멀어져간다 머니북 2013-06-14 4712
215 [06/17(月)] 가정경제뉴스 - 高금리 내건 'B급 회사채' 잇달아 쪽박… 개미 수난시대 머니북 2013-06-17 4315
214 [06/18(火)] 가정경제뉴스 - 집값 하락…"부동산 살리기 시동 걸다 기름 떨어져" 머니북 2013-06-18 4582
213 [06/19(水)] 가정경제뉴스 - 전세빚 2년새 2.7배…경매 세입자 80% 보증금 떼여 머니북 2013-06-19 4505
212 [06/20(木)] 가정경제뉴스 - 꼬박꼬박 내는데 연금 덜 준다니..가입자들 '부글' 머니북 2013-06-20 4898
211 [06/21(金)] 가정경제뉴스 - 깡통전세 급증..당신의 전세보증금은 안녕하십니까? 머니북 2013-06-21 4627
210 [06/24(月)] 가정경제뉴스 - 월세임대 정책만 줄줄이..'전세대란' 재연 우려 머니북 2013-06-24 5448
209 [06/25(火)] 가정경제뉴스 - 유형·종류 불문' 펀드 수익률 줄줄이 마이너스 머니북 2013-06-25 4287
208 [06/26(水)] 가정경제뉴스 - 신용카드 부가서비스 혜택도 ‘부익부 빈익빈’ 머니북 2013-06-26 4375
207 [06/27(木)] 가정경제뉴스 - 고소득자-대기업 위주 稅혜택 축소…저항 부를듯 머니북 2013-06-27 4307
206 [06/28(金)] 가정경제뉴스 - <하반기 달라지는 것> 세제·금융·공정거래 머니북 2013-06-28 4890
205 [07/01(月)] 가정경제뉴스 - 처음 맛보는 "카드 질러" … 빚의 늪에 빠진 20대 여성들 머니북 2013-07-01 4321
204 [07/02(火)] 가정경제뉴스 - 아직도 거품붕괴 초기, 하반기 집값 본격 추락에 대비해야 머니북 2013-07-02 4877
203 [07/03(水)] 가정경제뉴스 - 은행들, 예금→적금 이동 유도 '이자 덜 주려고' 머니북 2013-07-03 4129
202 [07/04(木)] 가정경제뉴스 - 청약저축으로 불똥 튄 '저금리 부메랑' 머니북 2013-07-04 5241
201 [07/05(金)] 가정경제뉴스 - '깡통 전세'에 우는 세입자들…소액은 '안전'? 머니북 2013-07-05 5208
200 [07/08(月)] 가정경제뉴스 - 제자리 걷는 집값·뛰는 전셋값 전세가율 56.7%…10년만에 최고 머니북 2013-07-08 5609
199 [07/09(火)] 가정경제뉴스 - 서울시 아파트 첫 조사 “거의 모든 아파트에 비리” - 11개 조사 168건 적발 머니북 2013-07-09 8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