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2/20] 우리말) 척사대회 --> 윷놀이

조회 수 4831 추천 수 136 2007.02.20 11:31:31
고향 잘 다녀오셨나요?

고향에 가서 호박 가져오셨어요?
지난주에 문제로 낸,
"겉은 누렇게 익었으나 씨가 여물지 않은 호박"은 '굴퉁이'입니다.
청둥호박을 쪼개보았더니 굴퉁이더라처럼 쓰실 수 있습니다.
이런 뜻이 변해,
지금은 "겉모양은 그럴듯하나 속은 보잘것없는 물건이나 사람."도 굴퉁이라고 합니다.
바로 저 같은 사람... ^^*

이번에 고향에 갔더니 여기저기서 윷놀이하는 곳이 많더군요.
해남군민 척사대회, 화산면 척사대회...
저는 척사가 뭔지 몰라 사전을 뒤져봤습니다.
擲柶라고 쓰고 그 뜻이 윷놀이더군요.
좋게 윷놀이하면 좋을 것을 왜 어려운 한자를 써서 擲柶라고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던질 척, 윷 사를 쓴 척사가 아니라 그냥 윷놀이입니다.

내친김에,
윷놀이 말이나 좀 알아볼게요.
윷가락 하나를 도, 둘을 개, 셋을 걸, 넷을 윷, 다섯을 모라고 합니다.
곧, 말의 끗수를 나타내는데요.
이 도개걸윷모는 가축 이름에서 온 것이라고 합니다.
도는 돼지, 개는 개, 걸은 양, 윷은 소, 모는 말입니다.

이번에 윷놀이해서 돈 좀 따셨어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격무 >> 고된 일]

어제 뉴스를 보니,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주장하신(?) 한국인(?)이 계시네요(?).
그분(?) 말씀을 따오면,
“당연하다. 일본한테 돌려주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원래 일본 땅이었다”
김완섭 “4천명 고소할 것”…“독도는 일본땅” 거듭주장

저는 고소되고 싶지 않으니, 말을 아끼겠습니다.
그저 우리 곁에 일본말이 얼마나 많은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제 이야기를 대신합니다.

저녁 늦게 사무실에서 격무(激務, げきむ[개끼무])가 아닌 '고된 일'에 시달리실 때,
간식(間食, かんしょく[간쇽]) 드시지 말고 '새참'이나 '군음식' 으로 '주전부리'하시고,
그래도 심심함이 가시지 않으면 가까운 친구를 맥줏집으로 불러 내,
히야시(冷やし, ひやし[히야시]) 아닌 찬 맥주 한 잔을 따라,
맥주잔 위에 있는 기포(氣泡, きほう[기호우])는 다 버리고 거품만 적당히 남겨,
건포도(乾葡萄, ほしぶどう[호시부도우]) 대신 '마른 포도'를 안주 삼아 한 잔 들이켜면 참 좋습니다.
안주가 부족하면 야키만두(燒き饅頭, やきまんじゅう[야끼만쥬]) 대신 군만두 드세요.
그래도 안주가 부족하면 우동(饂飩, うどん[우동]) 드시지 마시고 가락국수 드시면 든든합니다.
술집에서 나올 때, 술값은 분배(分配, ぶんぱい[분빠이])하지 말고 노느매기하세요.

집에 들어가면서 여우 같은 아내와 토끼 같은 애들이 생각나면,
가까운 빵집에 들러,
소보로빵(そぼろパン[소보로빵])이 아닌 곰보빵 몇 개 사고,
앙꼬(餡子, あんこ[앙고]) 없는 찐빵 대신 팥소 든 빵도 몇 개 사고,
나오실 때는, 빵 값을 지불(支拂, しはらい[시하라이])하지 말고 치르고 나오세요.
그걸로 집에 가서 축제(祝祭, しゅくさい[슉사이])하지 말고 잔치를 벌여보세요.
그런 것은 과소비(過消費, かしょうひ[가쇼비])도 아니고 지나친 씀씀이도 아닙니다.
그렇게 남편 역할(役割, やくわり[야꾸와리])이 아닌 남편 노릇 잘하는 당신 부부가 바로,
잉꼬부부(鸚哥夫婦, いんこ-[잉고-])가 아니라 원앙 부부입니다.

보태기)
1. 여기에 쓴 일본어투 말은 안타깝게도 대부분 우리나라 국어사전에 올라있습니다.(히야시, 야끼만 빼고...)
또, 그 말은 모두 국립국어원에서 바꿔서 쓰라고 권하는 말입니다.
일본어투 글 오른쪽에 있는 우리말을 쓰시면 됩니다.
예를 들면,,
'격무' 대신에 '고된 일'이라고 쓰시면 됩니다.

2. '마른 포도'를 안주 삼아 한 잔 들이켜면 참 좋습니다.
'들이키다'는 안쪽으로 가까이 옮기다는 뜻이고,
'들이켜다'는 물 따위를 마구 마시다는 뜻입니다.
보기) 사람이 다닐 수 있도록 발을 들이켜라.
그는 목이 마르다며 물을 벌컥벌컥 들이켰다.

3. 부족한 일본어 실력이지만,
일본어투 한자와 우리가 평소에 쓰는 말이 얼마나 비슷한지를 보이고자,
일본어 발음을 [ ] 안에 제 나름대로 달아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제 나름대로 읽은 것이니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720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2805
2416 [2006/10/20] 우리말) 닦달하다 id: moneyplan 2006-10-20 4931
2415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929
2414 [2014/09/17] 우리말) 구어먹다 보다는 구워먹다 머니북 2014-09-17 4925
2413 [2011/12/02] 우리말) 한글의 우수성 머니북 2011-12-02 4925
2412 [2013/05/08] 우리말) 어버이와 관련된 글 머니북 2013-05-08 4918
2411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889
2410 [2012/06/15] 우리말) 토박이말 살려쓴 이름 머니북 2012-06-15 4886
2409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871
2408 [2009/12/10] 우리말) [바른말 고운말] 표어 공모전을 소개합니다 file [4] id: moneyplan 2009-12-10 4870
2407 [2011/07/27] 우리말) 칠삭둥이 머니북 2011-07-27 4864
2406 [2012/08/27] 우리말) 여지껏/여태껏 머니북 2012-08-27 4859
2405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858
2404 [2006/09/27] 우리말) 유감에 유감? id: moneyplan 2006-09-28 4854
2403 [2006/11/13] 우리말) 싸가지/소갈머리 --> 늘품/늧 id: moneyplan 2006-11-13 4852
2402 [2006/11/27] 우리말) 저희 집 애들은 참 띠앗이 참 좋습니다 id: moneyplan 2006-11-27 4848
2401 [2008/01/24] 우리말) 초등학교 교육을 영어로 하겠다고요? id: moneyplan 2008-01-24 4842
2400 [2017/11/06] 우리말) 우리나라와 저희나라 머니북 2017-11-06 4840
2399 [2008/07/25] 우리말) 멋쩍다와 맛적다 id: moneyplan 2008-07-25 4839
2398 [2006/12/28] 우리말) 용서하고 풀치고... id: moneyplan 2006-12-28 4839
2397 [2017/08/24] 우리말) 여우다와 여의다 머니북 2017-08-31 4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