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4/30] 우리말) 햇귀를 아세요?

조회 수 3747 추천 수 91 2007.04.30 09:55:55
안녕하세요.

새벽의 순 우리말은 '갓밝이'입니다.
당연히 새벽도 우리말 맞습니다. ^^*

이번 선물은 hand2??? 님께 보내드렸습니다.

이번 편지를 받으시고 한 분이 답장을 보내오셨네요.
파일로 붙입니다.새벽.hwp
고맙습니다.

오늘은 내친김에 새벽 이야기 더 이어보죠.
새벽에 해가 처음 솟을 때의 빛을 '햇귀'라고 합니다.
이 '햇귀'와 비슷한 낱말로 '돋을볕'이 있습니다.
"아침에 해가 솟아오를 때의 햇볕"을 뜻합니다.
햇귀와 돋을볕은 비슷해 보이지만 뜻은 조금 다릅니다.

햇빛은 해가 비치는 밝음의 정도고
햇볕은 해가 내리쬐는 따뜻함의 기운이라는 거 알고 계시죠?
이것처럼
'햇귀'는 새벽에 처음 나오는 '햇빛'이고,
'돋을볕'은 새벽에 처음 나오는 아침녘의 볕을 뜻합니다.

어둠을 밀어내고 밝음을 가져오는 것은 같지만,
그 속뜻은 이렇게 조금 다릅니다.
밤새 얼었던 몸을 돋을볕으로 녹인다는 말이 되지만,
햇귀로 녹인다는 말이 안 되겠죠?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충돌/추돌]

어젯밤에 차를 몰고 퇴근하는데 유난히 차가 밀리더군요.
앞차 꽁무니를 따라 슬슬 가다 보니,
차 서너 대가 추돌했더군요.
다행히 사람이 다친 것 같지는 않았습니다.

오늘은 추돌과 충돌을 설명드릴게요.

다 아시는 것처럼,
'충돌'은,
"서로 맞부딪치거나 맞섬"이라는 뜻이고,
'추돌'은,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이라는 뜻입니다.

'충돌(衝突)'은 찌를 충(衝)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쓰고,
'추돌(追突) 은 쫓을 추(追) 자와 갑자기 돌(突) 자를 씁니다.

따라서,
'충돌'은 이 차는 가고 저 차는 오면서 서로 맞부딪치는 것이고,
'추돌'은 이 차와 저 차가 같은 방향으로 가면서 뒤에 가는 차가 앞에 가는 차 꽁무니를 들이받은 것을 말합니다.

어제 제가 본 교통사고는 '추돌'이었습니다.
앞차가 갑자기 멈추니까 뒷 차가 미처 멈추지 못하고 들이받은 거죠.

차를 몰고 다니시거나,
차를 타고 다니시는 모든 분들 차조심하시길 빕니다.
문명의 이기가 때로는 문명이 흉기도 될 수 있거든요.

오늘도 많이 웃는 하루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7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58
1716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3744
1715 [2015/01/28] 우리말) 오지와 두메 머니북 2015-01-29 3744
1714 [2011/08/09] 우리말) 흙주접 머니북 2011-08-09 3744
1713 [2010/04/15] 우리말) 코털이 세다 id: moneyplan 2010-04-15 3744
1712 [2007/04/26] 우리말) 싱싱하다 id: moneyplan 2007-04-26 3744
1711 [2014/02/05] 우리말) 오뎅과 돈가스 머니북 2014-02-05 3743
1710 [2013/03/08] 우리말) 감장하다 머니북 2013-03-08 3742
1709 [2012/04/06] 우리말)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2-04-09 3742
1708 [2016/11/21] 우리말) 낱알/낟알 머니북 2016-11-22 3741
1707 [2015/07/22] 우리말) 치덕치덕 머니북 2015-07-22 3741
1706 [2014/06/12] 우리말) 빠개다와 뽀개다 머니북 2014-06-12 3741
1705 [2012/11/01] 우리말) 직장내에서 '언니' 호칭 머니북 2012-11-01 3741
1704 [2012/02/07] 우리말) 족집게와 쪽집게 머니북 2012-02-07 3741
1703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741
1702 [2007/07/04] 우리말) 과반수와 반수 id: moneyplan 2007-07-04 3741
1701 [2007/06/19] 우리말) 다대기가 아니라 다지기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9 3741
1700 [2012/08/24]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2-08-27 3740
1699 [2016/07/11] 우리말) 겨땀 -> 곁땀 머니북 2016-07-11 3739
1698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739
1697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