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10] 우리말) 모순과 비각

조회 수 4552 추천 수 93 2007.02.12 02:54:57
안녕하세요.

토요일이라 좀 늦게 나왔습니다.

오늘도 어제 받은 편지를 하나 소개할게요.
저는 하루에 백여 통의 편지를 받는데,
그 가운데는 제가 가끔 우리말편지에서 소개하는 것처럼
저의 잘못을 꼬집어 주시는 것도 있지만,
오늘 소개해 드리는 편지처럼 조금 거시기한 것도 있습니다.

제목 : 참나~~

맞춤법이 틀려서 사람구실을 못했나?
맞춤법이 틀려서 의사소통을 못했나?
맞춤법이 틀려서 죽을죄를 지었나?
맞춤법이 틀려서 인격이 모자랐나?
맞춤법이 틀려서 애를 못 키웠나?
맞춤법이 틀려서 남에게 피해를 줬나?
맞춤법이 틀려서 학업을 못 이루었나?
자기엄마 맞춤법 틀린건 감격스럽고 용서가 되고
남이 틀리면 분수에 걸맞지 않게 우습게 여기고,,,
이보슈~~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쓰고 발음한다 해서
진정 그 사람이 당신같은 사람한테 욕을 먹어야 하는것이오?
그 억지스러운 비하 좀 이젠 그만두시는게 어떻소?
글쎄,,,
매번 느끼지만 맞춤법이야 낸들 모르겠지만
인격이 그다지 본받을 만한 사람은 못되 보이고
왠지 잘난사람에 대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친사람으로 보이오
이젠 겸손이란 단어도 좀 배워보시오  

이 편지를 읽고 또 읽었습니다.
제 어머니가 쓰신 편지를 아시는 것을 보면
아마도 우리말편지를 꽤 오래전부터 받아보신 것 같은데...
뭐라 할 말이 없네요.
겸손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제가,
저희 어머니 맞춤법 틀린 건 감격스럽게 보고,
남이 틀리면 분수에 걸맞지 않게 우습게 여기지는 않은 것 같은데...
자장면을 짜장면이라고 하는 분에게 욕을 한 것 같지도 않고...
제 인격이 그다지 본받을 만한 사람이 아닌 것은 맞지만,
제가 잘난 사람에 대한 자격지심으로 똘똘 뭉친 사람인 것 같지는 않은데...
뭐 어쨌든 '이젠 겸손이란 단어도 좀 배워보시오'라고 하시니
더 겸손해지도록 힘써야겠군요.

우리말편지 보내는 것도 이런 점에서 보면 쉽지만은 않습니다.
오늘은 모순 이야기나 할게요.
그냥 오늘은 그 이야기를 하고싶네요. ^^*

모순(矛盾) 아시죠?
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이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이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기에,
그럼 그 창으로 그 방패를 뚫어 보시라고 했다는 데서 나온 게 바로 모순입니다.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한 데서 나온 거죠.

이 모순과 비슷한 말이 우리말에도 있습니다.
바로 '비각'입니다. 한자가 아니라 순 우리말입니다.
사전에 나온 뜻은,
"물과 불처럼 서로 상극이 되어 용납되지 아니하는 일"을 뜻합니다.
어떤 창도 막을 수 있는 방패와 모든 방패를 뚫을 수 있는 창이 함께 할 수 없듯이,
물과 불 또한 함께할 수 없습니다.

비각...
왠지 오늘은 그 생각이 드네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빠대다/삐대다]

눈이 좀 덜 내리네요.
오전에 넉가래로 실험실 앞에 있는 눈을 좀 치웠습니다.
오랜만에 내린 눈이라 많은 사람이 빠대고 다녀,
발자국이 난 곳은 눈이 굳어서 잘 밀리지 않네요.

'빠대다'는 말 아시죠?
"아무 할 일 없이 이리저리 쏘다니다."라는 뜻으로,
일정한 직업 없이 허구한 날 빠대는 것도 못할 노릇이다처럼 씁니다.
발음이 강해서 좀 어색한 감도 있지만, 순 우리말이고 표준어입니다.

'빠대다'와 발음이 비슷한 '삐대다'도 표준업니다.
"한군데 오래 눌어붙어서 끈덕지게 굴다."라는 뜻으로,
선배에게 삐대다. 하는 일 없이 남의 집에 오래 삐대고 있을 수도 없었다처럼 씁니다.
마찬가지 순 우리말이자 표준어입니다.

오늘 저녁 퇴근길에 발자국이 없는 눈 위를 빠대보세요.
오랜만에 '뽀드득' 눈 밟는 소리도 들어보시고...
저는 오늘도 사무실에서 삐대다 늦게 들어갈 것 같네요.

퇴근길 조심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45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052
2336 [2008/11/07] 우리말) 안스럽다와 안쓰럽다 id: moneyplan 2008-11-07 4548
2335 [2016/03/18] 우리말) 제비추리와 제비초리 머니북 2016-03-18 4545
2334 [2006/10/09] 우리말) 우리말 훼방꾼? 우리말 헤살꾼! id: moneyplan 2006-10-09 4538
2333 [2007/02/05] 우리말) 충남대학교는 녹록하지 않습니다 id: moneyplan 2007-02-05 4537
2332 [2012/02/20] 우리말) 탕비실은 준비실로 머니북 2012-02-20 4530
2331 [2011/08/22] 우리말) 휘지르다와 지다위 머니북 2011-08-22 4527
2330 [2006/12/23]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책으로 나왔습니다 id: moneyplan 2006-12-26 4526
2329 [2017/09/21] 우리말) '신문 읽기가 너무 힘들어요' 머니북 2017-09-21 4523
2328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521
2327 [2015/07/03] 우리말) 조촐한 자리 머니북 2015-07-03 4514
2326 [2011/11/03] 우리말) 찌뿌둥과 찌뿌듯 머니북 2011-11-04 4509
2325 [2007/01/02] 우리말) 담배를 꼭 끊어보겠다는 큰 보짱이 있습니다 id: moneyplan 2007-01-02 4508
2324 [2006/10/12] 우리말) 굽실대다 id: moneyplan 2006-10-12 4507
2323 [2017/10/31] 우리말) '세종대왕과 소통' 발표자료 머니북 2017-11-06 4506
2322 [2007/01/16] 우리말) 낫잡다/낮잡다 id: moneyplan 2007-01-16 4504
2321 [2008/01/30] 우리말) 좀이 쑤시다 id: moneyplan 2008-01-30 4501
2320 [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머니북 2011-11-08 4497
2319 [2007/03/28] 우리말) 나리가 이울어갑니다 id: moneyplan 2007-03-28 4497
2318 [2016/04/05] 우리말) 대로/데로 머니북 2016-04-05 4493
2317 [2007/02/07] 우리말) 애호박/늙은 호박 id: moneyplan 2007-02-07 44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