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1/28] 우리말) 떨거지/결찌

조회 수 4843 추천 수 62 2007.01.29 11:14:14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오랜만에 결찌가 모여 재밌게 놀았습니다.
그날 주재는 담근 술이었습니다.
여기에 쓴 주재는 酒材입니다.

양주로 입을 가신 뒤,
처가 구례에서 가져온 산수유 담근 술,
오디 담근 술, 칡 담근 술, 복분자 담근 술...
아니나 다를까 사람은 모여야 합니다.
아무리 가까운 친척이면 뭐합니까, 자주 모여서 서로 부대껴야죠.

'떨거지'라는 낱말 아시죠?
"혈연관계가 있는 사람이나 한통속으로 지내는 사람들을 낮잡아 이르는 말"입니다.

오늘은
'결찌'라는 낱말을 소개해 드릴게요.
"어찌어찌하여 연분이 닿는 먼 친척."을 말합니다.
우리가 황해 감사의 결찌가 아니라면...처럼 씁니다.
북한에서는 "먼 친척"을 '결찌'라고 합니다.

"가까운 남이 먼 친척보다 낫다."는 속담이 있습니다.
아무리 친척이라도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가까운 이웃에 사는 남만도 못하다는 뜻이겠죠.

떨거지와 결찌도 가까워지려면 자주 만나야 합니다.
만나서 주재를 주제삼아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눠야 친해지고 가까워지지 않을까요?

오늘은 생각나는 결찌가 있으시면 먼저 전화를 해 보세요.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바람만바람만]

오늘은 제 딸내미 이야기 좀 할게요.
이 녀석은 이제 28개월에 접어듭니다.
아직 혼자 어디 나가지는 못하고 저나 아내를 따라서만 밖에 나가는데,
며칠 전에는 동내 어귀에서 혼자 집에 찾아가라고 해 봤습니다.
그러고 나서 저는 멀찌감치 떨어져서 뒤따라갔죠.
이 어린 녀석이 뒤도 안 돌아보고 집을 잘 찾더군요.

이렇게,
“바라보일 만한 정도로 뒤에 멀리 떨어져 따라가는 모양”을 말하는 순 우리말이,
‘바람만바람만’입니다.
바람만바람만 뒤따라가다처럼 쓸 수 있죠.
부모의 사랑이 묻어있는 멋진 말 아닌가요?

어린아이와 관련된 말로,
‘우닐다’도 있습니다.
‘우닐다’는,
“시끄럽게 울다. 또는 그렇게 울고 다니다”는 뜻이고,
‘우닐다’와 발음이 비슷한, ‘부닐다’도 있습니다.
‘부닐다’는,
“가까이 따르면서 붙임성 있게 굴다”는 뜻입니다.

할머니나 할아버지는,
우니는 아이보다 부니는 아이를 더 좋아하겠죠?

그러나 무엇보다 좋은 아이는,
‘도담도담’한 아이일 겁니다.
부사 ‘도담도담’은,
“어린아이가 탈 없이 잘 놀며 자라는 모양.”으로,
우리 아이는 별로 큰 병도 없고 탈도 없이 도담도담 잘 장성하여 벌써 이십 세에 이르렀다처럼 씁니다.

아침부터 도담도담 잘 크는 딸내미가 보고 싶은데,
오늘 하루 어떻게 근무하죠?

보태기)
‘도담도담’은,
“어린아이가 탈 없이 잘 놀며 자라는 모양.”이지만,
‘도담’은,
“야무지고 탐스럽다”는 뜻입니다.
도담한 어깨의 부드러운 곡선이 여인의 옷맵시를 더욱 아름답게 하였다처럼 씁니다.

‘도담도담하다’도 있습니다.
형용사로, “(여럿을 뜻하는 말이 주어로 온다)여럿이 모두 야무지고 탐스럽다.”는 뜻입니다.
형제가 모두 도담도담하게 잘도 생겼다처럼 쓰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1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46
316 [2006/12/26] 우리말) '저축하다'는 뜻의 순우리말은 '여투다'입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752
315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757
314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762
313 [2006/11/29] 우리말) '메모지'가 아니라 '적바림'입니다 id: moneyplan 2006-11-30 4766
312 [2008/02/22] 우리말) 득돌같다와 득달같다 id: moneyplan 2008-02-22 4768
311 [2011/06/24] 우리말) 휘달리다 머니북 2011-06-24 4774
310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777
309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778
308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782
307 [2013/11/14] 우리말) 날짜 헤아리기 머니북 2013-11-14 4795
306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800
305 [2015/03/25] 우리말) 조글조글 머니북 2015-03-25 4807
304 [2011/11/30] 우리말) 두째와 둘째 머니북 2011-11-30 4808
303 [2015/06/05] 우리말) 먼지잼/애급과 출애굽기 머니북 2015-06-05 4813
302 [2008/03/04] 우리말) 내디딘과 내딛은 id: moneyplan 2008-03-04 4818
301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818
300 [2017/11/01]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머니북 2017-11-06 4820
299 [2006/09/30] 우리말) 웜 비즈? 쿨 비즈? id: moneyplan 2006-09-30 4826
298 [2007/08/19] 우리말) 농산물생산이력 id: moneyplan 2007-08-20 4827
297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