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01] 우리말) 두남두다

조회 수 3672 추천 수 67 2007.05.02 09:54:16
안녕하세요.

한 재벌 회장이 낯뜨거운 짓을 했군요.
앞뒤 사정을 잘은 모르지만,
칭찬받을 일이 아닌 것만은 분명하네요.
애들이 자라면서 싸울 수도 있는 거지...
그걸 내 자식이라고 '두남두면' 나중에 그 애가 자라서 어찌될지...
(두남두다 : 맹목적으로 누구의 편을 들거나 두둔함. )

사회에서 존경을 받는 사람들일수록
더 듬쑥해야 하는데, 아무래도 너무 가볍게 행동하신 것 같습니다.
(듬쑥하다 : 사람됨이 가볍지 아니하고 속이 깊다.)

며칠 지나면 다 정리되겠지만,
그래도 열없는 짓은 하지 않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  그러시는 게 좋습니다.
(열없다 : 좀 겸연쩍고 부끄럽다.)

얼마 전에 '늧'과 '늘품'이라는 낱말을 소개해 드렸었죠?
(늧 : 앞으로 어떻게 될 것 같은 일의 근원. 또는 먼저 보이는 빌미.)
(늘품 : 앞으로 좋게 발전할 품질이나 품성)
갑자기 그 낱말이 떠오르는 까닭은 뭘까요?

남들이야 그냥 그러라고 두고,
우리는 지멸있게 살자고요. ^^*
(지멸있다. : 한결같이 곧은 마음으로 꾸준하고 성실하다. 또는 직심스럽고 참을성이 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복스럽다/안쓰럽다]

요즘 제 아들 녀석이 지독한 감기로 고생을 하고 있습니다.
세상 밖에 나온 지 이제 겨우 열 달 된 녀석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니, 안쓰럽기 그지없더군요.
대신 아파 줄 수만 있다면...

오늘은 제 아들 감기가 빨리 떨어지길 빌며 우리말편지를 쓰겠습니다.

"(일부 명사 뒤에 붙어)'그러한 성질이 있음'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를 만드는 접미사."로,
'-스럽다'가 있습니다.
복스럽다[복쓰럽따]. 걱정스럽다[걱쩡스럽따]. 자랑스럽다[자랑스럽따]처럼 쓰죠.

이와 달리,
"손아랫사람이나 약자의 딱한 형편이 마음에 언짢고 가엾다."는 뜻으로,
'안쓰럽다[안쓰럽따]'는 낱말이 있습니다.
구걸하는 어린 소녀의 모습이 안쓰럽다. 아내의 거친 손을 보니 안쓰러운 마음이 든다처럼 쓰죠.

여기서 드리고 싶은 말씀이,
'복스럽다'의 '-스럽다'와,
'안쓰럽다'의 '쓰럽다'는 아무 상관도 없다는 것입니다.

'복스럽다'의 '스럽다'는,
'복'이라는 명사 뒤에 '-스럽다'가 붙어,
"모난 데가 없이 복이 있어 보이다"는 뜻이지만,

'안쓰럽다'는,
'안타깝다'의 '안'에 '-스럽다'가 붙어,
'안스럽다'가 된 게 아니라,
'안쓰럽다' 자체가 하나의 낱말입니다.

따라서,
제 아들이 감기로 힘들어하는 것을 보고,
'안스럽다'고 하는 게 아니라 '안쓰럽다'고 해야 맞습니다.
제 아들 감기가 빨리 떨어지길 빌어주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970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5226
1316 [2007/08/29] 우리말) 건들건들 id: moneyplan 2007-08-29 3658
1315 [2017/03/31] 우리말) 비탈이 가파라서? 가팔라서? 머니북 2017-04-03 3658
1314 [2012/10/17] 우리말) 편지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10-17 3659
1313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660
1312 [2009/12/03] 우리말) 때마침 id: moneyplan 2009-12-03 3660
1311 [2012/11/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2) 머니북 2012-11-15 3660
1310 [2016/02/24] 우리말) 우황청심환 머니북 2016-02-25 3660
1309 [2017/09/27] 우리말) 광어와 넙치 머니북 2017-11-06 3660
1308 [2007/06/14] 우리말) 암돼지가 아니라 암퇘지입니다 id: moneyplan 2007-06-14 3661
1307 [2009/03/23] 우리말) 와이셔츠 id: moneyplan 2009-03-23 3661
1306 [2009/09/28] 우리말) 주말에 본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28 3661
1305 [2007/12/14] 우리말) 텅 빈 마당에서 돌쇠가 비질을 하고 있네요. ^^* id: moneyplan 2007-12-14 3662
1304 [2012/01/27] 우리말) 우리말 모임 두 개 소개 머니북 2012-01-27 3662
1303 [2013/04/03] 우리말) 만빵과 만땅 머니북 2013-04-04 3662
1302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663
1301 [2015/10/21] 우리말) 낯익다와 귀 익다 머니북 2015-10-21 3663
1300 [2007/10/01] 우리말) 전어 이야기 id: moneyplan 2007-10-01 3665
1299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665
1298 [2008/07/08] 우리말) 모찌와 찹쌀떡 id: moneyplan 2008-07-08 3666
1297 [2008/09/18] 우리말) 우리말편지가 왔습니다. ^^* id: moneyplan 2008-09-18 3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