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얼마 전에 '코스모스꽃'보다 '살사리꽃'이 더 좋다는 말씀을 드린 적이 있습니다.
며칠 전에 대천에 다녀오면서 보니,
길가에 '코스모스꽃이 만개'한 게 아니라
'살사리꽃이 활짝' 피었더군요.
시원한 가을바람에 하늘거리는 살사리가 어찌나 예쁘던지...^^*

살사리꽃이 가을바람에 하늘거리는 게 맞을까요, 하늘대는 게 맞을까요?
오늘은 '거리다'와 '대다' 이야기입니다.

얼마 전에
떨어뜨리다와 떨어트리다 모두 맞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거리다'와 '대다'도 마찬가지입니다. 복수표준어입니다.
따라서,
물이 출렁거리는 것도 맞고, 출렁대는 것도 맞습니다.
가을바람에 살사리꽃이 건들거리는 것도 맞고, 건들대는 것도 맞습니다.
또, 살사리꽃이 하늘거리는 것도 맞고, 하늘대는 것도 맞습니다.
둘 중 어떤 것을 쓰셔도 됩니다.
아무 걱정하지 마시고 맘껏 쓰세요.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숫놈들은 왜 바람을 피울까]

오늘은 논에 가서 피사리하는 날입니다.
다행히 날씨가 별로 더울 것 같지 않네요.
돌아오는 길에,
논에서 고둥 몇 마리 잡고, 도랑에서 미나리 한 줌 뜯어다가,
잘박잘박하게 된장 풀어 국이나 해 먹어야겠네요.

어제는 책을 좀 찾느라 인터넷 서점을 뒤졌습니다.
이것저것 찾고 있는데, 도발적인 제목이 보이더군요.
‘숫놈들은 왜 바람을 피울까’라는...
무슨 내용인지는 모르지만,
제목이 좀 거시기 하네요...

더군다나 제목에 틀린 단어까지 있습니다.
‘숫놈’이라는 단어는 우리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짐승의 수컷’은 ‘숫놈’이 아니라 ‘수놈’입니다.

현재 국어 맞춤법에서,
짐승의 수컷은,
‘숫양, 숫염소, 숫쥐’ 이 세 개 만 ‘숫’을 쓰고,
나머지는 모두 ‘수’로 쓰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숫사자’가 아니라 ‘수사자’이며,
‘숫놈’이 아니라 ‘수놈’입니다.

거기에,
9개의 단어(수캉아지, 수캐, 수컷, 수키와, 수탉, 수탕나귀, 수톨쩌귀, 수퇘지, 수평아리)는
거센소리를 인정합니다.

즉, 개의 수컷은, ‘숫개’도 아니요, ‘수개’도 아닌, ‘수캐’가 맞습니다.

좀 그렇죠?

오늘도 날씨가 참 좋습니다.
이 좋은 날씨만큼 좋은 일 많이 생기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654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12148
136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5885
135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5887
» [2006/09/20] 우리말) 살사리꽃이 하늘거릴까 하늘댈까? id: moneyplan 2006-09-20 5895
133 [2014/08/08] 우리말) 딸따니 머니북 2014-08-11 5897
132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5907
131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5911
130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5930
129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5935
128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5946
127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5974
126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5978
125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5984
124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5996
123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006
122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024
121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031
120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043
119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6070
118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236
117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6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