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9/02/17(조선 성종 20)  도학자 화담 서경덕 태어남.

1600/02/17  지동설 주장했던 지오다노 브루노, 이단의 죄명으로 교황 앞에서 화형 당함.

1766/02/17  <인구론> 저자 맬더스 태어남.
                 “인구는 억제하지 않으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겨우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뿐이다.”

1827/02/17  스위스 교육자 페스탈로치 세상 떠남.

1856/02/17  독일 낭만파 시인 하이네 세상 떠남

1869/02/17(조선 고종 6)  독립운동가 이동녕 태어남.

1876/02/17(조선 고종 13)  최익현, 강화조약 교섭 반대 척사소 올림

1907/02/17  국채보상운동 시작.
                 부녀자들은 가락지, 비녀까지 헌납하면서 적극 가담하는 등 거국적으로 전개된 이 운동은
                 일본 통감부의 저지로 큰 결실을 맺지 못했다.
                 “2천만 동포가 담배를 석 달만 끊고… 국채 1300만원을 갚을 터인데…
                 어찌 힘 안드는 담배 석 달이야 못 끊을 자 있으며 설혹 못 끊더라도 1원에서 천백원까지 낼 사람이 많을지니
                 무엇을 근심하리요"-1907.2.17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서상돈의 글

1988/02/17  남극과학기지인 세종기지 준공.

1992/02/17  미국의 뉴키즈온더블록 내한공연 중 1명 숨지고 40여명 부상.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공연에서 10대 청소년 관객들의 열광으로 일어난 사건

1998/02/17  대만여객기 추락, 203명 목숨 잃음.

2007/02/17  파키스탄 법원에 폭탄테러, 13명 목숨 잃음.

2008/02/17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서 자살폭탄 테러로 100명 이상 목숨 잃음.

2008/02/17  코소보,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선언



오늘은 정월대보름.

대보름의 풍습=부럼;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깨물어 소리를 낸다. 나이 수대로 깨뜨리기도 하나 나이 먹은 이는 몇 개만 깬다. 일년 내내 까탈이 생기지 말라는 기원

대보름의 풍습=귀밝이 술; 대보름날 아침에 귀가 잘 들리라고 마시는 술, 좋은 소식을 잘 듣게 됨. 약밥; 14일이나 대보름날 아침에 찹쌀 대추 밤 잣 꿀을 섞어 찜. 오곡밥; 쌀 보리 콩 팥 조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세 집의 밥을 먹어야 좋다고

대보름의 풍습=더위팔기; 아침 일찍 더위를 판다. 그 해 무더위를 신선하게 보낼 수 있다. 지신밟기; 영남지방에서 지신을 위로하는 놀이. 여럿이 풍물 치며 뛰고 놈. 달맞이; 대보름날 저녁 뜨는 달 맞으며 횃불 꽂고 합장하고 소원을 빈다

대보름의 풍습=산제(동신제); 동리 수호신인 산신에 산제당에서 제사 지낸다. 답교; 종각의 종소리를 듣고 광통교나 수표교를 내왕한다. 일년 동안 다리가 아프지 않다고 함. 군중들은 퉁소를 불고 북을 쳐서 흥을 돋운다

대보름의 풍습=편싸움; 보름날 동서남대문밖 사람들과 애오개 사람들이 두 패가 되어 몽둥이나 돌을 들고 만리재에서 편싸움. 문밖사람들이 이기면 경기지방에 풍년이 들고 애오개편이 이기면 다른 지방에 풍년이 든다고. 고구려는 패수가에서 싸웠는데 임금이 친히 심판 봄

대보름의 풍습=줄다리기; 집집에서 짚을 내 줄을 만들어 두 패로 나누어 승패를 가른다. 횃불싸움; 홰를 들고 청소년이 두 패로 갈라져 전쟁 연습하듯이 싸우는 놀이. 사자놀이; 사자 탈을 쓰고 농악대를 앞세우고 마을 부잣집을 돌면서 대접받으며 추고 논다

대보름의 풍습=놋다리 놀이; 안동 지방에서 하는 놀이. 놋다리밟기, 기와 밟기, 여인들이 늘어서 허리 구부린 위로 걸어가는 놀이. 공민왕의 파천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3958 [역사 속 오늘] 07/26(1856) 아일랜드 극작가 버나드 쇼 태어남 머니북 2013-07-26 2722
3957 [역사 속 오늘] 07/27(1953) 판문점에서 휴전협정(미국-중국-북한) 조인 머니북 2013-07-29 2568
3956 [역사 속 오늘] 07/28(1914) 1차대전 시작 머니북 2013-07-29 2760
3955 [역사 속 오늘] 07/29(1836) 파리 개선문 제막 머니북 2013-07-29 2631
3954 [역사 속 오늘] 07/30(1863) 미국의 자동차왕 헨리 포드 태어남 머니북 2013-07-30 3055
3953 [역사 속 오늘] 07/31(1959) 조봉암 교수형 머니북 2013-07-31 3399
3952 [역사 속 오늘] 08/01(1981) 해외여행 자유화 머니북 2013-08-01 2873
3951 [역사 속 오늘] 08/02(1980) 컬러TV 시판개시 12월1일 첫 방영 머니북 2013-08-02 2349
3950 [역사 속 오늘] 08/03(2008) 알렉산드로 솔제니친(89세)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8-04 3102
3949 [역사 속 오늘] 08/04(1930) 백범 김구, 상해임시정부 국무령 취임 머니북 2013-08-04 3017
3948 [역사 속 오늘] 08/05(527) 이차돈 순교, 불교공인 머니북 2013-08-05 3258
3947 [역사 속 오늘] 08/06(1945) 미국, 일본 히로시마에 최초의 원폭 투하 머니북 2013-08-06 2991
3946 [역사 속 오늘] 08/07(1941) 아시아에서 처음 노벨문학상(1913년) 받은 인도의 시성 타고르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8-07 3188
3945 [역사 속 오늘] 08/08(1969) MBC TV 방송국 개국 머니북 2013-08-08 4076
3944 [역사 속 오늘] 08/09(1936) 손기정, 제11회 베를린올림픽 마라톤 우승 2시간29분19초 세계신기록 머니북 2013-08-09 3211
3943 [역사 속 오늘] 08/10(2000) 현대그룹-북한, 서울-판문점-개성간 버스이용 육로관광 합의 머니북 2013-08-11 2943
3942 [역사 속 오늘] 08/11(2012) 남자축구, 런던올림픽에서 사상 처음 3위 머니북 2013-08-11 2542
3941 [역사 속 오늘] 08/12(1993) 금융실명제 전격실시 머니북 2013-08-12 2943
3940 [역사 속 오늘] 08/13(1910) 백의의 천사 영국의 프로렌스 나이팅게일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8-13 2709
3939 [역사 속 오늘] 08/14(1991) 김학순 할머니(67세), 일본군위안부 피해 첫 공개증언 머니북 2013-08-14 3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