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12] 우리말) 어벌쩍 넘기다

조회 수 3919 추천 수 101 2007.04.12 09:56:48
안녕하세요.

어제는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서
대국민보고회가 있었습니다.
국민이 낸 세금으로 작년에 어떤 일을 했고 그 성과는 무엇이라는 것을 국민에게 보고드리는 자리였습니다.

농촌진흥청은 국가기관으로
어떤 경우에도 국민을 속이거나
농업인의 어려움을 어물쩍 넘기는 일은 없습니다.
전화 한 통화만 주시면 언제 어디든지 찾아가서 가려운 곳을 긁어드립니다.
1544-8572(일어서서 바로처리)로 전화를 주시면
대한민국 어디든 찾아갑니다.

오늘은,
농촌진흥청이 국민의 어려움을 어물쩍 넘기지 않겠다는 다짐으로
어물쩍을 살펴보겠습니다.

"말이나 행동을 일부러 분명하게 하지 아니하고 적당히 살짝 넘기는 모양"을 뜻하는 부사는 '어물쩍'입니다.
이번 일은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니다처럼 씁니다.
거기서 나온 말이 '어물쩍거리다'로
"꾀를 부리느라고 말이나 행동을 자꾸 일부러 분명하게 하지 아니하고 적당히 살짝 넘기다"는 뜻입니다.
'어물쩍대다'도 비슷한 뜻입니다.

'어물쩍'과 같은 뜻으로 '우물쩍'도 있습니다.
우물쩍 넘기다, 우물쩍 숨기다, 우물쩍 지나치다처럼 씁니다.
마찬가지
우물쩍거리다와 우물쩍대다도 있습니다.

그런 뜻의 그림씨(형용사)로는 '어정쩡'이 있습니다.
"분명하지 아니하고 모호하거나 어중간하다."는 뜻이죠.
어정쩡한 태도, 찬성도 반대도 아닌 어정쩡한 태도처럼 씁니다.

발음이 비슷한 '어벌쩡'도 있습니다.
부사로 "제 말이나 행동을 믿게 하려고 말이나 행동을 일부러 슬쩍 어물거려 넘기는 모양."을 뜻합니다.
어벌쩡 달래 놓고...처럼 씁니다.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은
국민이 낸 세금으로 어벌쩡하게 일하지는 않습니다.
무슨 일이 생기면 어물쩍 넘기지도 않습니다.
언제 어디서든지 국민이 찾으면 바로 달려갑니다.
1544-8572로 전화만 주십시오. ^^*

우리말123

보태기)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어벌쩍, 어벌쩡, 우물쩡이 있으나,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는
어벌쩍만 있고, 우물쩡, 어벌쩡이 없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그 밖’ 띄어쓰기]

오늘도 띄어쓰기 원칙을 먼저 짚고 넘어가죠.

우리말은 낱말별로 띄어 씁니다.
품사(동사, 명사, 형용사 따위)도 낱말로 보고 띄어쓰되, 조사만 붙여 씁니다.
한 낱말인지 아닌지는 사전에 올라 있으면 낱말이고 그렇지 않으면 한 낱말이 아니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오늘은 '그 밖'의 띄어쓰기입니다.

'그 밖'은,
국립국어원에서 한 낱말로 보지 않아서,
표준국어대사전에 낱말로 올리지 않았습니다.
관형사인 '그'와 명사 '밖'이 이어진 것으로 본 거죠.
그러니 당연히 '그 밖'이라고 띄어 써야죠.

이 '그 밖'은 사전에 따라 다른 경우도 있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그밖'이라는 낱말이 없습니다.

오늘도 날씨가 참 좋겠죠?
좋은 생각 많이 하시고, 많이 웃으시는 하루를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0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603
2676 [2015/02/06] 우리말) 터앝 머니북 2015-02-09 2729
2675 [2016/06/01] 우리말) 국보 1호? 머니북 2016-06-02 2738
2674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774
2673 [2009/04/24] 우리말) 탈크와 탤크, 그리고 식약청 답변 id: moneyplan 2009-04-24 2791
2672 [2015/01/12] 우리말) 우리는 한국인인가?(박남 님 편지) 머니북 2015-01-12 2798
2671 [2014/05/23] 우리말) 다이어트 머니북 2014-05-23 2819
2670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819
2669 [2015/05/11] 우리말) 일부와 일대 머니북 2015-05-12 2826
2668 [2016/04/25] 우리말) 선물과 물선 머니북 2016-04-26 2830
2667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844
2666 [2013/12/02] 우리말) 녘 머니북 2013-12-02 2846
2665 [2015/08/20] 우리말) 배지 머니북 2015-08-20 2854
2664 [2015/02/02] 우리말) 되갚을 것은 없다 머니북 2015-02-02 2856
2663 [2015/03/11] 우리말) 무수다 머니북 2015-03-11 2858
2662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863
2661 [2016/07/04] 우리말) 욱여넣다 머니북 2016-07-06 2866
2660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869
2659 [2016/07/08] 우리말) 깝살리다 머니북 2016-07-11 2869
2658 [2016/07/27] 우리말) 볏과 벼슬 머니북 2016-08-10 2871
2657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8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