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24] 우리말) 고주망태

조회 수 3912 추천 수 96 2007.01.24 10:17:25
안녕하세요.

소주, 생맥주, 캔맥주, 병맥주, 양주, 칵테일 거기에 막걸리로 마무리...

그렇게 마셨으니 어제 제 몸이 온전할 리가 없었겠죠.
어제는 온종일 정신을 못 차리겠더군요.

어제 제 꼬락서니가 딱 고주망태였습니다.
"술에 몹시 취하여 정신을 가누지 못하는 상태. 또는 그런 사람"를 고주망태라고 하는데요.
고주와 망태가 합쳐진 말입니다.
오늘은 고주망태나 알아볼게요.

'고주'는 '고조'에서 온 말입니다.
고조는 "술, 기름 따위를 짜서 밭는 틀"입니다.
옛말로 지금은 이를 '술주자'라고 합니다.

'망태'는
'망태기'의 준말로
"가는 새끼나 노 따위로 엮거나 그물처럼 떠서 만든 그릇"입니다.

술을 받는 틀 위에 망태를 올려놓으면
그 망태는 언제나 술에 절여 있겠죠?

어제 제가 딱 그 모양 그 꼴이었습니다.
술에 절여있는... 작취미성의 상태...

반성하는 뜻으로 이번주는 술 마시지 않겠습니다.
이번 주는 제발 술 마실 일이 없기를 빕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피로 회복 >> 피로 해소/원기 회복]

저는 일주일에 한두 번 찜질방에 갑니다.
혼자 가기 심심하면 동료를 꾀어서 같이 가죠
어제도 동료를 꾀어서 찜질방에 갔는데,
나오기 직전에 그 동료가 저에게 음료수 하나를 사 주더군요.
그 유명한 동아제약의 박카스...

박카스가 몇 년 전부터 나온 음료수인지는 모르지만,
맷집 하나는 대단합니다.
언론이나 한글학자들이 그렇게 조져도 끄떡도 하지 않습니다.
며칠 전에 마신 박카스 상표에도 여전히,
‘피로 회복’이라고 씌어 있더군요.

동아제약에서 하고 싶은 말은,
그 음료수를 마시면 피로가 풀린다는 말일 텐데,
‘피로 회복’은 그런 뜻이 아닙니다.

‘회복(回復/恢復)’은 “원래의 상태로 돌이키거나 원래의 상태를 되찾음”을 뜻합니다.
병으로 잃었던 건강을 회복했다/한번 무너진 신뢰는 회복하기 어렵다./몇 시간 후에야 의식을 회복했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피로 회복’은 ‘피로를 회복한다’는 말로,
지금 건강하고 좋은데, 다시 피곤한 상태로 돌아간다는 말이 됩니다.
당연히 ‘피로 회복’이 아니라, ‘피로 해소’나 ‘원기 회복’으로 써야죠.

맷집 좋은 동아제약은 이런 지적을 수십 년 동안 받고도 끄떡도 안 하고 있습니다.
동아제약은 이렇게 지적하는 게 오히려 자기 회사 선전이라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하긴...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사전에도 ‘회복’이라는 낱말을 활용하는 보기로,
‘피로 회복’이 나와 있으니 동아제약 맷집만 이야기할 일도 아니네요.
국립국어원은,
“관용구 중에는 때로 합리적으로 설명하기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언중들 사이에서 고정된 의미로 일반화되어 쓰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피로 회복“이나 ”안전 사고“ 따위가 대표적인 보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고정된 의미로 너무나 자연스럽게 쓰이고 있기 때문에 규범적으로 무조건 틀렸다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라는 궤변으로 ‘피로 회복’을 사전에 올려놨습니다.

하루빨리 사전을 고쳐 잃은 명예를 회복하길 빕니다.

보태기)
맷집[매찝/맫찝]은 “매를 견디어 내는 힘이나 정도”로,
맷집이 약하다/이리 비척 저리 비척 맷집 좋게 맞았다처럼 씁니다.
다른 뜻으로,
“때려 볼 만한 통통한 살집”이나, “툭하면 매를 잘 얻어맞음을 이르는 말”을 뜻하기도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57
1976 [2013/01/15] 우리말) 사돈 머니북 2013-01-15 3946
1975 [2011/07/25] 우리말) 이승잠과 영피다 머니북 2011-07-25 3946
1974 [2008/04/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id: moneyplan 2008-04-06 3945
1973 [2010/09/27] 우리말) 박수치다와 손뼉치다 moneybook 2010-09-27 3942
1972 [2007/02/23] 우리말) 경위의 순 우리말은 맹문 id: moneyplan 2007-02-27 3942
1971 [2017/04/19] 우리말) 젬뱅이와 손방 머니북 2017-04-21 3941
1970 [2010/03/23] 우리말) 천세나다 id: moneyplan 2010-03-23 3941
1969 [2009/09/14] 우리말) 궁글다 id: moneyplan 2009-09-14 3940
1968 [2010/05/28] 우리말) 쎄쎄쎄 id: moneyplan 2010-05-28 3938
1967 [2017/03/17] 우리말) 나무 심기 좋은 때 머니북 2017-03-17 3937
1966 [2011/11/11] 우리말) 수산용어 다듬기 머니북 2011-11-11 3935
1965 [2008/01/15] 우리말) '찝찝해요'의 발음 id: moneyplan 2008-01-15 3935
1964 [2016/12/21] 우리말) 첫걸음 머니북 2016-12-23 3934
1963 [2013/01/30] 우리말) 입지전/입지전적 머니북 2013-01-30 3932
1962 [2012/03/14] 우리말) 축하합니다와 축하드립니다 머니북 2012-03-14 3932
1961 [2011/06/2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6-22 3932
1960 [2007/03/20]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상품도 있습니다. ^^* id: moneyplan 2007-03-20 3931
1959 [2012/06/18] 우리말) 미어지다와 메어지다 머니북 2012-06-18 3930
1958 [2012/11/02] 우리말) 높이다와 제고 머니북 2012-11-02 3927
1957 [2011/08/17] 우리말) 착하다(2) 머니북 2011-08-17 3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