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조회 수 5394 추천 수 99 2006.11.09 10:01:11
안녕하세요.

집에 가고 싶은데... 지금 1시가 다 되어가는데 아직도...

다가오는 16일이 수능시험 보는 날이죠?
수능시험 보는 날만 되면 어찌 그리도 잘 알고 날씨가 추워지는지...

오늘은 수능시험 보시는 분들 시험 잘 치르시라고 공부와 관련된 우리말 하나 소개해 드릴게요.
바로 '한무릎공부'입니다.

'한무릎공부'는
"무릎을 꿇고 정신을 집중하여 한동안 열심히 하는 공부"를 뜻합니다.

재밌는 말이죠?

너무 조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까지 준비한 것을 잘 펼쳐 보세요.
땀 흘린 만큼 성과가 나올 겁니다.
너무 겁먹지도 마세요. 대학이 인생의 목표는 아닙니다. 농대 나온 저도 이렇게 잘 살고 있잖아요. ^^*

오늘은 짧게 쓰겠습니다.
할일이 좀 있어서...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환상은 쫓는 게 아니라 좇는 겁니다]

비가 오려는지 날씨가 끄물끄물 하네요.

어제는 오랜만에 회사 동료들과 노래방에 갔습니다.
다들 거나하게 마신 상태라
간잔지런 눈을 하고 멋들어지게 한 곡조씩 뽑더군요.
당연히 저도 한 곡 뽑았죠.

저는 노래방에 가면,
남들이 노래할 때 모니터 화면에 나오는 가사를 유심히 봅니다.
맞춤법 틀린 가사가 무척 많거든요.
어제 누군가가 부른,
‘애수’라는 노래에 보면 이런 가사가 있습니다.

아직도 모르겠어 난 정말
꿈이라 생각해야 하는지
...
널 날마다 생각했어 보이지 않는 환상을 쫓고 있어
그리워 목이 메어 눈물 흘려도 눈물 닦아도
...
온통 너의 모습 그뿐인걸

기억나시죠?  
이 노래에서 ‘환상을 쫓고 있어’라는 구절이 있는데요.
환상은 ‘쫓’는 게 아니라 ‘좇’는 겁니다.

‘쫓다’와 ‘좇다’는 다릅니다.

‘쫓다’는  
“어떤 대상을 잡거나 만나기 위하여 뒤를 따라서 급히 가다”라는 뜻으로,
이곳에서 저곳으로 위치이동이 있을 때 쓰고,

‘좇다’는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라는 뜻으로,
공간적인 이동과는 상관없이,
생각을 따르는 것을 말합니다.
‘명예를 좇는 젊은이/태초부터 사람은 살기 편한 것을 좇게 마련이오.’처럼 쓰죠.

노랫말에 나오는,
‘환상을 쫓고 있어’라는 구절도,
환상을 잡기 위해 이곳에서 저곳으로 이동한 게 아니기 때문에,
‘쫓고 있어’가 아니라 ‘좇고 있어’ 라고 해야 합니다.

밖에 비가 오네요.

오늘도 좋은 생각 많이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597
216 [2009/03/30] 우리말) 서머하다 id: moneyplan 2009-03-30 3110
215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3108
214 [2015/06/22] 우리말) 유월 머니북 2015-06-22 3106
213 [2014/09/03] 우리말) 과자 봉지에 우리글보다 외국어를 더 크게 쓴다고? 머니북 2014-09-03 3106
212 [2009/06/15] 우리말) 음식 맛 id: moneyplan 2009-06-15 3106
211 [2015/11/06] 우리말) 싸가지와 거시기 머니북 2015-11-09 3104
210 [2009/03/27] 우리말)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id: moneyplan 2009-03-27 3103
209 [2016/06/24] 우리말) 골탕 머니북 2016-06-26 3102
208 [2014/01/08] 우리말) 옴짝달싹 머니북 2014-01-08 3102
207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3101
206 [2009/07/09] 우리말) 도리기와 도르리 id: moneyplan 2009-07-09 3101
205 [2009/01/29] 우리말) 높임말 id: moneyplan 2009-01-29 3101
204 [2015/06/03] 우리말) 늦장과 늑장 머니북 2015-06-03 3100
203 [2015/01/13] 우리말) 에라, 잘코사니라 머니북 2015-01-13 3100
202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3099
201 [2015/12/09] 우리말) 안녕'과 '하세요' 머니북 2015-12-10 3099
200 [2009/09/29] 우리말) 햇감자와 해땅콩 id: moneyplan 2009-09-29 3096
199 [2016/06/20] 우리말) 관청은 알기 쉬운 용어를 써야 한다 머니북 2016-06-21 3094
198 [2016/07/06] 우리말) 어수룩해지려고 귀촌하는가? 머니북 2016-07-06 3093
197 [2016/04/19] 우리말) 신문 기사를 잇습니다 머니북 2016-04-22 30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