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조회 수 4577 추천 수 93 2007.02.12 02:54:57
안녕하세요.

토요일이라 좀 늦게 나왔습니다.

오늘도 어제 받은 편지를 하나 소개할게요.
저는 하루에 백여 통의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는 제가 가끔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하는 것처럼
저의 잘못을 꼬집어 주시는 것도 있지만,
오늘 소개해 드리는 편지처럼 조금 거시기한 것도 있습니다.

제목 : 참나~~

맞춤법이 틀려서 사람구실을 못했나?
맞춤법이 틀려서 의사소통을 못했나?
맞춤법이 틀려서 죽을죄를 지었나?
맞춤법이 틀려서 인격이 모자랐나?
맞춤법이 틀려서 애를 못 키웠나?
맞춤법이 틀려서 남에게 피해를 줬나?
맞춤법이 틀려서 학업을 못 이루었나?
자기엄마 맞춤법 틀린건 감격스럽고 용서가 되고
남이 틀리면 분수에 걸맞지 않게 우습게 여기고,,,
이보슈~~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쓰고 발음한다 해서
진정 그 사람이 당신같은 사람한테 욕을 먹어야 하는것이오?
그 억지스러운 비하 좀 이젠 그만두시는게 어떻소?
글쎄,,,
매번 느끼지만 맞춤법이야 낸들 모르겠지만
인격이 그다지 본받을 만한 사람은 못되 보이고
왠지 잘난사람에 대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친사람으로 보이오
이젠 겸손이란 단어도 좀 배워보시오  

이 편지를 읽고 또 읽었습니다.
제 어머니가 쓰신 편지를 아시는 것을 보면
아마도 우리말편지를 꽤 오래전부터 받아보신 것 같은데...
뭐라 할 말이 없네요.
겸손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제가,
저희 어머니 맞춤법 틀린 건 감격스럽게 보고,
남이 틀리면 분수에 걸맞지 않게 우습게 여기지는 않은 것 같은데...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하는 분에게 욕을 한 것 같지도 않고...
제 인격이 그다지 본받을 만한 사람이 아닌 것은 맞지만,
제가 잘난 사람에 대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친 사람인 것 같지는 않은데...
뭐 어쨌든 '이젠 겸손이란 단어도 좀 배워보시오'라고 하시니
더 겸손해지도록 힘써야겠군요.

우리말편지 보내는 것도 이런 점에서 보면 쉽지만은 않습니다.
오늘은 모순 이야기나 할게요.
그냥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고싶네요. ^^*

모순(矛盾) 아시죠?
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이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이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기에,
그럼 그 창으로 그 방패를 뚫어 보시라고 했다는 데서 나온 게 바로 모순입니다.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한 데서 나온 거죠.

이 모순과 비슷한 말이 우리말에도 있습니다.
바로 '비각'입니다. 한자가 아니라 순 우리말입니다.
사전에 나온 뜻은,
"물과 불처럼 서로 상극이 되어 용납되지 아니하는 일"을 뜻합니다.
어떤 창도 막을 수 있는 방패와 모든 방패를 뚫을 수 있는 창이 함께 할 수 없듯이,
물과 불 또한 함께할 수 없습니다.

비각...
왠지 오늘은 그 생각이 드네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빠대다/삐대다]

눈이 좀 덜 내리네요.
오전에 넉가래로 실험실 앞에 있는 눈을 좀 치웠습니다.
오랜만에 내린 눈이라 많은 사람이 빠대고 다녀,
발자국이 난 곳은 눈이 굳어서 잘 밀리지 않네요.

'빠대다'는 말 아시죠?
"아무 할 일 없이 이리저리 쏘다니다."라는 뜻으로,
일정한 직업 없이 허구한 날 빠대는 것도 못할 노릇이다처럼 씁니다.
발음이 강해서 좀 어색한 감도 있지만, 순 우리말이고 표준어입니다.

'빠대다'와 발음이 비슷한 '삐대다'도 표준업니다.
"한군데 오래 눌어붙어서 끈덕지게 굴다."라는 뜻으로,
선배에게 삐대다. 하는 일 없이 남의 집에 오래 삐대고 있을 수도 없었다처럼 씁니다.
마찬가지 순 우리말이자 표준어입니다.

오늘 저녁 퇴근길에 발자국이 없는 눈 위를 빠대보세요.
오랜만에 '뽀드득' 눈 밟는 소리도 들어보시고...
저는 오늘도 사무실에서 삐대다 늦게 들어갈 것 같네요.

퇴근길 조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36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935
2356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683
2355 [2007/04/03] 우리말) 맞히다와 맞추다 id: moneyplan 2007-04-03 4678
2354 [2007/09/11] 우리말) 서슬이 시퍼렇다 id: moneyplan 2007-09-11 4674
2353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668
2352 [2016/12/14] 우리말) ‘살처분’에 숨겨진 의미 머니북 2016-12-15 4660
2351 [2015/07/03] 우리말) 조촐한 자리 머니북 2015-07-03 4634
2350 [2015/03/25] 우리말) 조글조글 머니북 2015-03-25 4627
2349 [2016/05/09] 우리말) 집가심과 볼가심 머니북 2016-05-10 4626
2348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621
2347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619
2346 [2006/12/01] 우리말) 저희 집은 콩켸팥켸입니다 id: moneyplan 2006-12-01 4611
2345 [2007/04/17] 우리말) 가름과 갈음 id: moneyplan 2007-04-17 4609
2344 [2006/12/08] 우리말) 찌뿌둥이 아니라 찌뿌듯 id: moneyplan 2006-12-08 4608
2343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604
2342 [2011/08/31] 우리말) 줄거리와 졸가리 머니북 2011-08-31 4604
2341 [2006/11/22] 우리말) 난 널 짜장 좋아한다 id: moneyplan 2006-11-22 4603
2340 [2016/09/01] 우리말) 곱다/예쁘다/예쁘장하다/아름답다/아리땁다/어여쁘다/귀엽다 머니북 2016-09-07 4597
2339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596
2338 [2011/11/02] 우리말) 오순도순과 오손도손 머니북 2011-11-02 4594
2337 [2013/07/31] 우리말) 우편번호 읽기 머니북 2013-07-31 4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