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조회 수 4542 추천 수 128 2007.01.16 12:25:27
안녕하세요.

어제 어떤 분과 이야기하다 오랜만에 '낫잡다'라는 말을 들었습니다.
참 멋진 우리말인데 요즘은 많이 쓰지 않죠.

오늘은 낫잡다를 소개해 드릴게요.

'낫잡다'는
[낟ː짭따]로 발음하고
"금액, 나이, 수량, 수효 따위를 계산할 때에, 조금 넉넉하게 치다."는 뜻입니다.
손님이 더 올지 모르니 음식을 낫잡아 준비해라,
경비를 낫잡았더니 돈이 조금 남았다처럼 씁니다.
어제 제가 만난 분은
"무슨 일을 할 때 일정을 너무 빡빡하게 잡지 말고 낫잡아 둬야 일하기 좋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맞는 말씀이십니다.

낫잡다와 발음이 거의 같은,
'낮잡다'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낟짭따]로 발음하고
"실제로 지닌 값보다 싸게 치다."나
"사람을 만만히 여기고 함부로 낮추어 대하다."는 뜻입니다.
물건값을 낮잡아 부르다, 그는 낮잡아 볼 만큼 만만한 사람이 아니다처럼 씁니다.
"남의 재주나 능력 따위를 실제보다 낮추어 보아 하찮게 대하다."는 뜻의
'얕잡다'와 거의 같은 뜻이죠.

세상 살면서,
남을 낮잡아 보면 안 되지만,
내가 준비하는 일은 낫잡으면 좋습니다.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논문 진위 여부 -->> 논문 진위]

설마 했는데...
희망의 끈을 놓지 않고 있었는데...

결국 그 논문이 조작된거였군요......
어쩌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아픈 가슴을 달래고자 다른 이야기나 좀 할게요.

뉴스를 들으니,
서울대 진상조사위원회가 ‘논문 진위’를 조사했다고 하네요.
‘논문 진위 여부’를 조사한 게 아니라...

‘진위 여부’는 옳은 표현이 아닙니다.
여부(與否)는 “그러함과 그러하지 아니함.”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여부’ 앞에 상반된 개념을 한꺼번에 가진 낱말을 쓰면 안 됩니다.
예를 들면,, 생사(生死), 진위(眞僞), 성패(成敗) 같은 낱말 뒤에는 ‘여부’를 쓰면 안 되는 거죠.
생사, 진위, 성패라는 낱말이,
이미, 살거나 죽거나, 사실이거나 아니거나, 성공하거나 실패하거나란 뜻을 담고 있는데,
그 뒤에 또 ‘여부’를 써서 ‘그러거나 그러지 않거나’라는 뜻을 덧붙일 필요가 없잖아요.
다시 말하면, ‘진위’ 속에 이미 ‘여부’의 뜻이 들어있습니다.

따라서,
‘논문 진위 여부’를 조사한 게 아니라,
‘논문 진위’, 곧, 논문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조사한 거죠.

조난자의 생사 여부를 모르는 게 아니라, ‘조난자의 생사’를 모르는 거고,
연구의 성패 여부를 모르는 게 아니라, ‘연구의 성패’를 모르는 거죠.

그러나
‘여부’ 앞에 상반된 개념을 한꺼번에 가진 낱말이 오지 않으면 ‘여부’를 써도 됩니다.
예를 들면,,
논문의 진실 여부를 검토했다/연구의 성공 여부에 달렸다/줄기세포 존재 여부를 알고 싶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논문의 진실 여부를 검토했다’는 논문이 진실인지 아닌지를 검토한 것이고,
‘연구의 성공 여부에 달렸다’는 연구가 성공하는지 실패하는지에 달렸다는 말이고,
‘줄기세포 존재 여부를 알고싶다’는 줄기세포가 있는지 없는지를 알고 싶다는 말이잖아요.

정리하면,
‘여부(與否)’는 “그러함과 그러하지 아니함.”이라는 뜻이 있으므로,
그 낱말 앞에,
‘그러거나 그러지 않다’는 뜻이 있는, 곧, 상반된 개념을 한꺼번에 가진 낱말을 쓰면 안 됩니다.

이제 이 일을 어떻게 매조지어야 할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42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947
136 [2007/09/06] 우리말) 지킴이와 지기의 반대말 id: moneyplan 2007-09-06 6102
135 [2006/11/16] 우리말) 난이도가 있다? 난이도가 높다? id: moneyplan 2006-11-16 6107
134 [2009/03/31] 우리말) 꾀와 꽤 id: moneyplan 2009-03-31 6110
133 [2006/12/13] 우리말) 시간 참 잘가죠? id: moneyplan 2006-12-13 6114
132 [2006/12/20] 우리말) 세모가 아니라 세밑! id: moneyplan 2006-12-20 6115
131 [2006/09/12] 우리말) 필자가 아니라 글쓴이! id: moneyplan 2006-09-12 6135
130 [2007/01/12] 우리말) '들쳐메다'가 아니라 '둘러메다'입니다 id: moneyplan 2007-01-12 6140
129 [2006/09/15] 우리말) 게슴츠레 졸린 눈 id: moneyplan 2006-09-15 6143
128 [2013/09/30] 우리말) 굉장히 머니북 2013-09-30 6170
127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6171
126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6175
125 [2012/07/11] 우리말) 왔다리 갔다리 머니북 2012-07-11 6180
124 [2009/10/06] 우리말) 내숭 id: moneyplan 2009-10-06 6202
123 [2006/09/11] 우리말) 납골당 >> 봉안당 id: moneyplan 2006-09-11 6211
122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6229
121 [2007/01/30] 우리말) 발자국과 발자욱 id: moneyplan 2007-01-31 6248
120 [2012/10/09] 우리말) 오늘은 한글날 머니북 2012-10-09 6305
119 [2017/11/27] 우리말) 오늘까지만 우리말 편지를 보냅니다 머니북 2017-11-27 6333
118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6411
117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6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