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20] 우리말) 일자와 날짜

조회 수 4858 추천 수 51 2007.04.20 09:05:24
어쨌거나,
'일자'는 한자어이고 '날짜'는 순 우리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시간 참 잘 가네요. 벌써 금요일입니다.
흘러가는 물보다 훨씬 빨리 지나가는 세월을 잡고자
오늘은 '날짜'와 '일자'를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일자(日子)는 한자어입니다.
날수(―數)를 뜻하죠.
일자의 소리는 [일짜]인데,
한자어에서 'ㄹ' 받침 뒤에 이어지는 'ㄷ,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하는 규칙 때문에 그렇습니다.
또, '일자'가 日子에서 온 게 분명하므로
어원을 밝혀 '일자'로 적습니다.

비슷한 뜻의 '날짜'는
아마도 날과 자(子)에서 왔겠지만(제 생각에...)
이미 어원에서 멀어진 지 오래되어서 굳이 어원을 밝혀서 적지 않습니다.
그래서 '날짜'로 쓰고 읽습니다.
한편으로는, 날짜가 날자(-子)에서 왔다는 근거가 없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어쨌거나,
'일자'는 한자어이고 '날짜'는 순 우리말입니다.

제가 이렇게 날짜와 일자를 떠들어도 세월은 그냥 흘러가겠죠?
무심하게도......^^*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복숭아뼈/복사뼈]

강원도의 아침은 여전히 춥더군요.
토요일 아침에,
속이 쓰려서인지 추워서인지는 모르지만 일찍 일어나게 되었고,
습관적으로 텔레비전을 켰습니다.

KBS 아침 뉴스 중 웰빙광장이라는 꼭지였는데,
족욕이 건강에 좋다면서,
리포터가 소개하기를,
족욕할 때는 꼭 발 복숭아뼈까지 물에 담가야 한다고 하더군요.
리포터의 말과 거의 동시에 써지는 자막도,
'봉숭아뼈까지 담가야..'라고 써지고...

사람 몸에 뼈가 몇 개 있는지는 모르지만,
분명한 것은 '복숭아뼈'라는 이름의 뼈는 없습니다.

'발목 부근에 안팎으로 둥글게 나온 뼈'는
'복숭아뼈'가 아니라, '복사뼈'입니다.

자주 강조하는 말이지만,
방송에 나와서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올바른 말을 쓰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에 우리말에 관심이 많아야겠죠.
그리고
자막관리가 얼마나 허술하기에 뉴스에 나오는 자막이 다 틀립니까?
무슨 오락 프로그램도 아니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130
2476 [2006/11/22] 우리말) 메꾸다 >> 메우다 id: moneyplan 2006-11-22 5481
2475 [2006/09/22] 우리말) 햇땅콩이 아니라 해땅콩입니다 id: moneyplan 2006-09-22 5469
2474 [2017/11/03]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머니북 2017-11-06 5446
2473 [2006/12/07] 우리말) 자선냄비 id: moneyplan 2006-12-07 5443
2472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433
2471 [2017/11/20] 우리말) 롱 패딩 머니북 2017-11-20 5414
2470 [2006/10/17] 우리말) 천상 제날짜에 가야지... id: moneyplan 2006-10-17 5412
2469 [2011/10/18] 우리말) 끼적거리다와 끄적거리다 머니북 2011-10-18 5400
2468 [2006/11/02] 우리말) 제 아들에게 먼지떨음을 했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2 5386
2467 [2006/11/09] 우리말) 한무릎공부 id: moneyplan 2006-11-09 5381
2466 [2013/08/19] 우리말) 잘못된 높임말 머니북 2013-08-19 5362
2465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5359
2464 [2017/11/16] 우리말) 통음 머니북 2017-11-16 5342
2463 [2017/11/08] 우리말) 제기? 머니북 2017-11-08 5325
2462 [2006/11/03] 우리말) 제고와 재고를 재고해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1-03 5320
2461 [2014/04/04]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4-04-08 5312
2460 [2008/02/28] 우리말) 제치다와 제끼다 id: moneyplan 2008-02-28 5309
2459 [2006/09/26] 우리말) 허접 쓰레기? 허섭스레기 id: moneyplan 2006-09-26 5307
2458 [2017/11/17] 우리말) 패러다임 머니북 2017-11-17 5290
2457 [2007/01/18] 우리말) 두루말이 화장지/두루마리 화장지 id: moneyplan 2007-01-19 5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