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6] 우리말) 고객관리하라고요?

조회 수 3783 추천 수 50 2007.03.26 11:37:03
안녕하세요.

어젯밤 7시 4분에 MBC에
'함으로서'라는 자막이 보였습니다.
'함으로써'가 맞습니다.

오늘은 '고객관리'하러 고창, 목포, 나주, 광주를 다녀와야 합니다.
아침 일찍 떠나 밤늦게 돌아오는 거야 견딜 수 있지만,
고객관리하러 간다는 게 좀 거시기합니다.

오늘은 고객관리나 좀 짚어볼게요.

먼저,
고객은
顧客(こかく[고가꾸])라는 일본어투 한자에서 온 말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도 '손님'으로 다듬은 말입니다.
이렇게 다듬은 말을 왜 공무원들이 나서서 '고객'이라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다음은 '관리'입니다.
관리는 여러 뜻이 있지만
여기서는 "사람을 통제하고 지휘 감독함"이라는 뜻입니다.
부하 직원 관리, 학생 관리처럼 씁니다.
내가 모셔야 할 손님이 고객이라면
그 고객은 결코 관리의 대상이 아닙니다.
어찌 손님을 통제하고 지휘 감독하죠?
'고객'이 들으면 기가 찰 이야깁니다.

'고객관리'를 다시 보면,
'고객'은 '손님'으로 쓰시면 됩니다.
백화점에서도 "고객님!"이라고 하면 안 되고,
"손님!" 이라고 하시면 됩니다.

'관리'는 상황에 따라 쓰임이 다르긴 하지만,
어쨌든 고객관리에는 들어갈 낱말이 아닙니다.
'고객'이건 '손님'이건 내가 관리할 대상은 아니잖아요.

그럼 어떻게 써야 하느냐고요?
고객관리를 안 쓰면 뭘 써야 하냐고요?
아직 어느 기관에서도, 어떤 학자도 이 말을 다듬지는 않더군요.
저도 '고객관리'를 다듬을 깜냥은 안됩니다.

굳이 억지로 다듬어 보자면,
손님돕기, 손님수발로 다듬을 수 있겠고,
'고객관리'의 본뜻을 살려,
'내일알리기'로 써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우리말편지를 받으시는 분은 고객관리를 다듬은 말에 할 말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강짜?]

아시는 것처럼 저에게는 딸이 하나 있는데요.
유아원에 다닌 지 이제 막 1주일이 넘었는데 슬슬 가기 싫다고 고집을 피우네요.

주위 분들이 애를 키워봐서 다 아니까 그러신지,
한 후배가 저를 걱정하면서,
"지금쯤 애가 한창 강짜를 피울텐데..."라는 말을 하더군요.

걱정해 주시는 것은 고마운데,
'강짜'는 별로 어울리는 낱말이 아니네요.

흔히, '강짜'를 억지로 떼를 쓰는 것이나 몽짜나 시샘쯤으로 알고 계시는데요.
국어사전에서 '강짜'를 찾아보면,
"강샘을 속되게 이르는 말"로 나와 있고,
'강샘'을 찾아보면,
"부부 사이나 사랑하는 이성(異性) 사이에서 상대되는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경우에 지나치게 시기함"이라고 나와 있습니다.
한마디로 질투(嫉妬)고 투기(妬忌)죠.

그런 '강짜'는 억지로 떼쓰는 데 쓰는 말이 아닙니다.
그냥 떼가 늘었다거나 생떼를 쓴다고 하면 될 것을...

우리가 쓰는 말 중에는,
본래의 뜻과 다르게 잘못 쓰는 게 꽤 있습니다.
심심하시면(?) 옆에 사전 한번 뒤져 보세요.
가끔 사전 뒤지는 재미도 쏠쏠합니다.

보태기)
몽짜 : 음흉하고 심술궂게 욕심을 부리는 짓. 또는 그런 사람.
시샘 : 시새움의 준말.
시새움 : 자기보다 잘되거나 나은 사람을 공연히 미워하고 싫어함. 또는 그런 마음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02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3589
1976 [2011/06/2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1-06-22 3868
1975 [2008/08/0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8-01 3868
1974 [2007/11/16] 우리말) 에두르다 id: moneyplan 2007-11-17 3868
1973 [2017/04/13] 우리말) 데구루루 머니북 2017-04-13 3865
1972 [2012/07/09] 우리말) 빈소와 분향소 머니북 2012-07-09 3865
1971 [2011/08/17] 우리말) 착하다(2) 머니북 2011-08-17 3864
1970 [2007/01/24] 우리말) 고주망태 id: moneyplan 2007-01-24 3863
1969 [2013/07/01] 우리말) 기상과 기후 머니북 2013-07-01 3861
1968 [2012/07/03] 우리말) 천장과 천정(2) 머니북 2012-07-03 3861
1967 [2011/10/28] 우리말) 입구와 출구 머니북 2011-10-28 3861
1966 [2007/03/06] 우리말) 도세 시작했으니... id: moneyplan 2007-03-07 3861
1965 [2016/12/05] 우리말) 'I·SEOUL·U'를 아시나요? 머니북 2016-12-05 3860
1964 [2012/09/25] 우리말) 양생은 굳히기로 머니북 2012-09-25 3858
1963 [2017/08/16] 우리말) 달걀과 계란 머니북 2017-08-18 3857
1962 [2014/05/21] 우리말) 잊혀진 -> 잊힌 머니북 2014-05-21 3856
1961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854
1960 [2017/03/09] 우리말) '언어에 대하여' 머니북 2017-03-10 3853
1959 [2011/06/29] 우리말) 든과 던 머니북 2011-06-29 3853
1958 [2011/04/18] 우리말) 내 남편과 우리 남편 moneybook 2011-04-18 3852
1957 [2010/11/10] 우리말) 미추룸하다 moneybook 2010-11-10 38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