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89/02/17(조선 성종 20)  도학자 화담 서경덕 태어남.

1600/02/17  지동설 주장했던 지오다노 브루노, 이단의 죄명으로 교황 앞에서 화형 당함.

1766/02/17  <인구론> 저자 맬더스 태어남.
                 “인구는 억제하지 않으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 식량은 겨우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할 뿐이다.”

1827/02/17  스위스 교육자 페스탈로치 세상 떠남.

1856/02/17  독일 낭만파 시인 하이네 세상 떠남

1869/02/17(조선 고종 6)  독립운동가 이동녕 태어남.

1876/02/17(조선 고종 13)  최익현, 강화조약 교섭 반대 척사소 올림

1907/02/17  국채보상운동 시작.
                 부녀자들은 가락지, 비녀까지 헌납하면서 적극 가담하는 등 거국적으로 전개된 이 운동은
                 일본 통감부의 저지로 큰 결실을 맺지 못했다.
                 “2천만 동포가 담배를 석 달만 끊고… 국채 1300만원을 갚을 터인데…
                 어찌 힘 안드는 담배 석 달이야 못 끊을 자 있으며 설혹 못 끊더라도 1원에서 천백원까지 낼 사람이 많을지니
                 무엇을 근심하리요"-1907.2.17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서상돈의 글

1988/02/17  남극과학기지인 세종기지 준공.

1992/02/17  미국의 뉴키즈온더블록 내한공연 중 1명 숨지고 40여명 부상.
                 서울 올림픽공원에서 열린 공연에서 10대 청소년 관객들의 열광으로 일어난 사건

1998/02/17  대만여객기 추락, 203명 목숨 잃음.

2007/02/17  파키스탄 법원에 폭탄테러, 13명 목숨 잃음.

2008/02/17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서 자살폭탄 테러로 100명 이상 목숨 잃음.

2008/02/17  코소보, 세르비아로부터 독립선언



오늘은 정월대보름.

대보름의 풍습=부럼; 대보름날 아침에 일어나 밤, 호도, 잣, 은행 등을 깨물어 소리를 낸다. 나이 수대로 깨뜨리기도 하나 나이 먹은 이는 몇 개만 깬다. 일년 내내 까탈이 생기지 말라는 기원

대보름의 풍습=귀밝이 술; 대보름날 아침에 귀가 잘 들리라고 마시는 술, 좋은 소식을 잘 듣게 됨. 약밥; 14일이나 대보름날 아침에 찹쌀 대추 밤 잣 꿀을 섞어 찜. 오곡밥; 쌀 보리 콩 팥 조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 세 집의 밥을 먹어야 좋다고

대보름의 풍습=더위팔기; 아침 일찍 더위를 판다. 그 해 무더위를 신선하게 보낼 수 있다. 지신밟기; 영남지방에서 지신을 위로하는 놀이. 여럿이 풍물 치며 뛰고 놈. 달맞이; 대보름날 저녁 뜨는 달 맞으며 횃불 꽂고 합장하고 소원을 빈다

대보름의 풍습=산제(동신제); 동리 수호신인 산신에 산제당에서 제사 지낸다. 답교; 종각의 종소리를 듣고 광통교나 수표교를 내왕한다. 일년 동안 다리가 아프지 않다고 함. 군중들은 퉁소를 불고 북을 쳐서 흥을 돋운다

대보름의 풍습=편싸움; 보름날 동서남대문밖 사람들과 애오개 사람들이 두 패가 되어 몽둥이나 돌을 들고 만리재에서 편싸움. 문밖사람들이 이기면 경기지방에 풍년이 들고 애오개편이 이기면 다른 지방에 풍년이 든다고. 고구려는 패수가에서 싸웠는데 임금이 친히 심판 봄

대보름의 풍습=줄다리기; 집집에서 짚을 내 줄을 만들어 두 패로 나누어 승패를 가른다. 횃불싸움; 홰를 들고 청소년이 두 패로 갈라져 전쟁 연습하듯이 싸우는 놀이. 사자놀이; 사자 탈을 쓰고 농악대를 앞세우고 마을 부잣집을 돌면서 대접받으며 추고 논다

대보름의 풍습=놋다리 놀이; 안동 지방에서 하는 놀이. 놋다리밟기, 기와 밟기, 여인들이 늘어서 허리 구부린 위로 걸어가는 놀이. 공민왕의 파천으로부터 비롯되었다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158 [역사 속 오늘] 09/01(1983) KAL기, 사할린 근해 상공에서 소련공군기의 미사일에 격추당함 머니북 2013-09-02 2760
1157 [역사 속 오늘] 08/31(1993) 감사원, 3개월간 실시한 평화의 댐 특별감사결과 발표 머니북 2013-08-31 2920
1156 [역사 속 오늘] 08/30(1949) 최초의 국비유학생 6명 미국으로 출발 머니북 2013-08-30 2828
1155 [역사 속 오늘] 08/29(1910) 대한민국 국권 상실 머니북 2013-08-29 2960
1154 [역사 속 오늘] 08/28(1749) 독일작가 괴테 프랑크푸르트에서 태어남 머니북 2013-08-28 2578
1153 [역사 속 오늘] 08/27(1936) 동아일보, 일장기말소사건으로 무기정간 머니북 2013-08-27 3113
1152 [역사 속 오늘] 08/26(2011) 오세훈 서울시장, 무상급식 주민투표 개표 무산되자 사퇴 머니북 2013-08-26 3249
1151 [역사 속 오늘] 08/25(1936) 동아일보, 손기정 마라톤우승사진 일장기 지우고 실음. 머니북 2013-08-25 2607
1150 [역사 속 오늘] 08/24(2006) 국제천문연맹, 명왕성을 태양계행성에서 제외 머니북 2013-08-24 2507
1149 [역사 속 오늘] 08/23(2001) IMF 차관 완전 상환 머니북 2013-08-23 2088
1148 [역사 속 오늘] 08/22(2000) 남북, 개성공단사업 합의 머니북 2013-08-22 3154
1147 [역사 속 오늘] 08/21(1983) 필리핀 야당지도자 아키노 미국망명에서 귀국 중 마닐라공항에서 피살 머니북 2013-08-21 2566
1146 [역사 속 오늘] 08/20(1971) 남북적십자 대표, 26년만에 판문점에서 만남 머니북 2013-08-20 2376
1145 [역사 속 오늘] 08/19(1839) 프랑스 화가 루이 다게르, 사진술 발명 머니북 2013-08-19 2747
1144 [역사 속 오늘] 08/18(2009) 김대중 전 대통령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8-18 2993
1143 [역사 속 오늘] 08/17(1975) 독립운동가 장준하, 등산 중 의문의 추락사 머니북 2013-08-18 2611
1142 [역사 속 오늘] 08/16(1980) 최규하대통령, 학생소요와 광주항쟁 책임지고 사임 발표 머니북 2013-08-16 2659
1141 [역사 속 오늘] 08/15(1948) 대한민국 정부수립 선포 머니북 2013-08-16 2624
1140 [역사 속 오늘] 08/14(1991) 김학순 할머니(67세), 일본군위안부 피해 첫 공개증언 머니북 2013-08-14 3816
1139 [역사 속 오늘] 08/13(1910) 백의의 천사 영국의 프로렌스 나이팅게일 세상 떠남 머니북 2013-08-13 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