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침에 뉴스를 들으니 열불나는 기사가 있네요.
아파트 분양가 문제인데
'상한제를 적용해 인하 유도'라는 꼭지의 기사입니다.

이렇게 아파트값이 하늘 높을 줄 모르고 오르기만하니...
저는 돈 벌 생각 말고
기사에 나온 낱말이나 좀 조져보겠습니다.

인상, 인하는 일본어투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이미 '값 내림', '값 올림'으로 다듬었습니다.
'상한제를 적용해 인하 유도'를
'상한제를 적용해 값 내리도록'으로 바꾸면 어떨까요?
상한제나 적용도 한자어지만 마땅히 바꿀 낱말이 떠오르지 않네요.

기자님!
국립국어원에서 여러 학자가 모여 일본어투 말을 버리자고 고민해서 다듬은 말이 많습니다.
그런 낱말은 기자님들이 앞장서서 퍼트려야 하는 거 아닌가요?
저 같은 사람 백 명 천 명이 떠드는 것보다,
기자님이 쓰시는 기사 한 줄이 백 배 천 배 낫습니다.
'아파트 가격 인하 유도'보다는,
'아파트 값 어떻게 하면 잡나'가 더 낫지 않을까요?
그래서 기자의 펜은 칼보다 강하다고 하는 게 아닐까요?

그나저나,
이렇게 치솟는 아파트값을 그냥 두면
저는 언제 집다운 집에서 좀 살아보죠?
평생 받는 월급을 한 푼도 안 쓰고 다 모아도 아파트 하나를 살 수 없으니...

그렇지 않아도 치솟는 아파트값 때문에 열 받는데,
일본어투 말까지 판을치니......
오늘 이 화를 어찌 달래죠?

우리말123


오늘 편지 읽으시면서 '조지다'가 눈에 거슬리지 않으셨나요?

예전에 보낸 편지를 덧붙입니다.

[조지다]

어제 보낸 편지에,
‘언론이 사회의 어두운 곳, 더럽고 썩은 곳만을 찾아 조지는데 열을 올리지 말고,..’라는 부분이 있었는데요.

그 중 ‘조지다’라는 낱말을 쓴 게 적절하지 않았다는 지적을 많은 분이 해 주셨네요.
많은 사람이 읽는 편지에서 비속어를 쓰면 안 된다는 말씀이셨습니다.

이왕 말 나왔으니, 이참에 ‘조지다’라는 낱말의 뜻을 알아보기로 하죠.

일반적으로는 ‘조지다’를,
‘신세를 조지다’처럼 속어로 쓰는 것만 알고 있는데요.
실은 ‘조지다’에는 그 뜻 말고도 다른 뜻이 있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펴낸 표준국어대사전에 보면,
1. 짜임새가 느슨하지 않도록 단단히 맞추어서 박다.
2. 일이나 말이 허술하게 되지 않도록 단단히 단속하다.
3. (…을) 호되게 때리다.
4. (속되게) 일신상의 형편이나 일정한 일을 망치다. 보기)신세를 조지다.
라고 나와 있습니다.

1, 2, 3번에 나온 뜻은 속어가 아니고, 4번에 나온 뜻만 속어입니다.

‘신세를 조지다’에 쓰는 ‘조지다’는 ‘조지다’의 네 가지 뜻 중 맨 마지막에 있습니다.

다시 맨 처음으로 가서,
‘언론이 사회의 어두운 곳, 더럽고 썩은 곳만을 찾아 조지는데...’에서 쓰인
‘조지다’는 국어사전에 나온 네 가지 뜻 중 어떤 뜻으로 쓰였을까요?
바로 3번, ‘호되게 때리다’는 의미로 썼습니다.

‘언론이 사회의 어두운 곳, 더럽고 썩은 곳만을 찾아 호되게 때리고 고발하는데만 열을 올리지 말고,..’라는 의미로 쓴 겁니다.
속어로 쓰는 ‘신세를 조지다’의 ‘조지다’와는 다른 뜻입니다.

‘조지다’에도 여러 가지 뜻이 있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52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112
76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5218
75 [2017/06/20] 우리말)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머니북 2017-06-22 3868
74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3260
73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3634
72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881
71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649
70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821
69 [2017/06/30] 우리말) 7월에 놀러가기 좋은 곳 머니북 2017-06-30 3120
68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3416
67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3662
66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915
65 [2017/07/06] 우리말) 희귀병 머니북 2017-07-07 3811
64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3439
63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4052
62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780
61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4346
60 [2017/07/14] 우리말) 아닐 수 없다 머니북 2017-07-17 3736
59 [2017/07/17] 우리말) 때마침 머니북 2017-07-17 3296
58 [2017/07/21] 우리말) 붇다 머니북 2017-07-21 3305
57 [2017/07/24] 우리말) 중소벤처기업부 머니북 2017-07-24 31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