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22] 우리말) 쉼표와 마침표

조회 수 4482 추천 수 95 2007.01.22 09:46:57
안녕하세요.

어제는
오랜만에 집에서 쉬면서
동료 식구를 저희 집으로 불러 재밌게 놀았습니다.

잡채로 일단 입을 좀 푼 뒤,
매운탕과 낙지볶음으로 속을 채웠습니다.
당연히 곡차도 곁들여서...^^*

저는 어제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 따위를 먹었는데요.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이 맞을까요, '잡채․매운탕․낙지볶음'이 맞을까요?

오늘은 가운뎃점과 쉼표의 쓰임을 갈라볼게요.
한글 맞춤법에 따르면 가운뎃점을 다음과 같은 때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1. 쉼표로 열거된 어구가 다시 여러 단위로 나누어질 때
(보기) 철수·영희, 영수·순이가 서로 짝이 되어 윷놀이를 하였다.

2. 특정한 의미가 있는 날을 나타내는 숫자에
(보기) 3·1 운동, 8·15 광복

3. 같은 계열의 단어 사이에
(보기) 충북·충남 두 도를 합하여 충청도라고 한다.
위와 같은 경우에는 가운뎃점을 씁니다.

그리고 쉼표는 같은 자격의 어구가 열거될 때에 씁니다.
(보기) 근면, 검소, 협동은 우리 겨레의 미덕이다.

어제 저는
잡채, 매운탕, 낙지볶음을 안주로 먹었고,
소주·맥주 같은 곡차를 마셨습니다.
(실은 복분자술을 마셨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맞춤법 규정에 따르면,
'.'은 온점, ','은 반점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온점, 반점보다는
마침표, 쉼표가 더 낫지 않나요?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끄적거리다 >> 끼적거리다]

얼마 전에 어떤 분이,
글씨를 아무렇게나 쓰는 걸 보고,
‘끄적이다’고 하는 게 맞는지, ‘끄적거리다’고 하는 게 맞는지 물어오셨습니다.

어떤 게 맞을 것 같아요?

답은 ‘둘 다 틀리다’입니다.

“글씨나 그림 따위를 아무렇게나 쓰거나 그리는 모양”을 나타내는 의태어는,
‘끼적끼적’입니다.  
여기서 나온 말이,
‘끼적이다’, ‘끼적거리다’, ‘끼적대다’입니다.
글씨를 끼적이다/몇 자를 끼적거리다/수첩에 뭔가를 끼적거리고 있었다처럼 씁니다.
‘끄적이다/끄적거리다’는 낱말은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놀라셨죠?
우리가 이렇게 우리말을 모르고 있습니다.

“글씨를 아무렇게나 마구 쓰다”는 뜻으로,
‘갈겨쓰다’라는 낱말이 있는데요.
한자를 워낙 갈겨써서 무슨 자인지 알아볼 수가 없다./백지에 갈겨쓴 낙서처럼 씁니다.

이 낱말도 ‘날려쓰다’로 쓰시는 분이 있습니다.
‘날려쓰다’도 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머리를 너무 믿지 마시고,
의심나면 사전을 뒤져 보시는 게 가장 빠르고 정확합니다.

보태기) ‘끼적끼적’은 “매우 달갑지 않은 음식을 자꾸 마지못해 굼뜨게 먹는 모양.”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깨작깨작’은 ‘끼적끼적’의 작은말입니다.
따라서, 어린아이가 성의 없이 밥먹는 것을 보고, “깨작깨작 먹는다”고 하거나 “끼적끼적 먹는다”고 하는 것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5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52
2336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48
2335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544
2334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38
2333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37
2332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529
2331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27
2330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26
2329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4523
2328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20
2327 [2015/07/03] 우리말) 조촐한 자리 머니북 2015-07-03 4514
2326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509
2325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08
2324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507
2323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06
2322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504
2321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501
2320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497
2319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496
2318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493
2317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