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29] 우리말) 박진감 넘치는 경기

조회 수 4351 추천 수 91 2007.03.29 09:25:57
안녕하세요.

어젯밤에 축구 경기 보셨나요?
오랜만에 보는 시원한 경기였습니다.
그런 재밌는 경기를 보고 흔히
"박진감 넘치는 시합이다."라고 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박진감 넘치는 시합'은 문제가 있는 말입니다.
먼저,
박진감(迫眞感)은,
"진실에 가까운 느낌"이라는 뜻으로
그 소설은 박진감 있는 구성과 탄탄한 주제 의식으로..., 그 상황 설명은 박진감이 있었다처럼 씁니다.
곧, 현실이나 사실처럼 느낄 수 있는 일을 말합니다.
그러나 어젯밤에 있었던 축구 경기는 실제로 있었던 일이잖아요.
실제로 있었던 일에는 박진감이라는 낱말을 쓰지 않습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는,
박진감을 迫進感이라 써 놓고
"세차게 밀고 나아가는 느낌."이라 풀었습니다.
그래놓고 박진감이 넘치는 경기를 보기로 들었습니다.

迫眞感이 맞는지 迫進感이 맞는지는 국어학자들이 풀어주실 일이긴 하지만,
저라면 아예 한자를 쓰지 않겠습니다.
그러면 중간이라도 가죠.
가만히 있으면 중간이라도 간다잖아요.
굳이 모르는 한자를 억지로 쓰면서 망신을 자초하지는 않겠습니다. ^^*

내친김에,
시합(試合)도 문제입니다.
시합은 しあい[시아이]라는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 '겨루기'로 다듬었습니다.
축구 시합이 아니라 축구 경기나 축구 겨루기입니다.

그나저나 어제 축구는 참 재밌었습니다.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상’ ‘하’ 띄어쓰기]

오늘은 '상(上)'과 '하(下)'의 띄어쓰기입니다.

띄어쓰기 원칙을 다시 강조하면,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명사, 대명사, 수사, 동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 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 판단하는 기준은
그 낱말이 사전에 올라 있으면 한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닙니다.

이제 '상(上)'과 '하(下)' 띄어쓰기를 보면,
'상'과 '하'에 '위'나 '아래'의 뜻이 있을 때는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모양', '상태', '그것과 관계된 처지', '구체적이거나 추상적인 공간에서 한 위치'를 뜻하면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곧,
"물체의 위나 위쪽, 아래나 아래쪽을 이르는 말."로 쓰일 때는,
지구 상의 생물/지갑을 도로 상에서 주웠다처럼 띄어 씁니다.
이런 경우, '상'을 '위'로, '하'를 '아래'로 바꿔도 말이 됩니다.

그러나
"그것과 관계된 처지" 또는 "그것에 따름"의 뜻을 더하는 추상적인 의미의 접미사인 경우는,
관계상/미관상/사실상/외관상/절차상처럼 붙여 씁니다.
"구체적인 또는 추상적인 공간에서의 한 위치"의 뜻일 때도 접미사이므로,
인터넷상/전설상/통신상처럼 붙여 씁니다.

정리하면,
'상'이나 '하'를 '위'나 '아래'로 바꿀 수 있을 때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접미사이므로 붙여 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3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60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02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15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59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66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71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796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798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05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07
2667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09
2666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23
2665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23
2664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36
2663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37
2662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38
2661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44
2660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45
2659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47
2658 [2013/11/22] 우리말) '가다'와 '하다'의 쓰임이 다른 까닭은? 머니북 2013-11-22 2848
2657 [2016/01/25] 우리말) 망고하다 머니북 2016-01-26 2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