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조회 수 4714 추천 수 93 2006.11.01 09:57:21
안녕하세요.

"아빠, 원준이 또 똥 쌌어요."
"뭐? 또?"
"저는 화장실 가서 누는데 원준이는 만날 기저귀에다 싸요. 그쵸?"

오늘 아침에 제 딸이 저에게 일러바친 말입니다.
제 딸내미는 이제 막 36개월을 넘어섰습니다.
이 어린것이 말을 배워가는 것을 보면 참 재밌습니다.
언젠가는 시장에서 한 아주머니가 하시는 말씀을 듣고,
"아빠, 저건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거죠. 그쵸?"라고 말해 저를 깜짝 놀라게 하더군요.
이 어린것이 벌써 틀리다와 다르다를 갈라 쓰고 있으니 얼마나 기특해요.

앞에서 제 동생이 똥을 쌌다고 하고
자기는 똥을 눈다고 했는데요.
이것도 정확하게 갈라서 쓰고 있는 겁니다.

'싸다'는
"똥이나 오줌을 참지 못하고 함부로 누다."나,
똥이나 오줌을 누는 것을 속되게 이르는 말입니다.
'개똥녀'의 개가 여기저기 똥을 싸고 다니는 거죠.

'누다'는
"배설물을 몸 밖으로 내보내다."는 뜻으로
오줌을 누다, 똥을 누다처럼 씁니다.

그게 그거 같아 헷갈리신다고요?
쉽게 가르실 수 있습니다.
'누다'는 내가 내 의지에 따라 다스려서 밖으로 내보내는 것이고,
'싸다'는 스스로 다스리지 못하고 내보내는 것입니다.

제 아들은 아직 철이 들지 않아 똥을 싸는 것이고,
제 딸은 철이 들어 제 의지대로 똥을 누는 것입니다.
이제 '누다'와 '싸다'를 가르실 수 있죠?
겨우 네 살인 제 딸도 이런 말을 상황에 맞게 씁니다. 하물며 나이든 우리야...

우리말123


보태기)
'그쵸'는 없는 말입니다.
'그렇죠'가 맞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입니다.

[으시시 >> 으스스, 부시시 >> 부스스 ]

지난주에 힘들었던 게 이번 주까지 오네요.
몸이 춥고 떨리는 게 오한이 났나 봅니다.
춥기도 하고, 머리는 열이 나면서 아프고, 온몸이 욱신거리고...

말 그대로 오슬오슬 떨리네요.
아침에 일어나니 온몸이 식은땀으로 축축하게 젖어 있더군요.

그냥 부스스한 얼굴로 사무실에 전화나 한 통 하고 쉴까 하다가,
아직은 그럴 나이가 아닌 것 같아서
물먹은 솜처럼 축 처진 몸을 이끌고 출근은 했습니다.
아마 오늘 하루 잘 쉬면 좀 나아질 것 같네요.

아침에 일어나서 거울을 보니, 가관이더군요.
짧은 머리카락은 흐트러져 있지,
얼굴은 부어있지,
입가에 침 자국은 선명하지...

바로 그런 저의 모습을 보니 떠오르는 낱말이 있더군요.
바로, ‘부스스’입니다.
흔히 그런 경우 ‘부시시하다’고 하는데요.
그건 틀린 말입니다.
‘부스스’한 겁니다.

“차거나 싫은 것이 몸에 닿았을 때 크게 소름이 돋는 모양”도,
‘으시시’한 게 아니라,
‘으스스’한 거죠.

“굵은 물줄기 따위가 빠르게 흘러내리는 소리. 또는 그 모양”도,
‘주루루’흐르는 게 아니라,
‘주르르’흐르죠  
다만,
“물줄기나 빗물 등이 짧은 데를 빨리 흐르다가 그치는 소리”인
‘주룩’이나 ‘주룩주룩’은 맞습니다.

오늘 비가 온다네요.
창가에 주르르 흐르는 빗방울을 보면서,
옛 애인을 한번 떠올려 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65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183
2356 [2007/09/17] 우리말) 철 따라 한 목 한 목 무리로 나오는 모양 id: moneyplan 2007-09-17 3512
2355 [2007/09/18] 우리말) 저는 선물을 받지 않습니다 ^^* id: moneyplan 2007-09-18 3407
2354 [2007/09/19] 우리말) 포도와 클러스터 id: moneyplan 2007-09-19 3559
2353 [2007/09/20] 우리말) 기울이다와 기우리다 id: moneyplan 2007-09-20 9522
2352 [2007/09/20] 우리말) 추석과 중추절 id: moneyplan 2007-09-21 3815
2351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691
2350 [2007/09/28] 우리말) 고바위에 오르다? id: moneyplan 2007-09-28 3642
2349 [2007/09/29] 우리말) '고향 방문을 환영합니다.'에서 틀린 곳이 있습니다. 어딜까요? id: moneyplan 2007-10-01 3559
2348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661
2347 [2007/10/02] 우리말) 청설모가 아니라 청서 id: moneyplan 2007-10-02 3466
2346 [2007/10/04] 우리말) 사열했다와 사열 받다 id: moneyplan 2007-10-05 3699
2345 [2007/10/05] 우리말) 저는 개으릅니다 id: moneyplan 2007-10-05 4265
2344 [2007/10/06] 우리말) 2007년 우리말 지킴이와 헤살꾼 id: moneyplan 2007-10-08 3904
2343 [2007/10/07] 우리말) '중'은 '가운데'라고 쓰는 게 더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7-10-08 3811
2342 [2007/10/08] 우리말) 손대기 id: moneyplan 2007-10-08 4390
2341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839
2340 [2007/10/10] 우리말) 한 수 위를 뜻하는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10 4275
2339 [2007/10/11] 우리말) 부리나케, 부랴부랴 id: moneyplan 2007-10-11 3457
2338 [2007/10/12] 우리말) 짬짜미 id: moneyplan 2007-10-13 3384
2337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5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