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 고향에 가시는 분 많으시죠?
저도 가야 하는데 벌써 걱정입니다.
아무리 빨리 달려도 8시간은 잡아야 할텐데......

고향에 가시면 이것저것 많이 챙겨오시죠?
오시면서 호박도 한 덩이 챙겨오세요.

얼마 전에 호박이야기 하면서,
"덜 여문 어린 호박"은 '풋호박'이 아니라 '애호박'이고,
"늙어서 겉이 굳고 씨가 잘 여문 호박"은 '청둥호박'이라고 한다는 말씀을 드렸는데요.

그럼,
"겉은 누렇게 익었으나 씨가 여물지 않은 호박"은 뭐라고 할까요?
일단, 애호박, 풋호박, 청둥호박은 아닐 것이고......

답을 아시는 분은 연락해 주세요.
가까이 계시면 제가 점심 대접할게요.
맛있는 '탑라이스'로...^^*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인데,
설날과 관련있는 것으로 골랐습니다.

[절할 때 손 잡는 법]

이제 곧 설입니다.

설 잘 쇠세요.
좋은 마음먹고 착하게 살려고 노력하면,
큰 복이 올 겁니다.  

오늘은 간단하게 두 가지만 하겠습니다.

첫째, 축복입니다.
축복은 祝福으로 쓰고,
행복을 빈다는 뜻입니다.
빌 축, 복 복이잖아요.
따라서 “축복받으세요.”라는 말은 말이 안 되죠.
‘복(복 복)을 비는(빌 축) 것’을 어떻게 받아요.
“복 받으세요.”
“동료들의 축복 속에서 결혼식을 올렸다.”처럼 사용해야 합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둘째, 절할 때 손잡는 방법입니다.
유식한 말로 파지법이라고 하죠.
가끔, 어르신들에게 절할 때,
“절 드리겠습니다.”라고 버르장머리 없이 떠벌리고 나서,
절하면서,  
오른손과 왼손이 떨어지게 하여(두 손을 잡지 않고) 절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건, 상놈들이나 하는짓입니다.
어르신 앞에서 절할 때는 무슨 말을 하는 게 아닙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절할 때 두 손은 맞잡고 절해야 합니다.
그 때, 남자는 왼손이 오른손 위에 올라가게 맞잡아야 합니다.
여자는 반대고...
이것도 다 음양의 조화를 따르고자 하는 조상님의 지혜가 숨어 있습니다.
절대로 두 손이 떨어진 채 절하지 마세요.
꼭 왼손이 오른손 위로 약간 겹치게 잡고 절하세요.
그리고 절 하고나서
“오래사세요. 건강하세요”와 같은 말을 어르신보다 먼저 하는 게 아닙니다.
그냥 기다리면, 어르신이 덕담을 주십니다.
그걸 받아서
“오래사세요. 건강하세요”와 같은 말을 하면 됩니다.

오늘은 국어와 별로 관련이 없었나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20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747
696 [2007/05/03] 우리말) 하고많은 사람 가운데서... id: moneyplan 2007-05-03 3952
695 [2017/02/10] 우리말) 비면식관계란? 머니북 2017-02-10 3952
694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954
693 [2011/04/13] 우리말) 비명과 환호성 moneybook 2011-04-13 3957
692 [2011/06/15] 우리말) 따까리 머니북 2011-06-16 3961
691 [2012/03/02] 우리말) 적산가옥 갈음할 낱말은... 머니북 2012-03-02 3961
690 [2017/02/21] 우리말) '2017년, 새롭게 인정받은 표준어는?... 머니북 2017-02-22 3962
689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962
688 [2014/02/03] 우리말) 설 잘 쇠셨나요? 머니북 2014-02-03 3963
687 [2013/01/31] 우리말) 인공위성 상식 몇 가지 머니북 2013-01-31 3963
686 [2014/02/20] 우리말) 두문불출 머니북 2014-02-20 3966
685 [2016/11/01] 우리말) 우렁잇속 머니북 2016-11-01 3966
684 [2015/09/08] 우리말) 리터 단위 머니북 2015-09-08 3968
683 [2007/11/23] 우리말) 빗밑이 재다 id: moneyplan 2007-11-23 3970
682 [2011/1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11-09 3972
681 [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moneybook 2010-06-29 3973
680 [2012/07/09] 우리말) 빈소와 분향소 머니북 2012-07-09 3973
679 [2017/10/25] 우리말) 너볏이/나볏이 머니북 2017-11-06 3973
678 [2012/01/17] 우리말) 설과 구정 머니북 2012-01-17 3974
677 [2013/01/11]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3-01-11 3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