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문제를 낼게요.
애들이 노는 것을 보면,
한 명은 앞서서 뛰고, 다른 한 명은 뒤에서 쫓아가며 이리저리 뛰어노는데요.
"아이들이 서로 잡으려고 쫓고,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벌써 금요일입니다.
저는 이번 주말에 제부도에서 중학교 친구들을 만나 오구탕을 치며 놀기로 했습니다.
식구와 함께 가서 오랜만에 애들과 함께 바닷가도 거닐며 한가하게 머리 좀 식혀볼 생각입니다.
토요일 오후에 제부도에 들어가자마자 짐을 풀고 바로 바닷가로 나가 백사장에서 애들과 뛰어놀 생각입니다.

여기서 문제를 낼게요.
애들이 노는 것을 보면,
한 명은 앞서서 뛰고, 다른 한 명은 뒤에서 쫓아가며 이리저리 뛰어노는데요.
"아이들이 서로 잡으려고 쫓고,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을 뜻하는 순 우리말이 뭘까요?

오늘은 문제가 좀 어려운가요?

여기서 답을 말씀드릴게요.
바로 '가댁질'입니다.

아이들이 물가에서 물장구와 가댁질로 시간 가는 줄 모른다.
땀을 씻고 때를 밀고는 깊은 곳에 들어가 물장구와 가댁질 이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왜 문제를 내자마자 답을 말했냐고요?
제가 선물을 드릴 돈이 없어서...^^*

주말 잘 보내세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제 8회 -->> 제8 회/제8회]

요즘 봄이라서 그런지 여러 가지 지역잔치가 많네요.
그 중 하나가 '제8회 함평 나비 대축제'입니다.
여기서 오랜만에 띄어쓰기 좀 알아보죠.

'제 8회', '제8회', '제8 회' 중 어떤 게 맞을까요?

한자어 수사 앞에 붙는 '제'는 '차례, 순서'를 나타내는 접두사입니다.
접두사는 뒷말과 붙여 써야 합니다.
따라서, '제8 회'가 맞습니다.

문법적으로는 숫자 8앞에 있는 접두사 '제'는 무조건 붙여 써야 합니다.
그리고 단위인 '회'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한마리'가 아니라 '한 마리'가 맞듯이...

그러나 왠지 어색하죠?
맞춤법에 아래와 같은 규정이 있습니다.
제43항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는 띄어 쓴다.
다만, 순서를 나타내는 경우나 숫자와 어울리어 쓰이는 경우에는 붙여 쓸 수 있다.

바로 이 규정에 따라서,
왠지 어색한 '제8 회'를 '제8회'라고 쓸 수 있는 겁니다.

우리 맞춤법도 알고 보면 참 합리적이고 재밌는 규정이 많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186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24214
1696 [2012/08/02] 우리말) 올림픽 선수 이름 쓰기 머니북 2012-08-02 3444
1695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3445
1694 [2008/07/18] 우리말) 게걸스럽다와 게검스럽다 id: moneyplan 2008-07-18 3445
1693 [2009/01/15]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id: moneyplan 2009-01-15 3445
1692 [2016/11/11] 우리말) 조용하세요 머니북 2016-11-12 3445
1691 [2008/06/25] 우리말) 틀린 발음 몇 개 id: moneyplan 2008-06-26 3446
1690 [2008/10/10] 우리말) 어제 문제 답입니다 id: moneyplan 2008-10-10 3446
1689 [2012/04/23] 우리말) 너섬둑길 머니북 2012-04-24 3446
1688 [2015/03/12] 우리말) 어제 편지에 있는 실수 머니북 2015-03-12 3446
1687 [2015/01/26] 우리말) 싣고 갈까, 타고 갈까 머니북 2015-01-26 3447
1686 [2009/10/28] 우리말) 동서남북 id: moneyplan 2009-10-28 3448
1685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3448
1684 [2011/01/25] 우리말) 달인 moneybook 2011-01-25 3448
1683 [2017/03/14] 우리말) 사저 머니북 2017-03-14 3448
1682 [2007/05/23] 우리말) 자린고비 id: moneyplan 2007-05-23 3449
1681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449
1680 [2008/05/01] 우리말) 짜뜰름짜뜰름 id: moneyplan 2008-05-02 3449
1679 [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id: moneyplan 2009-09-04 3449
1678 [2011/03/11] 우리말) 요와 오 moneybook 2011-03-11 3449
1677 [2015/08/19] 우리말) 농업용어도 광복을 맞이해야 한다 머니북 2015-08-19 3449